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7460

선고일자:

199204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소득세법시행령 부칙 제9조(1988.12.31. 대통령령 제125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소정의 의제취득일 이전에 취득한 자산에 대하여 부칙 제9조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한 금액을 취득가액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 그 취득가액이 위 시행령 제170조 제1항(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소정의 실지거래가액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구 소득세법시행령 부칙 제9조(1988.12.31. 대통령령 제125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소정의 의제취득일 이전에 자산을 취득하여 양도한 경우에 있어 그 실지취득가액이 확인되고 그 실지취득가액을 기준으로 위 부칙 제9조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한 금액이 같은 조 본문 소정의 가액보다 많아 그 산정금액을 취득가액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취득가액은 같은법시행령(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1항 소정의 실지거래가액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참조조문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구 소득세법시행령 부칙 제9조 단서(1988.12.31. 대통령령 제125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같은법시행령(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창래 【피고, 상고인】 서초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6.27. 선고 89구1230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를 본다. 구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1989. 8. 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은 법 제2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양도차익을 결정함에 있어서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 중 어느 하나를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하는 때에는 다른 하나도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하되 다만 제4항 제1호 및 제2호의 경우로서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 중 어느 하나의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없는 때에는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실지거래가액에 의하고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없는 다른 하나는 제115조 제1항 제1호 (다)목의 규정에 의한 기준시가에 의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4항 제1호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는 경우의 하나로서 국가, 지방자치단체, 기타 법인과의 거래에 있어서 양도 또는 취득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이 확인된 경우를 규정하고 있으며, 한편 구 소득세법시행령 부칙 제9조(1988. 12. 31. 대통령령 제125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는 양도자산취득가액에 관한 경과조치를 규정함에 있어 1974.12.31. 이전에 취득한 자산의 취득가액은 1975년 1월 1일 현재의 시가(시가를 알 수 없는 때에는 1975년 1월 1일 현재의 기준시가, 이하 같다)에 의하여 평가한 가액으로 하되, 다만 1974년 12월 31일 이전에 취득한 자산의 실지거래된 취득가액에 1974년 12월 31일 이전의 취득일로부터 1974년 12월 31일까지의 보유기간에 의한 도매물가상승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합산한 가액이 1975년 1월 1일 현재의 시가에 의하여 평가한 가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그 많은 금액을 취득가액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각 관계법령을 종합하여 보면 위 시행령 부칙 제9조 소정의 의제취득일 이전에 자산을 취득하여 양도한 경우에 있어 그 실지취득가액이 확인되고 그 실지취득가액을 기준으로 위 부칙 제9조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한 금액이 같은 조 본문 소정의 가액보다 많아 그 산정금액을 취득가액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취득가액은 위 시행령 제170조 제1항 소정의 실지거래가액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것이고, 따라서 이 경우의 양도가액은 위 시행령 제115조 제1항 제1호 (다)목의 규정에 의한 기준시가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원심이 위와 같은 전제에서 원고가 1971. 2. 14. 서울시로부터 금 4,538,576원에 매수하여 1988. 6. 29. 양도하였으나 그 양도가액은 확인되지 않는 이 사건 토지의 양도차익을 산정함에 있어서, 그 판시와 같이 위 시행령 부칙 제9조 단서의 적용이 있는 경우로서 그 규정에 의한 합산금액을 실지취득가액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위 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 제4항 제1호, 제115조 제1항 제1호 (다)목 및 구 소득세법시행규칙 제56조의5, 제5항 제2호(1990.9. 1. 재무부령 제1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에 의한 환산방법으로 양도 당시의 양도가액을 산정하여 이를 기초로 판시 기재의 세액을 산출한 후 이 사건 부과처분 중 그 초과부분을 위법하다고 판단하여 취소하였음은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위 시행령 부칙 제9조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받은 땅 팔았는데, 세금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취득가액)

상속받은 땅을 팔 때 양도소득세 계산할 때 취득가액을 상속 당시 공시지가로 계산해도 된다는 판결입니다.

#상속##양도소득세#취득가액

세무판례

1974년 이전 취득 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 헌법 위반 아니다!

1974년 12월 31일 이전에 취득한 부동산을 나중에 팔았을 때, 양도소득세를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과거 취득 부동산의 취득가액은 1975년 1월 1일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양도가액은 정해진 배율을 곱한 가액으로 계산하여 양도차익을 구하는 것이 적법하다는 판결입니다.

#1974년 이전 취득 부동산#양도소득세#취득가액(1975년 기준시가)#양도가액(배율방법)

세무판례

땅 팔았는데 얼마에 샀는지 기억이 안 나요! 세금은 어떻게 내나요?

옛날 토지를 팔았는데, 산 가격(취득가액)은 모르고 판 가격(양도가액)만 아는 경우, 세금(특별부가세)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정부가 정한 기준시가를 사용해서 계산해야 합니다.

#토지#취득가액 불분명#특별부가세#기준시가

세무판례

땅 팔았는데 세금 계산이 이상해요?! 취득가액 계산방법에 대한 오해 풀기!

과거 특정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았던 토지가 나중에 특정지역으로 지정된 경우, 양도소득세 계산 시 취득 당시 기준시가는 개정된 시행령에 따라 계산해야 하며, 이는 소급입법이나 신의성실 원칙 위반이 아니다.

#양도소득세#특정지역#기준시가#소급입법

세무판례

옛날 땅 팔았는데 세금 어떻게 내야 하나요? (특정지역 배율 관련)

옛날에 토지를 샀는데, 그 당시에는 '특정지역'이라는 제도 자체가 없었다면, 나중에 그 땅을 팔 때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특정지역' 제도가 없었던 경우에도 '특정지역 아닌 곳'으로 보고 세금을 계산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양도소득세#특정지역#토지#취득시점

세무판례

옛날 부동산 팔 때 세금 계산,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1999년 이전에 취득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양도가액을 실제 거래가격으로 신고하면 취득가액도 실제 거래가격(또는 그에 준하는 가액)으로 계산해야 하며, 세법을 잘못 이해하거나 세무공무원의 설명을 잘못 들었다는 이유로 가산세를 면제받을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부동산 양도소득세#취득가액#실거래가#기준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