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10831

선고일자:

199205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이 시행된 1989.7.1. 이후 그 법에 의한 지가의 공시가 있기 전에 수용재결이 되고, 최초로 그 법에 의한 지가의 공시가 된 1989.12.30. 이후에 이의신청의 재결이 된 경우 그 수용대상토지에 대한 손실보상액의 산정방법

판결요지

구 토지수용법(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2항과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 제4조, 제9조, 제10조, 부칙 제5조 등의 규정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같은 법이 시행된 1989.7.1. 이후 그 법에 의한 지가의 공시가 있기 전에 수용재결이 되고, 최초로 그 법에 의한 지가의 공시가 된 1989.12.30. 이후에 이의신청의 재결이 된 경우, 그 수용대상토지에 대한 손실보상액은, 그 공시기준일이 수용재결이 되기 전으로 되어 있다면, 그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감정평가한 가격에 의하여 산정하여야 할 것이다.

참조조문

구 토지수용법(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2항,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 제4조, 제9조, 제10조, 부칙 제5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1.9.24. 선고 91누2038 판결(공1991,263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찬진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9.12. 선고 90구8130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피고들 소송대리인들의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한 판단. 구 토지수용법 제46조 제2항(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과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이 뒤에는 “지가공시법”이라고 약칭한다) 제4조, 제9조, 제10조, 부칙 제5조 등의 규정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지가공시법이 시행된 1989.7.1. 이후 그 법에 의한 지가의 공시가 있기 전에 수용재결이 되고, 최초로 그 법에 의한 지가의 공시가 된 1989.12.30. 이후에 이의신청의 재결이 된 경우, 그 수용대상토지에 대한 손실보상액은, 그 공시기준일이 수용재결이 되기 전으로 되어 있다면, 그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감정평가한 가격에 의하여 산정하여야 할 것이다(당원 1991.9.24. 선고 91누2038 판결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1989.10.19. 수용재결이 되고 1990.4.18. 이의신청의 재결이 된 이 사건 수용대상토지의 소유자인 원고가 입은 손실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공시기준일이 1989.7.1.로 공시된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지 아니하고 종전의 기준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감정평가한 원심감정인 소외인의 감정결과에 의하여 인정되는 이 사건 토지의 수용 당시의 가격에 의하여 그 손실보상액을 산정하였으니, 원심의 이와 같은 인정판단이 잘못된 것임은 소론과 같다. 그러나 한편 위 감정인의 감정결과에 의하면, 위 감정인이 이 사건 토지의 수용 당시의 가격을 위와 같이 종전의 기준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감정평가한 것과는 별도로 공시된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서도 감정평가하였는데, 그 가격이 기준지가를 기준으로 한 가격보다 오히려 더 비싼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위 감정인의 위와 같은 감정평가는 관계법령에 따른 적법한 것으로 보이므로, 원심이 저지른 위와 같은 잘못은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 못 된다. 결국 이 점을 비난하는 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같은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한 판단. 원심은, 이 사건 토지가 공부상의 지목은 답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1987.2.경부터 세멘블럭제조장으로 이용되고 있어 그 현실적인 이용상황이 잡종지인 사실을 인정하였는바, 관계증거와 기록에 의하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근거 없이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론과 같이 이 사건 토지의 위와 같은 현실적인 이용상황이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시행령 제2조 제2항 및 같은법시행규칙 제5조 제2항에 규정된 일시적인 이용상황에 해당하거나 택지개발촉진법 제6조 제1항에 위반되어 그 본래의 용도 이외의 다른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고 보이지도 아니하므로, 논지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피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최재호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새로 공시된 공시지가가 기준!

토지 수용 시, 이의재결 당시 새로운 공시지가가 있고 그 기준일이 수용재결일 이전이라면, 보상액은 새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토지보상#공시지가#이의재결#수용재결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어떻게 계산될까? - 공시지가와 이용상황을 중심으로

토지 수용 시 보상금은 최신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며, 이전 공공사업과 관계없이 현재 토지의 실제 이용 상황을 반영해야 합니다.

#토지수용#보상금#공시지가#현재이용상황

일반행정판례

내 땅 수용할 때 보상금, 어떻게 계산될까? - 공시지가 기준 알아보기

토지수용 시 보상액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공시지가는 개별 토지마다 산정되는 '개별공시지가'가 아니라, 유사한 특징을 가진 여러 토지들을 대표하는 '표준지'의 공시지가를 의미합니다.

#토지수용#보상액#표준지 공시지가#개별공시지가

일반행정판례

토지보상금 산정, 뭘 기준으로 할까?

1989년 지가공시법 시행 이후, 최초 공시지가 발표 전에 이루어진 토지수용 보상액 산정 시, 이전 법률(국토이용관리법)이 아닌 새로운 법률(토지수용법, 지가공시법)에 따라 평가해야 하며, 인근 유사 토지의 거래 가격, 보상 선례, 사업 시행으로 인한 가격 변동 등을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

#토지수용#보상액#공시지가#지가공시법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보상금, 제대로 알고 받자! - 공시지가 기준일과 지가변동률

토지수용보상금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공시지가는 수용 결정일 *이전* 것이어야 하며, 지가변동률은 수용되는 토지 지역의 변동률을 쓰되, 만약 해당 개발사업 때문에 토지 가격이 영향을 받았다면 주변 지역의 변동률을 참고하여 사업의 영향을 제외한 변동률을 적용해야 한다.

#토지수용보상금#공시지가#기준일#수용결정일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액, 개별공시지가로 정해지는 건 아니에요!

토지 수용 시 보상액은 '표준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하며, '개별공시지가'는 기준이 될 수 없다.

#토지수용#보상액#표준지 공시지가#개별공시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