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운수사업법위반

사건번호:

92도500

선고일자:

199207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교회 산하 각 교구가 공동설립한 회사가 각 교구 소속 버스들을 가지고 한 신도운송행위가 자동차운수사업법 소정의 유상운송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교회 산하 각 교구가 그 소속 버스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는데서 오는 차량의 노후화, 자동차종합보험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각 교구 소속 버스들을 효율적,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회사를 설립하게 되었고, 위 회사는 위 교회 근처에 사무실을 마련하여 여직원 1명을 두고 버스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면서 버스들의 연락 배차, 교통사고, 보험, 세무처리 등의 행정적인 관리업무만을 처리하여 왔을 뿐이고, 위 회사가 설립된 이후에도 위 버스들의 관리는 여전히 종전과 같이 각 교구별로 담당책임자인 조장이 있어 각 교구 소속 신도들로부터 차량관리헌금을 받아 교구 소속 버스의 운전기사 급료, 유류대, 차량수리비 등을 지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교구별로 직접 맡아 오면서, 다만 위 회사의 사무실 등을 운영하기 위한 경비조로 매달 10만 원씩 공동비용을 내어왔다면, 위 회사가 자기 계산하에 영리적 목적으로 운송의 대가를 받고 신도들을 수송한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어서 위 회사의 신도운송행위는 자동차운수사업법 소정의 유상운송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자동차운수사업법 제72조 제5호, 제5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11.22. 선고 83도2302 판결(공1984,131), 1985.12.24. 선고 85도164 판결(공1986,358)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A 외 1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2.1.14. 선고 91노964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확정한 바에 따르면, 여의도 순복음교회 산하 각 교구가 그 소속 버스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데서 오는 차량의 노후화, 자동차종합보험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각 교구 소속 버스들을 효율적,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피고인 회사를 설립하게 되었으나, 피고인 회사는 위 교회 근처에 사무실을 마련하여 여직원 1명을 두고 이 사건 버스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면서 버스들의 연락 배차, 교통사고, 보험, 세무처리 등의 행정적인 관리업무만을 처리하여 왔을 뿐이고, 피고인 회사가 설립된 이후에도 이 사건 버스들의 관리는 여전히 종전과 같이 각 교구별로 담당책임자인 조장이 있어 각 교구 소속 신도들로부터 차량관리헌금을 받아 교구 소속 버스의 운전기사 급료, 유류대, 차량수리비 등을 지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교구별로 직접 맡아 왔고, 다만 피고인 회사의 위 사무실 등을 운영하기 위한 경비조로 매달 10만 원씩 공동비용을 내어 피고인 회사를 운영, 이용한 것에 불과하다고 봄이 상당하고, 피고인회사나 피고인 A가 자기의 계산하에 영리적 목적으로 운송의 대가를 받고 신도들을 수송한 것은 아니라고 할 것(당원 1983.11.22. 선고 83도2302 판결 참조)이므로, 이와 같은 취지에서 피고들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자동차운수사업법 소정의 유상운송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박우동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학교 통학버스, 유상운송 아니다?

학교에서 학생들의 통학 편의를 위해 운영하는 통학버스는, 비록 학생들로부터 일정액의 이용료를 받더라도, 영리 목적의 유상 운송으로 볼 수 없으므로, 통학버스 운행 중 사고가 발생했을 때 자동차보험 약관상의 유상운송 면책 조항을 적용하여 보험금 지급을 거부할 수 없다.

#학교 통학버스#유상운송 면책#보험금 지급#실비 보전

일반행정판례

우리끼리 출퇴근 버스, 불법일까요?

회사 동료들이 돈을 모아 함께 출퇴근용 버스를 구입하고 유지비용만 공동 부담하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한 영업행위(유상운송)가 아니라는 판결.

#출퇴근#공동차량#유상운송X#실비분담

형사판례

대학교 통학버스, 노선버스 vs 전세버스?

대학교 총학생회와 계약을 맺고 학생들만 태우는 통학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 운행하더라도 노선버스가 아닌 전세버스로 본다는 판결.

#대학교 통학버스#전세버스#노선버스#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형사판례

여행알선업자가 버스 빌려 영업하면 불법? 대표이사 선임과 관련된 법적 분쟁 살펴보기

여행알선업자가 버스를 빌려 무허가로 여객 운송 사업을 하고, 공동대표로 등기하기로 한 약속을 어기고 서류를 위조해 단독 대표이사로 등기한 혐의 등에 대해 유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대법원이 확정했습니다. 피고인은 무죄 부분에 대해서도 상고했지만, 무죄 판결은 피고인에게 유리한 것이므로 상고할 자격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여행알선업#무면허 여객운송#서류위조#단독 대표이사 등기

일반행정판례

우리 회사 통근버스, 불법일까요? 전세버스vs노선버스 구분 기준!

학교 교직원들이 만든 통근버스회와 운송계약을 맺고, 통근버스회가 정한 코스와 시간에 따라 버스를 운행하는 것은 전세버스 사업에 해당한다. 따라서, 특정 기관장과 계약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과징금을 부과한 것은 잘못되었다.

#교직원 통근버스#전세버스#과징금#운송계약

형사판례

우리 아파트 셔틀버스, 불법일까요?

아파트 주민들을 위해 아파트 소유의 버스를 운영하며 이용료를 받는 것은 불법 여객운송사업이 아니다.

#아파트 셔틀버스#불법 여객운송#무죄#주민 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