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사건번호:

92므990

선고일자:

199303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혼인생활 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는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권 유무(소극)

판결요지

혼인생활이 파탄에 이르렀더라도 파탄에 이르게 된 책임이 오로지 또는 주로 청구인에게 있는 경우에는 이혼청구는 허용되지 않는다.

참조조문

민법 제840조 제6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0.4.27. 선고 90므95 판결(공1990,1164), 1991.7.9. 선고 90므1067 판결(공1991,2158), 1991.12.24. 선고 91므528 판결(공1992,68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가정법원 1992.11.5. 선고 92르29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비록 혼인생활이 파탄에 이르렀더라도 그 파탄에 이르게 된 책임이 오로지 또는 주로 청구인에게 있는 경우에는 이혼청구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므로 ( 당원 1990.4.27. 선고 90므95 판결; 1991.7.9. 선고 90므1067 판결; 1991.12.24. 선고 91므528 판결 등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청구인이 청구인과 결혼하기 전 소외 1과 동거하면서 그 사이에 소외 2를 낳았고 청구인과 결혼한 후에는 술을 자주 마시며 청구인에게 폭언 또는 폭행을 가하여 가정불화가 있었던 사실 및 청구인이 결혼 후 신이 들렸다며 굿을 하고 점을 치는 등 무당일을 하다가 마침내 1977.8월경 집을 나가 지금껏 소외 3과 동거하고 있는 사실을 인정하고 나서 청구인과 피청구인 사이의 혼인생활이 파탄에 이르렀지만 이는 주로 청구인의 책임있는 사유에 기한 것이어서 이 사건 이혼청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기록에 비추어 옳게 수긍이 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나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가사판례

바람핀 배우자도 이혼 못할 수 있다?! 유책주의 이혼

바람, 폭행 등 법에서 정한 이혼 사유가 있더라도, 혼인 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는 배우자는 이혼소송을 할 수 없다.

#이혼#책임#유책주의#이혼청구 기각

가사판례

바람난 남편의 이혼 요구, 받아들여질까? - 유책주의와 이혼청구

바람을 피우고 가정을 버린 남편이 이혼을 요구했지만, 법원은 아내에게 이혼할 의사가 없다고 판단하여 이혼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바람을 피운 남편에게 이혼의 책임이 더 크다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이혼 거부#유책주의#바람#책임

가사판례

바람난 남편의 이혼 청구, 받아들여질까? - 유책주의와 이혼소송 이야기

남편의 외도와 시아버지의 폭행으로 가정이 파탄 났지만, 남편에게 이혼의 책임이 크기 때문에 남편의 이혼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혼 합의와 위자료 지급만으로는 이혼 사유가 되지 않으며, 남편이 다른 여성과 재혼한 사실도 이혼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유책배우자#이혼청구#기각#외도

민사판례

바람난 배우자의 이혼 청구, 받아들여질까?

바람을 피우고 다른 사람과 사실혼 관계를 맺어 자녀까지 낳은 유책배우자의 이혼 청구를 법원이 받아들인 사례. 혼인 관계가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파탄되었고, 혼인 지속이 배우자에게 고통을 준다면 유책배우자라도 이혼을 청구할 수 있다는 판결.

#유책배우자 이혼 청구#혼인 파탄#장기 별거#새로운 가정

가사판례

내 잘못으로 망가진 결혼, 이혼해달라고 할 수 있을까? - 유책주의 이혼 소송 이야기

남편이 아내와 자녀를 버리고 다른 여자와 오랫동안 동거하여 혼인이 파탄 났을 경우, 남편은 주된 책임이 있으므로 이혼을 요구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이혼청구기각#유책배우자#혼인파탄#동거

가사판례

바람핀 배우자도 이혼할 수 있을까? 유책주의와 이혼청구권

바람을 피워 혼인 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는 배우자(유책배우자)는 원칙적으로 이혼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상대방 배우자가 혼인을 계속할 의사가 없음이 명백한데도 오기나 보복심으로 이혼에 응하지 않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이혼 청구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간통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이혼 청구가 자동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유책배우자#이혼청구#예외#혼인계속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