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법위반

사건번호:

91도2513

선고일자:

199206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7월 긴급테제' '반제 반파쇼 한국민중전선건설회 발족선언'및 '87년의3대 계급투쟁과 한국혁명운동의 진로' 등의 유인물이 구 국가보안법(1991.5.31. 법률 제439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제5항 소정의 이적표현물이라고본 사례 나. 위 '가'항의 유인물의 강령 및 전략전술에 의한 단체를 결성하려고 논의하다가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경우 같은 조 제7항 소정의 이적단체구성예비죄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7월 긴급테제', '반제 반파쇼 한국민중전선건설회 발족선언' 및 '87년의 3대 계급투쟁과 한국혁명운동의 진로' 등의 유인물은 노동자계급의 주도에 의한 민중정부를 수립하기 위하여 다른 계급과도 연합하여 통일전선을 구축하여야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반합법, 비합법적인 수단을 동원하여서라도 현 정부를 타도하여야 한다는 내용의 주장이 담겨진 것이므로, 구 국가보안법(1991.5.31. 법률 제439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의 보호법익인 대한민국의 안전과 자유민주주의체제를 위협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표현으로서 표현의 자유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라고 볼 것이어서 같은 법 제7조 제5항 소정의 이적표현물이라고 본 사례. 나. 피고인이 구성하려고 하였다는 '민중민주주의 통일촉진대'는 위 '7월긴급테제'이라는 유인물의 강령 및 전략전술에 의한 단체라는 것이고, '반제반파쇼 한국민중전선건설회'는 위 '반제 반파쇼 한국민중전선건설회 발족선언'이라는 유인물의 강령 및 전략전술에 의한 단체라는 것이므로, 위 각 표현물들이 이적표현물인 이상 위 각 단체도 같은 법 제7조 제3항 소정의 이적단체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고, 피고인이 '반제 반파쇼 한국민중전선건설회'를결성하려고 논의하다가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 하여도 이적단체구성의 예비에는 이른 것이라고 할 것이니 위 행위는 같은조 제7항, 제3항의 죄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가. 구 국가보안법(1991.5.31. 법률 제439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제5항, 제1항 / 나. 같은 법 제7조 제7항, 제3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2.3.31. 선고 90도2033 전원합의체판결(공1992,1466) / 나. 대법원 1990.9.11. 선고 90도1333 판결(공1990,211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9.6. 선고 88노317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 제1, 2점을 아울러 본다. 국가보안법 제7조 각항의 규정은 이를 그 법률의 목적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한 헌법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원심이 위 각항의 규정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데 어떤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원심판시의 '7월 긴급테제', '반제 반파쇼 한국민중전선 건설회 발족선언' 및 '87년의 3대 계급투쟁과 한국혁명운동의 진로'등의 유인물은 어느 것이나 노동자계급의 주도에 의한 민중정부를 수립하기 위하여 다른 계급과도 연합하여 통일전선을 구축하여야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반합법, 비합법적인 수단을 동원하여서라도 현정부를 타도하여야 한다는 내용의 주장이 담겨진 것이므로, 개정 전 국가보안법(1991.5.31. 법률 제439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의 보호법익인 대한민국의 안전과 자유민주주의체제를 위협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표현으로서 표현의 자유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라고 볼 것이어서, 원심이 위 각 표현물을 제작. 반포한 피고인의 판시행위에 대하여 개정 전 국가보안법 제7조 제5항, 제1항을 적용한 조치는 정당하다 할 것이고( 대법원 1992.3.31.선고 90도2033 판결 참조), 거기에 국가보안법상의 이적표현물제작· 반포죄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구성하려고 하였다는 원심판시의 '민중민주주의 통일촉진대'는 위 '7월 긴급테제'이라는 유인물의 강령 및 전략전술에 의한 단체라는 것이고, '반제 반파쇼 한국민중전선 건설회'는 위 '반제 반파쇼한국민중전선 건설회 발족선언'이라는 유인물의 강령 및 전략전술에 의한 단체라는 것이므로, 위 각 표현물들이 이적표현물인 이상 위 각 단체도 개정 전 국가보안법 제7조 제3항 소정의 이적단체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고, 피고인이 원심공동피고인 배금주, 공소외 배정환, 같은 유연식 등과 '반제 반파쇼 한국민중전선 건설회'를 결성하려고 논의하다가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하여도 이적단체구성의 예비에는 이른 것 이라고 할 것이니( 대법원 1990.9.1. 선고 90도1333 판결 참조), 원심이 피고인의 소위를 개정 전 국가보안법제7조 제7항, 제3항의 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이적단체구성예비죄의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채증법칙위배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유인물 배포와 국가보안법 위반

