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건설촉진법위반

사건번호:

92도3184

선고일자:

199302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임대국민주택 아파트에 당첨된 지 9일만에 입주권을 매도한 행위가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12.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7조 제1항 소정의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게 하거나 공급받은 행위’ 에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피고인은 국민주택인 임대아파트에 당첨되자 입주권을 타에 매도한 후 서울특별시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매수인으로 하여금 아파트에 입주하게 한 바 있으나, 아파트에 당첨된 지 9일만에 입주권을 매도한 것만으로는 아파트를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임대받았거나 임대받게 하였다고 단정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12.8,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1조 제6호, 제47조 제1항, 제3조 제5호, 주택공급에관한규칙 제2조 제3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0.4.22. 선고 80도512 판결(공1980,12833), 1992.4.28. 선고 92도232 판결(공1992,178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환송판결】 대법원 1992.4.28. 선고 92도23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보면,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 즉, “피고인은 주택건설촉진법에 따라 건설 공급되는 국민주택인 B 임대아파트를 임대받더라도 이에 입주할 의사가 없는데도, 국민주택청약저축에 가입해서 불입금을 여러 번 납부해 왔음을 이용하여, 1988.8.11.경 서울 양천구 B 임대아파트관리사무소에서 스스로 위 임대아파트에 입주할 것처럼 가장하고 그 1215동 305호에 관하여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다음, 그 해 7.30. 피고인으로부터 대금 2,300만원에 입주권을 매수한 무자격자 공소외 C로 하여금 이에 입주하게 하는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위 국민주택을 공급받게 하였다.”는 데에 대하여, 그 설시 증거들을 종합하여 피고인은 1988.7.21. 이 사건 임대아파트에 당첨되자 7.30. 그 입주권을 공소외 차정윤에게 매도하였고, 8.11. 서울시와 위 아파트에 관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그 무렵 위 공소외인으로 하여금 위 아파트에 입주하게 한 사실은 인정되나, 피고인이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이 사건 아파트를 임대받았거나 임대받게 하였다는 점을 인정할 자료가 없고, 피고인이 이 사건 아파트에 당첨된지 9일만에 그 입주권을 매도하였다 하더라도, 이것만으로는 피고인이 위 아파트를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임대받았거나 임대받게 하였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오히려 원심증인 D의 증언으로, 피고인은 자기집을 마련하고자 주택청약저축에 가입하여 6년여에 걸쳐 불입금을 납입한 끝에 이 사건 아파트에 당첨되었으나, 그 주장과 같이 경제 여건이 갑자기 악화되어 어쩔 수 없이 그 입주권을 위 공소외인에게 매도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을 뿐이라는 이유를 들어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 살피건대, 원심의 사실인정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위배의 위법은 없고, 사실관계가 위와 같다면 피고인의 행위는 주택건설촉진법 제47조 제1항이 정한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게 하거나 공급받은 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논지들은 모두 이유가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아파트 2중 당첨, 사기인가요? 억울한 사연!

이 판례는 청약예금 제도가 시행되는 지역에서 주택에 2번 당첨된 경우, 그것이 '부정한 방법'에 해당하여 처벌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착오나 법을 몰라서 발생한 2중 당첨은 부정한 방법으로 보지 않지만, 고의로 2중 당첨 사실을 숨긴 경우는 부정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주택#2중 당첨#부정한 방법#고의

형사판례

부정한 방법 없이 얻은 주택, 전매/전대해도 처벌될까?

부정한 방법으로 분양받지 않은 주택을 전매(팔거나 양도) 또는 전대(재임대)하는 것은 주택건설촉진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주택건설촉진법#전매#전대#적법분양

세무판례

아파트 당첨권, 2년 안에 팔면 양도소득세 공제 못 받아요!

아파트 당첨권을 취득 후 2년 안에 팔면 양도소득세 계산 시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아파트 당첨권#양도소득세#공제#2년 보유

형사판례

아파트 당첨권 매매 알선, 불법일까요?

아파트 당첨권 매매를 알선하는 행위는 부동산중개업법 위반이 아니다. 법에서 금지하는 '부동산 분양 관련 증서 매매 알선'에 당첨권은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아파트 당첨권#매매 알선#부동산중개업법 위반#무죄

민사판례

택지개발지구 이주대책으로 받은 아파트, 전매해도 괜찮을까?

공공사업으로 땅을 수용당한 사람에게 제공된 이주대책용 아파트를 다른 사람에게 판 경우, 주택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그러한 전매행위가 주택법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이주대책용 아파트#전매#주택법 위반#공공용지 수용

민사판례

임대아파트 무단 전대, 우선매수권 인정 안 돼!

집주인 동의 없이 임대아파트를 전전세로 들어간 사람은 경매 시 우선매수권을 행사할 수 없다.

#임대아파트#무단전차인#우선매수권#불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