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구의원당선무효확인

사건번호:

92수174

선고일자:

199207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지역구 국회의원선거에서 낙선한 자가 전국구 국회의원 당선인 전원의 효력을 다투는 소를 제기할 원고적격이 있는지 여부(소극) 나. 국회의원선거법상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전국구의원 전원에 대한 선거소송의 제기가 가능한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국회의원선거법 제146조는 당선의 효력에 관하여 이의가 있는 정당 또는 후보자에 대하여 원고적격을 인정하고 있고, 여기서의 후보자란 당해 선거구에서 낙선한 후보자를 말하는바, 정당의 전국구 후보자가 아닌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입후보한 자로서는 전국구 국회의원 당선인 전원의 효력을 다투는 소에서의 원고적격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나. 위 “가”항의 소가 선거소송의 일종으로 제기된 것이라고 본다 치더라도 국회의원선거법상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하여 전국구의원 전원에 대한 선거의 효력을 다툴 수 있는 근거는 찾아볼 수 없으므로 이러한 소송 역시 적법하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국회의원선거법 제145조,제146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68.7.15. 선고 67수29 판결(집16②선1) /나. 대법원 1971.7.9. 선고 71수2 판결(집19②선1)

판례내용

【원 고】 【피 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두현 【주 문】 원고의 소를 각하한다. 소송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청구취지】 피고가 1992.3.25. 소외 1 등 전국구의원에 대하여 한 당선배분결정은 무효임을 확인한다. 소송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 주장의 청구원인 사실은 요컨대 피고는 국회의원선거법 제133조에 의하여 제14대 전국구의원으로 소외 1 등을 배정 당선 결정을 하였으나, 헌법 제41조 제1항은 국회는 국민의 보통, 평등, 직접, 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된 국회의원으로 구성한다고 명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으로부터 한 표도 얻은 바 없는 사람들을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 배정 결정을 하였으니 이러한 결정은 무효이므로 그 확인을 구한다는 취지이다. 우선 이 사건에서의 원고의 당사자 적격에 관하여 보건대, 이 사건 소송은 원고의 주장취지에 비추어 전국구의석의 당선인 전원에 대한 당선결정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으로 볼 수 밖에 없는 바, 국회의원선거법 제146조는 당선의 효력에 관하여 이의가 있는 정당 또는 후보자에 대하여 원고 적격을 인정하고 있고, 여기서의 후보자란 당해 선거구에서 낙선한 후보자를 말하며, 원고는 정당의 전국구 후보자가 아닌 전주시 완산구의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입후보하였다는 것이므로 전국구 국회의원 당선의 효력을 다투는 원고로서의 적격이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당원 1968.7.15. 선고 67수29 판결 참조), 가령 이 사건 소송을 선거소송의 일종으로 제기된 것이라고 본다 치더라도 국회의원선거법상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하여 전국구의원 전원에 대한 선거의 효력을 다툴 수 있는 근거는 찾아 볼 수 없으므로 이러한 소송 역시 적법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당원 1971.7.9. 선고 71수2 판결 참조), 아무튼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다고 아니할 수 없으므로 각하하기로 하고 소송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김상원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선거무효소송과 당선무효소송, 그 차이를 아시나요?

선거 과정에서 불법 행위가 있었더라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고 선거관리위원회의 책임 있는 잘못이 있어야 선거 무효가 인정된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당선 무효 소송은 당선자를 상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제기해야 합니다.

#선거 무효#당선 무효#소송#선거관리위원회

일반행정판례

내가 당선자인데 왜 안 돼?! - 당선소송, 알고 계셨나요?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한 후보자가 당선 소송을 통해 자신의 당선을 확인받을 수는 없다. 당선 소송은 당선인의 당선 효력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문제가 있을 때 제기하는 소송이다.

#국회의원#선거#당선 소송#당선 확인

생활법률

선거 끝났다고 끝이 아니다! 당선 무효 소송, 뭐길래?

선거 후 당선 무효 소송은 대통령/국회의원 선거는 대법원에 30일 이내, 지방선거는 선거소청 후 대법원(광역단체장/교육감/비례대표 광역의원) 또는 고등법원(기초단체장/광역·기초의원)에 10일 이내 제기하며, 위법행위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경우에만 당선 무효 판결된다.

#당선 무효 소송#대법원#고등법원#공직선거법

일반행정판례

지방의회의원 선거, 불법 선거운동했다고 무조건 당선 무효는 아닙니다!

지방의회의원 선거에서 불법 선거운동을 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당선이 무효가 되지 않습니다. 당선 무효가 되려면 선거법 위반으로 징역형이나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아야 합니다.

#불법 선거운동#당선 무효#징역형#벌금형(100만원 이상)

민사판례

노동조합 임원 선거 무효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노동조합 임원 선거 결과에 불만이 있을 때, 당선자 개인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서는 안 됩니다. 소송은 선거 결과를 결정한 노동조합을 상대로 해야 합니다. 선거관리위원회 역시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노동조합#임원선거#무효확인소송#당선자

일반행정판례

선거법 위반과 선거 무효, 당선 무효 소송

선거운동 중 후보자의 위법행위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선거 자체나 당선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위법행위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정되어야 하고, 선거관리위원회의 책임 있는 관리 소홀이 있어야 선거가 무효가 됩니다. 당선 무효는 선거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당선인 결정 과정의 위법성을 다투는 것이며, 후보자의 선거 범죄는 형사 처벌 대상이 될 뿐 당선 무효 사유는 아닙니다. 다만, 당선인이 선거범죄로 일정 수준 이상의 형을 선고받으면 당선이 무효가 됩니다.

#선거운동#위법행위#선거무효#당선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