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1누11100
선고일자:
199210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수용재결신청을 기각하는 재결이 확정된 경우 기업자가 다시 수용재결신청을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및 토지수용위원회는 이에 근거하여 다시 수용재결을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수용재결신청을 기각한 재결의 효력에 관하여는 확정된 이의재결의 효력에 관한 토지수용법 제75조의 2 제3항이 적용되거나 준용된다고 볼 수 없고, 기업자의 수용재결신청을 기각하는 재결이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기업자는 수용재결신청기간의 제한규정 등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한 다시 수용재결신청을 할 수 있고 토지수용위원회도 이에 근거하여 다시 수용재결을 할 수 있다.
토지수용법 제75조의 2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9.11. 선고 90구1669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기거나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논지가 들고 있는 증거들을 살펴보아도, 이 사건 토지는 청주 제3공업단지조성사업지역에서 제외되었다고 보이지 아니하고, 오히려 기록에 의하면 위 공업단지조성사업과 청주시 봉명(2)지구 택지개발사업은 상호 병행실시되었고, 그 사업지구도 중복되지 아니한 점을 엿볼 수 있으니, 소론과 같이 이 사건 토지를 포함한 청주시 봉명동 일원이 공단조성사업 대상지역에서 택지개발사업 대상지역으로 변경된 것이라고 인정되지도 아니한다. 그리고 수용재결신청을 기각한 재결의 효력에 관하여는 확정된 이의재결의 효력에 관한 토지수용법 제75조의2 제3항이 적용되거나 준용된다고 볼 수 없고, 기업자의 수용재결신청을 기각하는 재결이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기업자는 수용재결신청기간의 제한규정 등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한 다시 수용재결신청을 할 수 있고 토지수용위원회도 이에 근거하여 다시 수용재결을 할 수 있다고 볼 것이다. 논지는 모두 관계증거의 내용을 오해한 것이나 독자적인 견해를 기초로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을 비난하는 것으로서 채택할 바가 못된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제2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원고 소송대리인은 1991.8.21. 원심의 제8차 변론기일에 손실보상금에 관한 주장을 철회하고 피고 청주시에 대한 청구를 취하하였음이 명백한바, 그렇다면 원심은 이의재결에서 정한 보상액을 다투는 소론의 주장에 대하여 심리, 판단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고, 원고가 당심에서 이를 다시 주장하는 것은 원심에서 주장하지 아니한 사실을 주장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한다. 논지도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종영(재판장) 이회창 배만운 김석수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이 무효인 경우, 이의신청 절차 없이 바로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 재결이 효력을 잃은 후에는 그 재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 결정에 바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는 없고, 먼저 이의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의신청 결과에도 불복하면 그때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재개발사업으로 토지를 수용당할 때, 토지 소유자도 수용 재결을 신청할 권리가 있으며, 사업시행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재결 신청을 지연하면 지연가산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지연가산금 청구는 보상금 관련 행정소송에서 해야 하며, 별도의 민사소송으로는 청구할 수 없습니다.
일반행정판례
도시계획사업으로 토지가 수용될 때, 사업시행자가 협의 기간을 알려주지 않고 질질 끌면 토지 소유자도 수용 재결을 신청할 수 있고, 사업시행자는 늦어진 만큼 이자(가산금)를 지급해야 합니다.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재결 이후에도 토지 소유자와 사업시행자가 협의를 통해 토지 보상 및 취득 계약을 새롭게 체결할 수 있으며, 만약 그러한 협의가 이루어져 소유권이 이전되었다면, 기존 수용재결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송은 소의 이익이 없다는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