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치사,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1도580

선고일자:

1991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해 및 폭행의 기회에 공범중 1인이 살인행위를 한 경우의 다른 공범의 죄책

판결요지

피고인이 공범들과 공동하여 피해자의 신체를 상해하거나 폭행을 가하는 기회에 공범 중 1인이 고의로 피해자를 살해한 경우, 피고인이 살인행위를 공모하거나 공범의 살인행위에 관여하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살인죄의 죄책은 지지 아니한다고 하더라도 상해나 폭행행위에 관하여는 서로 인식이 있었고 예견이 가능한 공범의 가해행위로 사망의 결과가 초래된 이상, 상해치사죄의 죄책은 면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30조, 제250조, 제25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4.10.5. 선고 84도1544 판결(공1984,1814), 1988.9.13. 선고 88도1046 판결(공1988,1293), 1990.12.26. 선고 90도2362 판결(공1991,678)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곽동헌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1.2.6. 선고 90노79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9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과 변호인의 각 상고이유에 대하여 함께 판단한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이 채용한 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면, 피고인이 원심공동피고인 김동수를 비롯한 공범들과 공동하여 피해자의 신체를 상해하거나 피해자의 신체에 대하여 폭행을 가하는 기회에, 원심공동피고인 김동수가 고의로 피해자를 살해한 사실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고 ,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채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는바,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피고인이 살인행위를 공모하거나 공범의 살인행위에 관여하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살인죄의 죄책은 지지 아니한다고 하더라도, 상해나 폭행행위에 관하여는 서로 인식이 있었고 예견이 가능한 공범의 가해행위로 사망의 결과가 초래된 이상, 상해치사죄의 죄책은 면할 수 없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당원 1988.9.13. 선고 88도1046 판결 참조) 판단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도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원심판결에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최재호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여럿이서 때렸는데 누가 죽였다면? 상해치사죄 공동정범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함께 폭행하는 과정에서 피해자가 사망했을 경우, 사망이라는 결과를 예상하지 못했더라도 함께 폭행한 사람들은 모두 상해치사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즉, 폭행을 공모한 것만으로도 충분하며, 사망까지 공모할 필요는 없다.

#공동폭행#상해치사#공동정범#예견가능성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면 어떤 처벌을 받을까요? 공동정범에 대한 이야기

여러 사람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기로 마음을 먹은 경우(공모), 직접 피해자를 살해하지 않았더라도 살해 행위에 가담했다면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공동정범#살인#공모#암묵적 합의

형사판례

싸움 구경만 했는데 폭행죄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여러 명이 싸움에 가담한 경우, 폭행죄 공범 성립 여부

여러 사람이 함께 피해자와 다투는 상황에서 일부만 폭행을 했을 경우, 폭행에 직접 가담하지 않고 오히려 말린 사람은 공범으로 볼 수 없다.

#폭행#공범#공동정책#현장동석

형사판례

친구와 함께 저지른 폭행, 그 책임은 어디까지? 공동 범행과 상해치사

여러 사람이 함께 폭행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 칼로 찔러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 칼을 찌른 사람이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더라도 함께 폭행한 다른 사람도 상해치사죄로 처벌될 수 있으며, 범행에 사용된 흉기가 공범자의 소유라도 몰수할 수 있다.

#공동폭행#상해치사#공동정범#흉기몰수

형사판례

폭행, 같이 때려야 공동폭행?

여러 사람이 폭행을 모의했더라도, 실제로 2명 이상이 현장에서 직접 폭행해야 공동폭행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현장에 있거나 폭행 장면을 촬영만 한 경우에는 공동폭행죄로 처벌할 수 없습니다.

#공동폭행죄#현장폭행#촬영#방조

형사판례

누군가 시켜서 사람을 다치게 했는데, 죽으면 어떤 죄일까?

누군가에게 상해나 중상해를 시켰는데, 시킨 대상이 그보다 더 나아가 살인을 저지른 경우, 시킨 사람은 어떤 죄를 지게 될까요? 단순 상해/중상해 교사죄일까요, 아니면 살인죄에 대한 책임도 져야 할까요? 이 판례는 그 죄책의 범위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살인죄에서 '고의'는 어떤 의미인지도 설명합니다.

#상해교사#살인#고의#예견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