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위반

사건번호:

92도2963

선고일자:

199306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편집저작물이 독자적 저작물로 보호받기 위한 요건 나. 편집저작물인 성서주해보감이 한글개역성경에 있는 주제성구 중의 일부를 단순히 기계적으로 인용한 데에 불과하고 그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적어 독자적 저작물로 보호될 정도의 창작성이 있다고 인정되지 아니한다 한 사례

판결요지

가. 편집저작물에 있어서도 소재의 선택 또는 배열이 창작성이 있어야 독자적인 저작물로 보호된다. 나. 편집저작물인 성서주해보감이 한글개역성경에 있는 주제성구 중의 일부를 단순히 기계적으로 인용한 데에 불과하고 그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적어 독자적 저작물로 보호될 정도의 창작성이 있다고 인정되지 아니한다 한 사례.

참조조문

저작권법 제6조, 제98조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68.7.16. 선고 68다938 판결, 1979.12.28. 선고 79도1482 판결(공1980,12505), 1992.9.25. 선고 92도569 판결(공1992,3050)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수원지방법원 1992.10.22. 선고 91노151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 및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피고인이 무단이용하였다는 성서주해보감은 원서인 ‘the treasury of scripture knowledge’를 토대로 한 것인데, 위 원서(이하 성서지식의 보고라고 한다)는 성경의 각 문구를 해석함에 있어서 관련된 다른 성구를 정리하여 놓는 소외 관주방법에 의하여 작성된 책으로서, 먼저 주제가 된 성경구절의 핵심적인 단어를 주제성구로 표시한 다음 그 구절과 관련된 다른 구절이 속하는 성경책명, 장, 절을 알파벳 약자와 숫자를 이용하여 표시하여 놓은 것인 데 비하여 위 성서주해보감은 보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주제성구를 우리나라에 널리 사용되는 대한성서공회의 한글개역성경에서 찾아서 그 구절 전부 또는 일부를 인용하였고, 알파벳 약자와 숫자로만 표시되어 있는 관련성경구절도 위 한글개역성경에 있는 해당구절에서 찾아서 전부 인용하여 놓은 책임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런데 위 성서주해보감과 같은 편집저작물에 있어서도 그 소재의 선택 또는 배열이 창작성이 있는 것이어야 독자적인 저작물로 보호된다 할 것인바( (저작권법 제6조),),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위 성서지식의 보고에는 주제성구를 성구 중의 핵심적인 단어로 간단하게 표시하였는 데 비하여 위 성서주해보감은 보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성경구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 한글개역성경에서 찾아서 인용하고 있는 차이점이 있음은 소론이 주장하는 바와 같으나, 위와 같이 성서주해보감의 편집을 함에 있어서 인용된 자료는 누구나 찾아볼 수 있는 위 한글개역성경에 이미 수록된 것이었고, 그 인용작업 또한 위 한글개역성경에 있는 주제성구 중의 일부를 옮겨 놓는 단순한 기계적 작업의 범주를 그다지 벗어난다고 보이지 아니할 뿐 아니라 주제성구 부분이 위 성서주해보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적다는 점 등을 참작하여 보면 위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위 성서주해보감의 소재의 선택 또는 배열이 독자적인 저작물로 보호될 정도로 창작성이 있다고 인정되지는 아니한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것은 이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이 주장하는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윤관 김주한(주심)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재 편집, 저작권 침해일까?

이 판례는 자료를 모아 만든 편집물이 저작권으로 보호받기 위한 조건과,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단순한 자료 나열이 아닌, 편집자의 독창적인 선택과 배열이 있어야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편집저작물#저작권 침해#독창성#선택 배열

민사판례

개정된 성경, 새로운 저작권을 인정받다!

대한성서공회가 1952년판 성경을 개정하여 1961년판 성경을 발행했는데, 이 개정판이 기존 판과 저작권법상 별개의 저작물로 인정되는지, 그리고 원본 저작권이 소멸된 성경 번역본의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성경 번역본#저작권#개정판#별개 저작물

형사판례

노동가요 편곡집 100부 출판, 저작권 침해일까?

기존 가요에 새로운 가사를 붙인 노동가요들을 모아 편곡집을 만들어 배포한 행위는 저작권 침해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연구 목적이었다는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노동가요#편곡집#저작권 침해#부정출판

형사판례

책 요약도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글을 요약해서 돈 받고 팔았다면 저작권 침해일까요? 네, 원본과 비슷하다면 저작권 침해입니다. 단순히 다른 언어로 번역하거나 요약했더라도 원본의 핵심 내용과 구성을 그대로 가져왔다면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몰랐다"는 변명도 통하지 않습니다.

#요약물#저작권 침해#실질적 유사성#2차적 저작물

생활법률

재판 증거로 저작물 복제해도 괜찮을까? 저작권 침해 걱정 끝!

재판 등 공적 목적을 위해 저작물 복제 및 번역은 저작권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지 않는 필요한 범위 내에서 허용되며, 출처 명시는 필수이다.

#재판 증거자료#저작권#복제#번역

민사판례

수험서도 저작권 보호받을 수 있을까? - 창작성의 경계

수험서와 같은 실용적인 책도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지만, 단순히 정보나 지식을 전달하는 부분이 아니라 저자만의 독창적인 표현이 담긴 부분만 보호 대상이 됩니다. 표현이 아닌 아이디어 자체는 저작권 보호를 받지 못합니다.

#수험서#저작권#창작성#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