1991년 개정 전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행위는 행위자가 그런 목적을 가지고 있었는지와 상관없이, 그 행위가 객관적으로 반국가단체에 이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면 처벌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전민련 결성대회에서 배포된 유인물과 피고인의 행동이 이에 해당한다고 보아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국가보안법#이적행위#목적의식#이적표현물

형사판례

국가보안법 위반 사건 판결 분석

이 판결은 이적단체 구성, 이적동조, 이적표현물 소지 등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와 일반교통방해 혐의에 대한 상고심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이적단체 구성 및 이적동조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하고, 일부 이적표현물 소지 혐의와 일반교통방해 혐의에 대해서는 유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증거능력, 이적단체 및 이적표현물의 판단 기준, 이적행위의 목적, 일반교통방해죄 성립 여부 등입니다.

#국가보안법#이적단체#이적표현물#일반교통방해

형사판례

국가보안법 위반, 어떤 경우에 처벌받을까? - 이적단체 구성과 이적표현물 소지, 반포

반국가단체에 이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 이적단체를 만들거나 이적표현물을 제작, 소지, 반포하는 것은 국가보안법 위반이다. 실제로 이익을 주려는 직접적인 목적이 없어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처벌받을 수 있다.

#국가보안법#이적단체#이적표현물#미필적 고의

형사판례

이적표현물, 그 불분명한 경계선: 무엇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가?

교사들이 북한 관련 자료를 소지·반포한 혐의에 대해 대법원은 이적표현물로 인정하기 어렵거나, 설령 이적표현물이라 하더라도 이적행위를 할 목적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확정했습니다. 즉, 이적표현물이 되려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내용이어야 하고, 소지·반포 행위에 이적행위를 할 목적이 있어야 처벌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적은 검찰이 증명해야 하며, 단순 소지·반포만으로는 추정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적표현물#무죄#국가보안법#목적

형사판례

이적표현물, 이적행위 목적, 반국가단체 동조죄, 무엇이 문제였을까?

이 판례는 이적표현물을 취급하고 반국가단체 활동에 동조한 피고인에 대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 다룹니다. 대법원은 이적표현물의 이적성 판단 기준, 이적행위 목적의 증명책임, 그리고 반국가단체 활동 동조의 의미를 명확히 하면서 원심의 일부 무죄 판결을 파기하고 환송했습니다.

#국가보안법#이적표현물#반국가단체#동조

형사판례

이적표현물 판단 기준과 목적 증명 책임에 대한 법원의 판단

이 판례는 국가보안법상 '이적표현물'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과 그 표현물에 이적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그리고 이적행위를 할 목적이 있었는지에 대한 증명책임은 검사에게 있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순히 이적표현물을 소지했다는 사실만으로 이적행위 목적이 있다고 단정 지을 수 없으며, 검사는 그 목적을 입증해야 합니다. 본 판례에서는 원심이 이적표현물의 내용을 잘못 판단하고, 이적행위 목적에 대한 증명 없이 유죄 판결을 내린 부분에 대해 파기 환송을 결정했습니다.

#이적표현물#판단기준#이적행위#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