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소장각하

사건번호:

92마146

선고일자:

19920415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가. 항소제기기간 준수 여부의 판단기준시 나.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이 소송법상 서울민사지방법원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항소제기기간의 준수 여부는 항소장이 제1심 법원에 접수된 때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여야 하며 비록 항소장이 항소제기기간 내에 제1심 법원 이외의 법원에 제출되었다 하더라도 항소제기의 효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나.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이 서울민사지방법원의 지원이라 하더라도 각급법원의설치와관할구역에관한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독립된 토지관할권을 가지는 위 지원을 가리켜 소송법상 위 법원의 일부라고는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367조 제1항, 각급법원의설치와관할구역에관한법률 제4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1.10.13. 선고 81누230 판결(공1981,14505), 1985.5.24. 자 85마178 결정(공1985,1323), 1987.12.30. 자 87마1028 결정(공1988,400)

판례내용

【재항고인】 주식회사 선경 【원심결정】 서울고등법원 1992.1.20. 자 91라181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민사소송법 제367조에 의하면 '항소의 제기는 항소장을 제1심법원에 제출함으로써 한다' 규정되어 있으므로 항소에있어 항소제기기간의 준수여부는 항소장이 제1심 법원에 접수된 때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여야 하며 비록 항소장이 항소제기기간 내에 제1심 법원 이외의 법원에 제출되었다 하더라도 항소제기의 효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당원 1981.10.13. 선고 81누230 판결; 1985.5.24. 자 85마178 결정; 1987.12.30. 자 87마1028 결정 등 참조) 그리고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이 서울민사지방법원의 지원이라 하더라도 '각급법원의설치와관할구역에관한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독립된 토지관할권을 가지는 위 지원을 가리켜 소송법상 위 법원의 일부라고는 할 수 없다. 같은 취지의 원심결정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항소, 어디에 제출해야 할까요? - 항소 기간과 법원에 대한 오해 풀기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하려면 2주 이내에 1심 판결을 내린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해야 하며, 잘못된 법원에 제출하면 항소는 효력이 없다.

#항소#항소기간(2주)#항소장 제출처(1심 법원)#잘못된 제출(효력 없음)

상담사례

항소장, 잘못된 곳에 냈다면?! 항소기간 도과? 😱

항소장은 1심 법원에 제출해야 하지만, 같은 청사 내 법원에 잘못 제출했더라도 법원 위치 혼동 및 즉시 송부 시 항소기간이 준수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항소장#항소기간#1심 법원#법원 착오 접수

가사판례

항소 취하 후 다시 항소할 수 있을까?

항소를 취하했더라도 항소 기간이 남아있다면 다시 항소할 수 있습니다. 단, 항소 기간이 지난 후에 취하하면 첫 번째 판결이 확정됩니다.

#항소#취하#항소기간#재항소

민사판례

항소장에 꼭 항소 이유를 써야 할까요? 그리고 항소장 각하, 언제까지 가능할까요?

독립당사자참가 소송에서 항소장이 피항소인 중 일부에게라도 송달되었다면, 나머지 피항소인에 대한 주소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도 법원은 항소장을 각하할 수 없다.

#항소장#일부송달#주소보정불이행#각하불가

형사판례

항소이유서, 언제 제출된 걸로 볼까요?

항소이유서는 법원의 공식 접수나 처리 절차를 거치기 전이라도, 법원에 도착하여 사회통념상 존재가 확인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면 제출된 것으로 인정됩니다.

#항소이유서#도착#효력발생#접수 전

형사판례

항소이유서 제출기한 놓치면 어떻게 될까?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지만, 정해진 기간 내에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나중에 대법원에 상고할 때 사실오인이나 증거 판단의 잘못을 이유로 다툴 수 없습니다.

#항소이유서#제출기간 도과#상고#사실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