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산)

사건번호:

93다10651

선고일자:

199309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근로자의 일실이익 손해에서 휴업급여를 공제할 경우 공제의 대상이 되는 기간

판결요지

요양중인 근로자가 휴업급여를 받았을 때에는 보험가입자는 그 금액의 한도 안에서 민법상의 손해배상책임이 면제가 되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9조의4에서 규정한 휴업급여는 업무상의 사유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인하여 요양중에 있는 근로자가 요양으로 인하여 취업하지 못한 기간 중에 일정액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근로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보험가입자가 수급권자의 일실이익의 손해액에서 휴업급여금을 공제하여야 할 경우에는 그것이 지급된 휴업기간 중의 일실이익 상당의 손해액에서만 공제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제393조),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9조의4, 제11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77.4.26. 선고 76다3034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두암건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병륜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1.28. 선고 92나2720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소론이 지적하는 점에 관한 원심의 인정판단은 원심판결이 설시한 증거관계에 비추어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그 과정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거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또 이 사건 사고발생경위가 원심판시와 같다면 이 사건 사고발생에 있어서의 원고 1의 과실을 60%로 본 원심판단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과실비율을 잘못 판단한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요양중인 근로자가 휴업급여를 받았을 때에는 보험가입자는 그 금액의 한도 안에서 민법상의 손해배상책임이 면제가 되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 11조 2항) 산업재해보상보험법 9조의4에서 규정한 휴업급여는 업무상의 사유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인하여 요양중에 있는 근로자가 요양으로 인하여 취업하지 못한 기간 중에 일정액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근로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려는데 그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보험가입자가 수급권자의 일실이익의 손해액에서 휴업급여금을 공제하여야 할 경우에는 그것이 지급된 휴업기간 중의 일실이익 상당의 손해액에서만 공제하여야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김상원 안우만(주심)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휴업급여, 손해배상에서 어떻게 계산될까?

업무상 재해로 휴업급여를 받았다면, 손해배상 청구 시 휴업급여를 받은 기간 동안의 일실수입(일하지 못해 잃은 수입)에 해당하는 금액만큼만 손해배상액에서 공제해야 한다. 즉, 휴업급여를 받았다고 해서 손해배상을 전혀 받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휴업급여#손해배상#중복지급#일실수입

생활법률

🤕 일하다 다쳤을 때! 놓치지 말아야 할 휴업급여 완벽 정리!

업무상 재해로 4일 이상 요양해야 할 때 평균임금의 70%를 휴업급여로 받을 수 있으며, 3년 내 근로복지공단에 신청해야 한다.

#휴업급여#산재보험#업무상 재해#요양

상담사례

교통사고 휴업급여, 손해배상 받을 때 빼야 할까요? 🤔

교통사고 휴업급여 수령 시 손해배상에서 공제되는 금액은 실제 손해액과 휴업급여의 중복 부분이며, 차액 발생 시 추가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교통사고#휴업급여#손해배상#중복보상

일반행정판례

산재보험 급여, 받을 수 있을까? 알아두면 든든한 산재보험 상식!

산재 근로자는 가해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든 없든, 또는 본인 과실이 있든 없든 산재보험법에서 정한 급여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다른 법령이나 합의 등으로 이미 보상받은 금액만큼은 제외됩니다.

#산재보험#급여 전액지급#가해자 배상#근로자 과실

민사판례

산재보험 받았다고 손해배상 청구 못한다? NO!

산업재해로 보험금을 받은 경우, 받은 보험금이 실제 손해액보다 많더라도 그 초과분을 다른 종류의 손해배상액에서 빼서는 안 된다.

#산재보험금#초과수령#공제불가#소극적 손해

일반행정판례

산재보험 받으면서 회사 상대로 소송하면 어떻게 될까?

산재보험으로 상병보상연금을 받는 사람이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을 때, 회사는 장해보상일시금이나 예상되는 상병보상연금 총액을 손해배상액에서 공제할 수 없다는 판결. 또한, 휴업보상, 상병보상연금, 장해보상 중 일부가 실제 손해보다 많더라도 그 초과액을 다른 보험급여 대상 기간의 손해액에서 공제할 수 없다.

#산재보험#손해배상#상병보상연금#장해보상일시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