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2다16171

선고일자:

199208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부 일방의 특유재산의 추정이 번복되는 경우의 소유관계

판결요지

부부의 일방이 혼인중에 자기 명의로 취득한 재산은 그 명의자의 특유재산으로 추정되나, 실질적으로 다른 일방 또는 쌍방이 그 재산의 대가를 부담하여 취득한 것이 증명된 때에는 특유재산의 추정은 번복되어, 그 다른 일방의 소유이거나 쌍방의 공유라고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83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9.9. 선고 85다카1337, 1338 판결(공1986, 1300), 1990.10.23. 선고 90다카5624 판결(공1990, 2381)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3.20. 선고 91나4739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부부의 일방이 혼인중에 자기 명의로 취득한 재산은 그 명의자의 특유재산으로 추정되나, 실질적으로 다른 일방 또는 쌍방이 그 재산의 대가를 부담하여 취득한 것이 증명된 때에는 특유재산의 추정은 번복되어, 그 다른 일방의 소유이거나 쌍방의 공유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당원 1990.10.23. 선고 90다카5624 판결; 1986.9.9. 선고 85다카1337, 1338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이 사건 아파트에 관하여 원.피고의 혼인중에 남편인 원고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것이기는 하나, 그 실질적인 취득경위에 있어 아내인 피고가 세대주인 원고의 명의로 위 아파트에 관한 분양계약을 체결한 후 스스로 그 분양대금 전액을 부담하여 이를 취득한 것이라는 사실관계를 인정하고, 이에 터잡아 이 사건 아파트는 피고의 단독소유에 속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과 판단은 모두 정당하다고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위배 등으로 인하여 사실을 오인하거나 특유재산의 추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부간 부동산 명의신탁, 꼼꼼히 따져봐야 하는 이유

결혼 후 아내 명의로 부동산을 샀는데, 남편 돈이 일부 들어갔다고 해서 무조건 남편이 아내에게 명의신탁한 것은 아니라는 판결. 법원은 남편이 해당 부동산을 실질적으로 소유하려는 의도로 돈을 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배우자 명의 부동산#명의신탁#부부 재산#특유재산

민사판례

사실혼 부부의 재산, 누구 것일까?

사실혼 관계에서 한쪽 배우자 명의로 된 재산이라도, 상대 배우자가 실제로 돈을 내어 취득했다면 상대 배우자의 소유이거나 둘의 공동 소유가 될 수 있습니다.

#사실혼#재산분할#실질소유#명의신탁

민사판례

부부가 함께 산 집, 누구 소유일까요? - 공동명의와 명의신탁 이야기

부부가 함께 돈을 모아 산 부동산은, 등기가 아내 명의로 되어 있더라도 남편의 지분을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

#부부공동자금#부동산#명의신탁#지분인정

상담사례

남편 명의 집, 내 돈으로 샀는데... 내 집 맞나요? 😫

남편 명의로 집을 샀더라도, 아내 돈으로 구매했다면 아내가 실소유자임을 객관적 증거로 입증해야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부부별산제)

#부부별산제#명의#소유권#입증

세무판례

배우자 명의 부동산, 내 거라고 우길 수 있을까?

결혼 중 남편 명의로 산 땅을 아내 명의로 바꿨다면, 아내가 땅값을 냈다는 증거가 없으면 남편이 아내에게 땅을 증여한 것으로 봅니다.

#부부#공동재산#명의신탁#증여

민사판례

내조 잘했다고 내 집? 부부 재산, 누구 것일까?

결혼 중에 부부 중 한 사람 이름으로 재산을 취득하면, 그 재산은 이름을 올린 사람의 개인 재산으로 간주됩니다. 배우자가 재산 취득에 도움을 주었거나 가사 노동을 했다는 사실만으로는 이 추정이 뒤집히지 않습니다. 실제로 재산을 취득한 돈을 누가 냈는지가 중요합니다.

#특유재산#명의자#재산취득#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