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간치상

사건번호:

91도288

선고일자:

199104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이 간음할 목적으로 여자 혼자 있는 방문 앞에서 방문을 열어주지 않으면 부수고 들어갈 듯한 기세로 방문을 두드리고 피해자가 창문에 걸터 앉아 가까이 오면 뛰어 내리겠다고 하는데도 베란다를 통하여 창문으로 침입하려고 한 것을 강간의 착수가 있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피고인이 간음할 목적으로 새벽 4시에 여자 혼자 있는 방문 앞에 가서 피해자가 방문을 열어 주지 않으면 부수고 들어갈 듯한 기세로 방문을 두드리고 피해자가 위험을 느끼고 창문에 걸터 앉아 가까이 오면 뛰어 내리겠다고 하는데도 베란다를 통하여 창문으로 침입하려고 하였다면 강간의 수단으로서의 폭행에 착수하였다고 할 수 있으므로 강간의 착수가 있었다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형법 제25조, 형법 제297조, 제30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4.26. 선고 83도323 판결(공1983,936), 1990.5.25. 선고 90도607 판결(공1990,1412)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김이조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1.8. 선고 90노334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후 이 판결 선고 전 구금일수 중 3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1. 피고인이 제출한 상고이유와 국선변호인이 제출한 상고이유 1, 3점에 대하여 제1심판결이 적시한 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제1심법원이 피고인에 대하여 그 판시와 같은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할수 있다고 한 설시이유를 수긍할 수 있고 그 양형이 과중하다고 할 수도 없다. 그러므로 원심이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인정되고 원심의 사실인정에 관한 판단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상고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고 제1심의 양형이 부당하다는 주장은 이 사건에서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는 것이다. 2.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 2점에 대하여 제1심판결이 증거로 채택한 공소외인의 진술(법정증언과 수사기관에서의 진술 포함) 중에 피고인이 피해자를 간음하려고 하였다는 말을 들었다는 부분이 있고 구정을 쇠러 가족과 함께 본가에 갔던 피고인이 느닷없이 다음날 새벽 4시에 집으로 돌아와 18세 처녀가 혼자 자는 방으로 들어가려고 기도한 것은 명백한 것이므로 그 방실 침입의 목적에 관한 합리적인 변명이 없는 이 사건에서 원심이 그 적시의 증언에 의하여 간음 목적으로 그 방에 침입하려고 하였다고 인정한 것을 위법하다고 할 수 없으며 피고인이 여자를 간음할 목적으로 그 방문 앞에 가서 피해자가 방문을 열어주지 않으면 부수고 들어갈 듯한 기세로 방문을 두드리고 피해자가 위험을 느끼고 창문에 걸터 앉아 가까이 오면 뛰어내리겠다고 하는데도 그 집 베란다를 통하여 창문으로 침입하려고 하였다면 강간의 수단으로서의 폭행에 착수하였다고 할 수 있으므로 피고인에게 강간의 범의가 없었다거나 아직 강간의 착수가 있었다고 할 수 없다는 상고논지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후 이 판결 선고전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이회창 이재성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잠든 여성의 가슴과 엉덩이를 만진 행위, 강간미수일까?

잠든 여성의 가슴과 엉덩이를 만지는 행위만으로는 강간죄의 실행에 착수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대법원 판결. 강간죄가 성립하려면 폭행이나 협박을 수단으로 간음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한다.

#강간미수죄#실행착수#폭행협박#간음

형사판례

술에 취해 흐느적거리며 만졌어도 강간미수?

강간죄가 성립하기 위해 필요한 폭행·협박의 정도는 피해자의 항거를 불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여야 하며, 강간죄의 실행의 착수는 이러한 폭행·협박을 시작한 때로 본다는 판례.

#강간죄#폭행·협박#실행의 착수#항거불능

형사판례

밤에 칼 들고 집에 들어갔다가 갑자기 성폭행을 저지르면 특수강도강간죄일까?

밤에 흉기를 들고 남의 집에 몰래 들어가 집안을 살피다가, 그 안에 있던 사람을 발견하고 갑자기 욕정이 생겨 칼로 위협하여 강간한 경우, 특수강도강간죄가 아닌 단순 강간죄에 해당한다.

#야간주거침입#강간#특수강도강간죄 불인정#강도의사 부재

형사판례

강간 피하려 4층에서 뛰어내린 여성, 가해자는 강간치상죄 아닌 강간미수죄

강간을 피하려고 4층 창문에서 뛰어내려 다친 경우, 가해자가 피해자의 상해를 예견할 수 있었는지 여부가 강간치상죄 성립의 핵심 쟁점. 본 판례에서는 예견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강간치상죄를 부정함.

#강간치상죄#예견가능성#상해#강간미수

형사판례

2층 베란다에 올라가 창문을 살핀 행위, 절도 실행의 착수일까?

밤에 남의 집에 몰래 들어가 물건을 훔칠 생각으로 베란다 난간에 올라가 창문을 열려고 시도했다면, 이미 범죄 실행에 착수한 것으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야간주거침입절도죄#실행의 착수#베란다 난간#창문

형사판례

강간죄에서 폭행·협박의 정도, 얼마나 심해야 할까?

20대 여성을 강간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남성의 상고심에서 대법원은 원심이 폭행·협박의 정도에 대한 심리가 부족했다며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했습니다. 강간죄가 성립하려면 피해자의 항거를 불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의 폭행·협박이 있어야 하는데, 원심은 이 부분을 제대로 심리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강간죄#폭행·협박#심리미진#파기환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