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등록무효

사건번호:

91후301

선고일자:

199111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제9호에서 말하는 주지상표의 요건 및 그에 대한 판단기준 나.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 인용상표 "ASCⅡ"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가 등록되었고, 일본국에서 발행된 신문 등에 인용상표가 게재되었으나, 인용상표가 국내에서 주지상표라고 할 수 없어 등록상표 "A S C Ⅱ(에이 에스 씨)"가 구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9,10호 규정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가.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제9호에서 말하는 주지상표라 함은 반드시 수요자 또는 거래자가 그 상표사용인이 누구인가를 구체적으로 인식할 필요는 없다 하더라도 적어도 그 상표가 특정인의 상품에 사용되는 것임을 수요자 또는 거래자 간에 널리 인식되어 있음을 필요로 하고, 주지상표인가의 여부는 그 사용, 공급 또는 영업활동의 기간, 방법, 태양 및 거래범위 등과 그 거래실정이나 사회통념상 객관적으로 널리 알려졌느냐의 여부가 일응의 기준이 된다. 나.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 인용상표 "ASCⅡ"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가 등록되었고, 일본국에서 발행된 신문 기타 정기간행물과 팜플렛에 인용상표가 게재되었으나, 인용상표가 국내에서 주지상표라고 할 수 없어 등록상표 "A S C Ⅱ(에이 에스 씨)"가 구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9, 10호 규정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구 상표법 (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제9호, 제10호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3.3.8. 선고 81후50 판결(공1983,659),1986.1.21. 선고 85후92 판결(공1986,380),1990.9.28. 선고 89후2281 판결(공1990,2167)/나. 대법원 1990.3.9. 선고 89후1776 판결(공1990,888)

판례내용

【심판청구인, 상고인】 가부시끼 가이샤 아스끼 소송대리인 변리사 강동수 외 2인 【피심판청구인, 피상고인】 【원 심 결】 특허청 항고심판소 1991.1.31. 자 89항당26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심판청구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심판청구인 대리인들의 상고이유를 본다. 구상표법 제9조 제1항 제9호에서 말하는 주지상표라 함은 반드시 수요자 또는 거래자가 그 상표사용인이 누구인가를 구체적으로 인식할 필요는 없다 하더라도 적어도 그 상표가 특정인의 상품에 사용되는 것임을 수요자 또는 거래자 간에 널리 인식되어 있음을 필요로 하고(당원 1983.3.8. 선고 81후50 판결 참조) 주지상표인가의 여부는 그 사용, 공급 또는 영업활동의 기간, 방법, 태양 및 거래범위 등과 그 거래실정이나 사회통념상 객관적으로 널리 알려졌느냐의 여부가 일응의 기준이 된다고 할 것이다(당원1986.1.21. 선고 85후92 판결 참조). 원심결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본건 등록상표"A S C II(에이 에스 씨)"와 심판청구인이 주지 저명하다고 주장하는 인용상표 "A S C II"를 대비하기에 앞서서 거시증거들에 의하여 인용상표가 국내의 거래자, 수요자 간에 널리 인식되어져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판단함에 있어, 심판청구인이 제출한 거시증거에 의하면 이들 문서에는 인용상표가 게재되어 있으나 전부 일본국에서 발행된 신문 기타 정기간행물과 팜플렛이고 거시증거에 의하면 일본의 신문이 국내에 반입되어 있는 사실은 인정되나 이것만으로는 인용상표가 게재된 일본의 신문이나 잡지가 국내의 수요자들에게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얼마 동안 선전 광고되었는지 알 수 없고, 그 밖에 심판청구인이 제출한 증거자료만으로는 인용상표가 국내의 거래자, 수요자 간에 현저하게 인식되어져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 인용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가 등록되었다 하여서 인용상표가 국내의 수요자 간에 인식되고 널리 알려져 있다는 것은 아니므로 본건 등록상표가 구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9, 10호의 규정에 해당된다는 심판청구인의 주장은 이유없고, 본건등록상표의 표시자체가 그 지정상품이 통상적으로 지닌 품질이 아닌 다른 품질을 가진 것으로 오인케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도 없으므로 본건 등록상표가 위 법 제9조 제1항 제11호의 규정에 해당된다고도 할 수 없어 심판청구인의 주장은 이유없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결의 위와 같은 시실인정과 인용상표가 국내에서 주지성을 획득하지 못하였다는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내지 채증법칙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이유불비 등의 위법이 있다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인용상표보다 앞서 국내에서 등록된 본건 등록상표는 그것이 인용상표와 동일 유사한 것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유효한 것이라 하겠으므로 원심결이 등록상표와 인용상표를 비교함에 있어 이유불비 내지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우동 김상원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ASCII 상표, 선등록된 유사 상표 때문에 등록 거절!

이미 등록된 상표와 유사한 상표는 등록이 거절되며, 선등록상표가 무효심판 중이더라도 무효 확정 판결 전까지는 유효한 상표로서 효력을 가진다.

#유사상표#등록거절#선등록상표#무효심판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에서 '주지상표'란 무엇일까?

먼저 사용하던 상표가 유명한 상표(주지상표)인지, 그리고 나중에 등록된 상표가 이를 악용하려는 의도가 있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히 먼저 사용하던 상표가 유명하지 않다면, 나중에 등록된 상표가 악용하려는 의도가 있었는지 여부는 더 이상 판단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선사용 상표#주지성#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2호#부정한 목적

특허판례

유명 해외 자전거 브랜드, 한국에서 짝퉁 상표 무효화 성공!

해외에서 유명한 자전거 브랜드(A)와 유사한 상표를 국내에서 등록한 회사(B)에 대해 A가 무효소송을 제기했는데, 과거 A가 B의 동생(C)을 상대로 제기했던 유사 소송이 기각된 전례가 있어 일사부재리 원칙 위반 여부가 쟁점이 된 사안. 대법원은 A가 제출한 새로운 증거가 이전 소송 결과를 뒤집을 만큼 유력하다면 일사부재리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환송함.

#상표 무효소송#일사부재리#새로운 증거#유명상표 모방

특허판례

해외에서 유명한 상표, 국내 상표출원 거절될 수 있을까?

외국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상표를 다른 사람이 국내에서 먼저 상표출원하더라도, 원래 상표 사용자가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는 판결.

#해외상표#국내출원#선사용#상표권

특허판례

상표권 유지를 위한 상표 사용 – 어디까지 해야 할까요?

국세청이 새로운 주류 수입 면허 발급을 막았더라도 기존 면허를 가진 수입업자를 통해 수입이 가능하다면, 이를 빌미로 상표가 붙은 상품을 수입하지 않은 것은 상표를 사용하지 않은 정당한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일부 주류 수입이 금지되었다고 해서 모든 주류 수입이 금지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국내가 아닌 외국 대사관 등에 상품을 공급한 것은 국내에서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주류 수입#상표 사용#면허 제한#상표 등록 취소

특허판례

'프록센' 상표, 누구 거야? 주지상표 인정의 조건

특정 상표가 '주지상표'로 인정되어 타인의 상표등록을 막으려면, 소비자 또는 거래자 등 거래관계자 사이에서 해당 상표가 특정 기업의 것으로 널리 인식되어야 합니다. 이 판결은 주지상표 인정 여부를 판단할 때 수요자의 범위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증거들이 필요한지를 보여줍니다.

#프록센#상표#주지상표#수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