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규정개정무효확인

사건번호:

92다49294

선고일자:

199305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근로자들의 단체적 의사에 의한 동의 없이 퇴직금지급률을 하향 개정한 직원보수및퇴직금규정을 인용하여 단체협약에 정한 규정이 단체협약을 통하여 노동조합의 사후추인을 얻음으로써 유효하게 되었다고 한 원심의 조치를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근로자들의 단체적 의사에 의한 동의 없이 퇴직금지급률을 하향 개정한 직원보수및퇴직금규정을 인용하여 단체협약에 정한 규정이 단체협약을 통하여 노동조합의 사후추인을 얻음으로써 유효하게 되었다고 한 원심의 조치를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구 근로기준법 (1998.3.29. 법률 제40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5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2.7.24. 선고 91다34073 판결(공1992,251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남해화학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고석윤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9.29. 선고 92나114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제1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1981년 단체협약체결 당시의 피고 회사 노동조합(이하 노조라고 약칭한다)위원장으로서 노조측의 단체교섭위원 4인 중의 한사람으로 참석한 소외 1, 피고측 단체교섭위원으로 참석한 소외 2, 피고의 직원인 소외 3 등에 대한 증인신문조서등본(을 제1호증의 40, 42, 44, 57), 피고 회사의 단체협약들(을 제1호증의 14, 19, 22, 24, 27, 30, 33) 및 을 제1호증의 52, 53, 55 등의 각 기재, 증인 소외 1, 소외 4의 각 증언 등 그 거시증거들을 종합하여 1981.5.29. 실시된 피고 회사 노조위원장선거에서 같은 해 4.20. 개정된 피고 회사의 퇴직금규정을 환원시키겠다는 것을 선거공약으로 제시한 위 소외 1이 위원장으로 당선되고 그 뒤 설시와 같은 경과로 1981년도 단체협약이 체결된 사실, 그 단체협약체결과정에서 이미 퇴직금규정이 개정되어 있었으므로 새로운 단체협약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직접 직원보수및퇴직금규정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규정하자는 의견이 있어 그 제30조에서 “회사는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조합원이 퇴직 또는 사망하였을 때에는 직원보수및퇴직금규정의 정한 바에 의하여 퇴직금을 지급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같은 해 4.20.자로 이미 개정되어 있던 직원보수및퇴직금 규정을 위 단체협약에서 직접 인용한 사실 등을 인정한 조치는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및 경험칙에 위배하여 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2점 및 제3점에 대하여, 원심이 위에서 본 바와 같은 인정된 사실에 의하면 위 개정된 직원보수및퇴직금규정은 1981년도 단체협약에 인용되는 형식으로 포함되고 피고 회사 노동조합규약에 의하여 단체협약의 최종체결권자로 규정된 위 노조의 위원장인 정빈근과 피고 사이에 체결된 위 단체협약을 통하여 위 노동조합의 사후추인을 얻음으로써 유효하게 되었다고 판단한 조치 또한 그대로 수긍이 되고(당원 1992.7.24. 선고 91다34073 판결 참조) 거기에 소론과 같은 취업규칙 변경의 요건이나 무효인 법률행위의 추인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도 어느 것이나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배만운 김석수(주심) 최종영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퇴직금 지급률 변경과 노조 동의, 그리고 단체협약의 효력

회사가 직원들의 동의 없이 퇴직금 지급률을 불리하게 바꿨더라도, 이후 노조와 새 단체협약을 맺어 변경된 지급률을 따르기로 했다면, 기존 직원들에게도 변경된 지급률이 적용된다.

#퇴직금#단체협약#노조 동의#규정 변경

민사판례

회사가 맘대로 퇴직금 규정 바꿀 수 있을까?

회사가 직원들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취업규칙(예: 퇴직금 규정)을 바꾸려면 직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단순히 직원들이 반대하지 않았다고 해서 동의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직원 과반수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설령 개별 직원이 동의했더라도 과반수 동의가 없다면 그 변경은 효력이 없습니다.

#퇴직금#취업규칙 변경#직원 동의#과반수 동의

상담사례

퇴직금 규정, 회사 맘대로 바꿔도 되나요? 🤔 (단체협약의 함정!)

회사가 퇴직금 규정을 불리하게 바꿔도 노조가 단체협약으로 동의하면 직원 개인의 동의 없이 그 규정이 적용된다.

#퇴직금#규정 변경#단체협약#노조

민사판례

회사 퇴직금 규정, 노조가 나중에 동의해도 효력 있을까?

회사가 직원들에게 불리한 규칙 변경을 할 때, 설령 그 변경으로 손해를 보는 직원들이 노조에 가입하지 않았더라도, 기존 노조의 동의(사후 추인 포함)를 받아야 변경된 규칙이 효력을 갖는다.

#노조#사후추인#퇴직금#취업규칙 변경

민사판례

회사가 마음대로 퇴직금 규정을 바꿀 수 있을까요?

회사가 근로자들에게 불리하게 퇴직금 규정을 바꾸려면 근로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동의 없이 바꾼 규정은 효력이 없습니다. 신문 보도나 일부 직원의 수령, 정부 방침 등은 동의로 볼 수 없습니다.

#퇴직금#규정 변경#근로자 동의#무효

민사판례

회사가 마음대로 우리 퇴직금 줄일 수 있을까? - 취업규칙 변경과 근로자 동의

회사가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취업규칙을 바꿀 때는 근로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동의 없이 변경된 취업규칙은 효력이 없다.

#취업규칙 변경#근로자 동의#불리한 변경 무효#퇴직금 지급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