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상구조

사건번호:

92마102

선고일자:

19920831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제1심에서 패소한 당사자가 제2심에서 소송상의 구조를 신청한 경우 민사소송법 제118조 제1항 단서 소정의 "패소할 것이 명백한 경우"가 아니라는 점에 관한 소명의 정도

판결요지

제1심에서 패소한 당사자가 제2심에서 소송상의 구조를 신청한 경우에, 민사소송법 제118조 제1항 단서에 규정되어 있는"패소할 것이 명백한 경우"가 아닐 것이라는 요건의 존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그 당사자가 제1심에서 패소한 사실만을 가지고 막바로 제2심에서도 패소할 것이 명백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패소할 것이 명백한 경우가 아니라는 점에 관한 소명의 정도는 제1심에서 소송상의 구조를 신청하는 경우에 비하여 좀더 구체적인 소명을 필요로 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항소인이 제2심에서 소송상의 구조를 신청하려면, 자신이 제1심에서는 패소하였지만 제1심판결에 사실상·법률상의 하자가 있어서 그 판결이 취소될 개연성이 없지 않다거나, 자신이 제출할 새로운 공격방어방법이 새로운 증거에 의하여 뒷받침됨으로써 제2심에서는 승소할 가망이 없다고 할 수 없다는 점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그 사유를 소명하지 않으면 안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18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신청인, 재항고인】 【원심결정】 부산고등법원 1992.1.8. 고지 92카18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1. 원심은, 제1심에서 패소한 신청인의 이 사건 본안청구중 일부는 확정판결(부산지방법원 1990.9.5.선고 90가합2270 판결)의 기판력에 저촉되고, 그 나머지 청구도 상대방이 소외 주식회사 한일유업의 대표이사로서 하였다고 신청인이 주장하는 일련의 행위가 위 회사의 채권자인 신청인에 대하여 직접 불법행위를 구성한다고는 보기 어렵고, 또 신청인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 회사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신청인이 재산상의 손해 이외에 별도의 정신적 손해를 입었으리라는 특별한 사정이 전혀 엿보이지 아니하며, 위 회사가 신청인에게 신청인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별도의 손해배상의무를 지고 있다고 인정될 여지도 희박하여 결국 인용되기 어려우므로, 신청인이 패소할 것이 명백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대한 소명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관계소명자료와 기록에 의하면, 위 확정판결에서 신청인의 상대방에 대한 금원지급청구가 본안에 대한 판단을 거쳐 기각되었음이 분명하므로 위 확정판결에 소론과 같이 기판력이 없다고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불법행위의 성립 및 손해의 발생 등의 법리에 관한 원심의 판단도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결정에 소론과 같은 각 법령 및 판례위반, 법리오해, 판단유탈, 이유불비, 이유모순, 채증법칙 위배, 헌법위반,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2. 제1심에서 패소한 당사자가 제2심에서 소송상의 구조를 신청한 경우에, 민사소송법 제118조 제1항 단서에 규정되어 있는 “패소할 것이 명백한 경우”가 아닐 것이라는 요건의 존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그 당사자가 제1심에서 패소한 사실만을 가지고 막바로 제2심에서도 패소할 것이 명백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패소할 것이 명백한 경우가 아니라는 점에 관한 소명의 정도는 제1심에서 소송상의 구조를 신청하는 경우에 비하여 좀더 구체적인 소명을 필요로 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항소인이 제2심에서 소송상의 구조를 신청하려면, 자신이 제1심에서는 패소하였지만, 제1심 판결에 사실상·법률상의 하자가 있어서 그 판결이 취소될 개연성이 없지 않다거나, 자신이 제출할 새로운 공격방어방법이 새로운 증거에 의하여 뒷받침됨으로써 제2심에서는 승소할 가망이 없다고 할 수 없다는 점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그 사유를 소명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할 것이다. 제1심 법원이 소론과 같이 신청인의 신청에 의하여 소송상의 구조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신청인이 제1심에서 패소한 이상, 원심에서 다시 소송상의 구조신청을 함에 있어서는 자신이 패소할 것이 명백한 경우가 아니라는 점에 관하여 제1심에서보다 구체적인 소명을 하여야 할 것이므로, 그와 같은 사유가 소명되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신청인의 소송상의 구조신청을 기각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결정에 소론과 같이 민사소송법 제118조 또는 제261조의 법리를 오해하거나 석명권을 행사하지 아니한 채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신청인이 패소할 것이 명백한 경우가 아니라는 점이 소명되지 아니하였다면, 설사 신청인이 소송비용을 지출할 자력이 부족하다는 점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다고 본 원심의 부가적인 판단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위법은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 못된다. 3. 또한 기록에 의하면, 원심이 원심결정의 사건번호에 명백한 오류가 있다는 이유로 이를 경정한 조치도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결정에 소론과 같이 민사소송법 제210조나 제197조를 위반하거나 그에 관한 법리를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4. 결국 논지는 모두 이유가 없으므로 신청인의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최재호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에서 도움이 필요하세요? 소송구조 제도, 항소심에서의 활용 방법

돈이 없어 소송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소송구조 제도를 이용하려면, 특히 1심에서 패소하고 항소한 경우에는 1심 판결의 잘못된 점이나 새로운 증거를 통해 이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소송구조#항소심#1심 판결 문제점#새로운 증거

민사판례

상고심에서 소송구조 신청,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항소심에서 졌다고 해서 무조건 상고심에서도 질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상고심에서 소송구조(소송비용 지원)를 받으려면 항소심 판결에 문제가 있어 뒤집힐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더 자세히 소명해야 합니다.

#상고심#소송구조#소명#항소심 판결

민사판례

소송에서 도움받기: 소송구조 요건과 항소심에서의 주의점

돈이 없어 소송 비용을 낼 수 없는 사람이 소송구조(나라에서 소송 비용을 지원해주는 제도)를 신청하려면 단순히 가난하다는 것만으론 부족하고, 이길 가능성도 어느 정도 보여줘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특히 1심에서 졌다면 2심에서 이길 가능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소송구조#승소가능성#입증책임#재심

민사판례

소송구조, 꼭 이겨야만 받을 수 있을까?

1심에서 졌다고 항소심에서 소송구조를 무조건 기각할 수 없고, 항소심에서 이길 가능성이 아예 없다고 확실히 판단될 때만 기각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소송구조는 필요한 부분만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항소심#소송구조#기각요건#패소확실

민사판례

소송구조, 어떻게 신청해야 할까요? - 자금 능력 소명과 선정당사자의 소송구조

소송구조 신청 시 재산관계진술서 제출은 자금능력 부족 소명의 한 방법일 뿐이며, 다른 방법으로 소명이 가능하다. 또한, 선정당사자 소송의 경우 누구에게 어떤 범위의 소송구조를 허가하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

#소송구조#재산관계진술서#자금능력 소명#선정당사자

일반행정판례

소송구조 요건, 패소 가능성과 자금 능력을 따져봐야 합니다

돈이 없어 소송하기 어려운 사람을 돕는 소송구조 제도에서 '패소할 것이 명백하지 않아야 한다'는 요건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이 판례는 승소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입증할 필요는 없고, 법원이 기존 재판 자료를 보고 패소가 명백하다고 판단할 수 없다면 이 요건을 충족한다고 봅니다.

#소송구조#패소 명백하지 않음#승소 가능성 입증 불필요#기존 재판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