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

사건번호:

92도280

선고일자:

199205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내연관계에 있던 자의 물건을 가져 와 보관한 후 그가 이를 찾으러 오면 이를 반환하면서 타일러 다시 내연관계를 지속시킬 생각으로 이를 가져 온 경우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다고 할 수 없다 한 사례

판결요지

내연관계에 있던 여자가 계속 회피하며 만나 주지 않자 내연관계를 회복시켜 볼 목적으로 그녀의 물건을 가져 와 보관한 후 이를 찾으러 오면 그 때 그 물건을 반환하면서 타일러 다시 내연관계를 지속시킬 생각으로 물건을 가져 왔고 그녀의 가족에게 그 사실을 그녀에게 연락하라고 말하였으며 그 후 이를 보관하고 있으면서 이용 내지 소비하지 아니한 경우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다고 할 수 없다 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32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4.4.24. 선고 84도311 판결(공1984,951), 1992.4.24. 선고 92도118 판결(공1992,1771)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대전지방법원 1991.12.20. 선고 91노93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피고인과 내연관계를 맺어 오던 공소외 1이 피고인을 피해 행방을 감추어 공소외 1의 아파트로 찾아 갔으나 만나지 못하자 그 소유의 패물을 가지고 가면 이를 찾기 위해서라도 자신을 찾아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그 소유의 다이아반지 등 판시 패물을 가져온 뒤 그녀의 딸(고교 3년생)에게 전화하여 그 사실을 공소외 1에게 연락하라고 알려준 후 공소외 1이 피고인을 찾아오자 이를 반환하였고 그 자리에서 내연관계를 지속시키려고 시도하였던 사실, 그 뒤에도 공소외 1이 피고인을 회피하자 또 다시 공소외 1의 아파트를 방문하였으나 그녀가 피고인을 피해 나가자 위와 같은 의도에서 판시 물건을 가지고 나오면서 그 자리에 있던 그녀의 어머니인 공소외 2에게 그 사실을 그녀에게 연락해 달라고 말하였고 그 후 이를 보관하고 있으면서 이용 내지 소비하지는 않았던 사실을 인정하고, 피고인이 위 나영순과의 내연관계를 회복시켜 볼 목적으로 그녀의 물건을 가져와 보관한 후 이를 찾으러 오면 그때 그 물건을 반환하면서 잘 타일러 다시 내연관계를 지속시킬 생각으로 그 물건을 가져온 것이라면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다고 할 수 없고 달리 인정할 아무런 증거가 없다고 판시하였다. 기록에 대조 검토하여 볼 때 원심의 위 인정과 판단은 옳고 거기에 소론이 주장하는 채증법칙위반의 위법이 없으며 절도죄로 기소된 사안에 대해 공소장변경없이 재물은닉죄를 적용 처단할 수는 없는 것이다. 소론 주장은 모두 채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남의 카드 잠깐 썼다고 절도죄?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타인의 직불카드를 허락 없이 사용하여 돈을 이체했더라도 카드 자체를 곧바로 돌려줬다면 절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절도죄#직불카드#무단사용#이체

형사판례

돈 떼였다고 남의 물건 함부로 가져가면 절도죄!

돈을 빌려주고 못 받았다고 해서 함부로 채무자의 물건을 가져가면 절도죄가 된다는 판결입니다. 채권 확보 목적이라도, 주인 허락 없이 물건을 가져가면 안 됩니다. 자기 마음대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법대로 하라는 이야기입니다.

#절도죄#채권추심#자구행위#추정적승낙

형사판례

훔친 물건 돌려줬다고 절도가 아니다? 착각은 금물!

밤에 카페 내실에 몰래 들어가 금품을 훔쳐 나오다 발각되어 돌려준 경우에도 절도죄가 성립한다. 단순히 훔치려고 시도한 미수가 아니라, 이미 절도가 완료된 것으로 본다.

#절도죄#기수#야간주거침입절도#반환

형사판례

살인 후 지갑을 태웠는데 절도죄일까?

살인 후 증거인멸을 위해 피해자의 지갑을 태운 행위는 절도죄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절도죄가 성립하려면 돈을 훔쳐 자기 것처럼 쓰려는 의도(불법영득의사)가 있어야 하는데, 단순히 증거를 없애려는 의도만으로는 절도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살인#지갑 소각#절도죄 불성립#불법영득의사 부재

형사판례

내 차를 내가 가져왔는데 왜 절도죄?

빌린 차를 돈을 못 갚아 빼앗긴 후, 되찾아 소유자에게 돌려줬더라도 절도죄가 성립한다는 판결.

#절도죄#불법영득의사#절취#차량

형사판례

군무 이탈 중 총기 휴대, 절도죄일까?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군무를 이탈하며 자신도 모르게 총기를 휴대했을 경우, 총기를 훔칠 의도(불법영득의사)가 있었다고 보기 어려워 절도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

#군무이탈#총기휴대#절도죄#불법영득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