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등록무효

사건번호:

92후636

선고일자:

1992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등록상표가 기술적 상표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OVAL”이란 영어단어는 우리 사회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등록상표 ""의 지정상품인 행주 등의 일반 거래자나 수요자라고 볼 수 있는 가정주부들이 직관적으로 ‘난형의, 난형의 물건, 타원형의 땅, 달걀 모양의, 타원형의’라는 의미를 지닌 단어로 인식할 수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위 등록상표는 지정상품의 형상을 보통의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으로 된 상표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 제3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2.8.14. 선고 92후500 판결(공1992,2667)

판례내용

【심판청구인, 피상고인】 【피심판청구인, 상고인】 【원 심 결】 특허청항고심판소 1992.3.25. 자 90항당231 심결 【주 문】 원심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에 환송한다. 【이 유】 먼저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본다.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상표 '' 중 영어로 표기된 ‘OVAL’이 ‘난형의, 난형의 물건, 타원형의 땅, 달걀모양의, 타원형의’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은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다. 그런데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이전의 것) 제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상품의 산지, 품질, 형상 등을 보통의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된 상표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표의 의미내용은 일반 수요자를 기준으로 하여 그들이 그 상표를 보고 직관적으로 깨달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심사숙고하거나 사전을 찾아보고서 비로소 그 뜻을 알 수 있는 것은 고려대상이 되지 아니한다(당원1992.8.14. 선고 92후520 판결 참조). 그런데 위 영어단어는 우리사회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 상표의 지정상품인 행주 등의 일반거래자나 그 수요자라고 볼 수 있는 가정주부들이 직관적으로 위와 같은 의미를 지닌 단어로 인식할 수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원심이 이 사건 상표의 의미에 관하여 그 지정상품의 일반거래자나 수요자가 위와 같은 의미로 인식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이 사건 상표는 그 지정상품의 형상을 보통의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으로 된 상표라고 판단한 것은 위 규정의 법리를 오해한 것이다. 이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는 판단할 필요 없이 원심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PARADENT HEALTH' 상표, 넌 누구냐?! 기술적 상표 논란 해결!

'PARADENT HEALTH'라는 상표가 치육염, 치조농루 치료제의 효능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기술적 상표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는데, 대법원은 일반 수요자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하며 기술적 상표가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PARADENT HEALTH#상표#기술적 상표#대법원

특허판례

한글 TALK, 상표가 될 수 있을까? 기술적 상표와 결합상표 이야기

"한글TALK"라는 상표는 단순히 한글로 쓰는 용도를 나타내는 기술적인 표현이 아니라, 독창적인 디자인과 결합되어 상품 출처를 구별하는 기능을 충분히 갖추고 있으므로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

#한글TALK#상표#기술적 상표#등록 가능성

특허판례

칠자병차, 상표가 될 수 있을까? - 차 이름에 담긴 상표권 이야기

"칠자병차" 상표는 차의 형태(떡 모양, 7개 단위 포장)를 설명하는 표현이므로 특정 상표로 독점할 수 없다는 판결.

#칠자병차#상표#기술적 표장#무효

특허판례

발삼(BALSAM) 상표, 음료에 사용해도 괜찮을까? - 기술적 상표 여부 판단

'BALSAM'이라는 단어는 일반 소비자들이 상품의 특징을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기술적인 표현이 아니므로 상표로 등록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BALSAM#상표#등록#거절

특허판례

V-CONE, 유량계 이름으로 쓸 수 없다고? 기술적 상표란 무엇일까?

유량계에 사용되는 'V-CONE'은 제품의 핵심 부품 형태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기술적인 용어이므로 상표로서 독점적인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V-CONE#상표무효#유량계#기술적표현

특허판례

삼양사발면 vs. 사발, 상표권 분쟁 이야기

'사발'이라는 단어가 라면 용기를 묘사하는 일반적인 표현이라 하더라도, 상표로 등록되어 있고 라면 업계에서 흔히 쓰이는 표현이 아니라면 상표로서의 효력을 가진다는 판결. 따라서 '삼양사발면'은 기존에 등록된 '사발' 상표와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삼양사발면#사발#상표권 분쟁#상표 등록 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