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협박,사기

사건번호:

91도1911

선고일자:

199110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의 적용 여부를 가리는 이득액을 정함에 있어서는 그 범행의 모든 공범자가 받은 이득액을 합한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의 개정 전후를 통하여 형의 경중은 없으므로 행위시법인 개정 전 법률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공동으로 사기죄를 범한 경우에 공범자는 자기가 받은 이득액뿐만 아니라 다른 공범자가 받은 이득액에 대하여도 그 죄책을 면할 수 없는 것이므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의 적용 여부를 가리는 이득액을 정함에 있어서는 그 범행의 모든 공범자가 받은 이득액을 합한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이 1990.12.31. 개정되었다 하더라도 범행으로 취득한 이득이 5억원인 경우는 개정 전후를 통하여 형의 경중은 없으므로, 행위시법인 개정 전 법률을 적용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가.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 가. 형법 제30조 / 나. 구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1990.12.31. 법률 제42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항, 형법 제1조 제1항, 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호인 변호사 이돈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6.27. 선고 91노1277 판결 【주 문】 상고를 각 기각한다. 【이 유】 피고인들 및 변호인(국선)의 각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원심이 적법히 채택한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검토하여 보면 피고인들에 대한 판시 각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가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오인을 한 위법은 없다. 이 점에 관한 소론주장들은 사실심의 전권사항인 원심의 사실인정과 증거취사를 비난하는 것에 귀착되어 결국 이유없다. 공동으로 사기죄를 범한 경우에 공범자는 자기가 받은 이득액뿐만 아니라 다른 공범자가 받은 이득액에 대하여도 그 죄책을 면할 수 없는 것이므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의 적용여부를 가리는 이득액을 정함에 있어서는 그 범행의 모든 공범자가 받은 이득액을 합한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야 하는 것이다. 원심이 확정한 피고인 2에 대한 판시 제1 사기죄의 범행으로 인하여 취득한 이득액은 피고인이 받은 3억원과 다른 공범자가 받은 2억원을 합한 5억원인 것이고, 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이 1990.12.31. 개정되었다 하더라도 이 경우는 개정 전후를 통하여 형의 경중은 없는 것이므로, 원심이 같은 견해에서 판시 제1 사기죄에 대하여 행위시법인 개정전 법률의 해당 조항을 적용하였음은 옳고 반대의 견해를 내세우는 소론 주장은 받아 들일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그러므로 피고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사기죄, 피해자가 여러 명이면 어떻게 처벌할까요?

여러 명이 공동으로 소유한 땅을 담보로 사기를 친 경우, 피해자가 여러 명이라도 사기죄는 하나로 볼 수 있는가? 아니면 피해자 각각에 대해 별도의 사기죄가 성립하는가? 대법원은 피해자 각각의 재산권이 독립적으로 침해되었으므로 피해자별로 사기죄가 성립하고, 이는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공유부동산#사기#피해자별 죄수#상상적 경합

형사판례

사기 이득액 계산, 유사수신행위 범위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돈을 갚을 능력 없이 투자금을 받아 가로챈 사기 사건에서, '이득액'은 실제로 이득을 봤는지와 관계없이 편취한 총액으로 계산하고, 아는 사람에게 투자 권유를 하더라도 누구든 투자할 수 있는 구조라면 유사수신행위에 해당한다는 판결.

#투자사기#유사수신행위#이득액#편취액

형사판례

사기죄 이득액 계산 및 상습사기 이중기소 문제

돈을 갚아야 할 때 새로운 투자나 대출로 돌려막는 행위는 별도의 사기죄가 아니다. 또한, 상습적으로 사기를 저지르는 경우, 여러 건의 사기행위를 하나로 묶어 처벌한다.

#돌려막기#사기죄#상습사기#이중처벌 금지

형사판례

공갈죄로 얻은 이득, 어떻게 계산할까요?

공갈죄로 얻은 이득액은 범죄가 완성된 시점(기수시점)에 약속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며, 이후 상황 변화는 고려하지 않는다. 특경법상 이득액은 불법적으로 얻기로 한 재산 가치의 합계이며, 실제로 이득을 얻었는지, 조건이 붙었는지는 상관없다.

#공갈죄#이득액#기수시점#특경법

형사판례

사기죄, 법 개정으로 감형될 수 있을까?

사기죄로 가중처벌을 받은 피고인이 항소심 판결 후 법이 개정되어 가중처벌 요건이 강화되었는데, 이 경우 판결 후 형의 변경 사유에 해당하여 재심리가 필요하다는 판결입니다.

#사기죄#가중처벌#법 개정#형량 변경

형사판례

유가증권 사기, 이득액은 얼마일까요?

누군가를 속여서 주식이나 채권 같은 유가증권을 빼앗는 사기 범죄를 저질렀을 때, 사기로 얻은 이득의 금액은 그 유가증권에 적혀있는 액면가액과 같다는 판결입니다.

#유가증권 사기#액면가액#이득액#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