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쟁의조정법위반

사건번호:

91도2323

선고일자:

1991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노동조합의 간부들이 시간외수당의 감소 등의 조치를 철회시킬 의도로 과반수의 소속 노조원으로 하여금 사용자측의 신청 반려에도 불구하고 하루 동안 일제히 월차휴가를 실시하게 한 경우, 실질적으로 쟁의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노동조합의 간부들이 시간외수당의 감소와 태업기간 내의 식대환수조치를 철회시킬 의도로 소속 노조원 총 307명 중 181명으로 하여금 하루 전에 사용자측에 집단적으로 월차휴가를 신청하게 하여 업무수행의 지장을 이유로 한 신청 반려에도 불구하고 하루동안 일제히 월차휴가를 실시하게 하였다면, 위 집단적 월차휴가는 형식적으로는 월차휴가권을 행사하려는 것이었다고 하여도 사용자측 업무의 정상한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를 하여 그들의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쟁의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노동쟁의조정법 제3조, 근로기준법 제4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1.1.29. 선고 90도2852 판결(공1991,907), 1991.7.9. 선고 91도1051 판결(공1991,2184), 1991.10.22. 선고 91도600 판결(공1991,286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원심판결】 대구지방법원 1991.8.23. 선고 91노676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이 인정한 사실에 의하면 피고인들은 대구지역 의료보험노동조합의 조합장, 사무국장, 조사통계부장, 중구지부장들인데 시간외수당의 감소와 1989. 11. 3. 부터 같은해 12. 27.까지 있었던 파업기간내의 식대환수조치에 반발하여 위 조치를 철회시킬 의도로 조합원의 직접, 비밀, 무기명투표에 의한 과반수의 찬성없이 1990. 5. 23. 소속 노조원 총 307명중 대구중구, 동구,남구, 북구, 수성구 의료보험조합 소속의 181명으로 하여금 그날 하루동안 일제히 월차휴가를 실시하게 하였다는 것이고, 피고인들은 그들의 주도하에 이 사건 하루전에 사용자측에 집단적으로 월차휴가를 신청하였으나 업무수행에 지장이 있다 하여 그 신청이 반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이 사건 범행을 저질렀다는 것인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노동쟁의조정법 소정의 쟁의행위란 동맹파업, 태업, 직장폐쇄 기타 노동관계 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한 운영을 저해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바( 같은법 제3조), 사실이 위와 같다면 피고인들이 주도하여 한 이 사건의 집단적인 월차휴가는 형식적으로는 월차휴가권을 행사하려는 것이었다고 하여도 위 의료보험조합 업무의 정상한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를 하여 그들의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쟁의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따라서 이는 노동조합의 쟁의행위는 그 조합원의 직접, 비밀, 무기명투표에 의한 과반수찬성으로 결정하지 아니하면 이를 행할 수 없다는 노동쟁의조정법 제12조제1항에 위배된다고 아니할 수 없다. 3. 따라서 이와 같은 견해에 터잡아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반대의 입장에서 다투는 논지는 이유 없으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이재성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월차를 이용한 파업, 정당할까요? - 쟁의적 준법투쟁의 함정

근로자들이 단체로 월차를 사용하여 업무를 마비시킨 행위는 형식적으로는 월차 사용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목적 달성을 위한 쟁의행위로 볼 수 있으며,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면 부당노동행위가 아니다.

#단체월차#업무마비#쟁의행위#부당노동행위

형사판례

동료 구속에 항의하는 집단행동, 쟁의행위일까? 업무방해일까?

근로조건 개선이 아닌 구속된 동료의 석방을 요구하며 집단 조퇴, 월차 사용으로 결근, 집회를 한 경우, 이는 노동쟁의조정법상 쟁의행위가 아니며 업무방해죄에 해당한다.

#구속근로자 석방#집단 조퇴#결근#업무방해죄

민사판례

간호사들의 평복 근무와 집단 월차, 쟁의행위일까? 그리고 징계는 정당할까?

병원 노조가 단체협약 갱신 과정에서 집단 월차, 평복 근무 등을 통해 쟁의행위를 한 것과 이에 대한 병원 측의 징계해고가 정당한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노조의 행위가 쟁의행위에 해당하고, 병원 측이 노조와의 합의 없이 징계를 진행한 것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병원노조#쟁의행위#징계해고#정당성

민사판례

단체 월차 사용과 징계 해고 사전 협의에 관한 판례 해설

단체협약 갱신을 위해 노조가 조합원들에게 집단 월차휴가를 지시한 것은 부당한 쟁의행위이며, 징계해고 전 노조와의 '사전협의'가 없었다고 해서 해고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단체월차휴가#부당쟁의#징계해고#사전협의

민사판례

연차/월차, 그냥 쓰면 안 돼요! 꼭! 날짜를 정확히 말해야 합니다!

연차/월차는 법적으로 발생하더라도, 근로자가 언제부터 언제까지 쓸 건지 명확하게 신청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휴가신청서만 내고 날짜를 구체적으로 적지 않으면 무단결근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연차#월차#휴가신청#날짜명시

일반행정판례

휴일근무 거부, 쟁의행위일까?

근로자들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평소 하던 휴일근무를 집단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회사 업무를 방해하는 쟁의행위에 해당한다.

#휴일근무거부#쟁의행위#징계해고#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