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보상법재심사에관한판정취소

사건번호:

91누5624

선고일자:

19911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업무상 재해를 입고 요양중 새로 발생한 추가질병이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

판결요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조 제1항 소정의 업무상 재해라 함은 근로자의 업무수행중 그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부상, 질병 등의 재해를 말하는 것이므로, 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를 입고 요양중 새로운 질병이 발생한 경우 그와 같은 추가질병까지 업무상 재해로 보기 위하여는 적어도 추가질병과 당초의 부상 또는 질병과의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이 밝혀져야 한다.

참조조문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대구지방노동청장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1.5.15. 선고 90구110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조 제1항 소정의 업무상 재해라 함은 근로자의 업무수행중 그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부상, 질병 등의 재해를 말하는 것이므로, 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를 입고 요양중 새로운 질병이 발생한 경우 그와 같은 추가질병까지 업무상 재해로 보기 위하여는 적어도 동 추가질병과 당초의 부상 또는 질병과의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덕성염직공업사에서 염색공으로 근무하던 원고가 회사 작업장 내에서 작업중 무게 약 800킬로그램의 원단말대가 떨어져 양다리 부분을 충격함으로써 양대퇴 후면부 근육내출혈 등의 부상을 입고 치료를 받아 오던 중 추가로 만성중이염, 진주종 및 우측외이도 협착증 등의 질병이 발견된 사실을 확정한 후, 위 추가질병도 업무상 재해인 판시 부상으로 인한 것이어서 이 역시 업무상 재해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이 사건에서 업무상 재해로 인한 판시 부상과 위 추가질병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다 하여 원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고 있는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보이고, 이에 소론이 주장하는 위법사유가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업무 중 다쳤는데 치료받다가 다른 병이 생겼어요! 산재 인정될까요?

업무상 재해로 치료받던 중 새로운 질병이 생겼다면, 새로운 질병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으려면 기존의 업무상 재해와 새로운 질병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치료 과정의 의료 과실이나 약 부작용으로 새로운 질병이 생긴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업무상 재해#새로운 상병#인과관계#의료과실

생활법률

🤯 일하다 다치면 산재?! 업무상 재해, 제대로 알고 보상받자!

직장에서 일하다 다치거나 아프면 업무와 상당인과관계가 있는 사고·질병 재해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며, 고의·자해·범죄행위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인정되지 않는다.

#업무상 재해#산재#사고#질병

생활법률

🤯 회사에서 다쳤어요! 산재 될까요? (업무상 재해 인정 범위)

직장 내 사고는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수행, 업무상 필요적 부수행위, 회사 시설 결함 등으로 발생 시, 그리고 휴게시간 중이라도 회사의 지배·관리 하에 있거나 천재지변 등으로 사업장 내에서 일어난 경우 산재로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개별 사건의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

#산재#업무상 재해#업무수행#근로계약

생활법률

🤯 일하다 다치거나 아프면?! 업무상 재해 완벽 정리!

직장에서 일하다 다치거나 아프면, 업무와 인과관계가 있다면 질병도 산재보험 적용 대상이며, 근로자가 입증 책임을 가지고 개인별 상황을 고려하여 판단된다.

#산재보험#업무상 재해#상당인과관계#업무기인성

일반행정판례

숨어있던 질병, 업무 중 사고로 악화되면 산재 인정될까?

기존에 앓고 있던 질병이라도 업무상 사고로 악화되거나 증상이 나타나면 산업재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업무와 질병 악화 사이의 인과관계 입증은 의학적, 자연과학적 증명까지는 필요하지 않고, 여러 정황을 고려하여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되면 충분합니다.

#기존질병 악화#산재 인정#인과관계 추정#요양급여

일반행정판례

직장에서 아팠을 때 산재 인정받기, 얼마나 어려울까?

직장에서 발생한 질병이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으려면, 근로자가 업무와 질병 사이에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때 직접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여러 간접적인 사실들을 종합하여 인과관계를 추정할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업무상 재해#인과관계 증명책임#근로자#질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