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권확인

사건번호:

93다46919

선고일자:

1994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에 따른 이주대책대상자 선정신청에 대한 사업시행자의 확인·결정 등 이주대책에 관한 처분의 법적 성질 나. 사업시행자가 같은 법상 이주대책대상자 확인·결정 등의 처분 이후 이를 취소한 경우, 그 취소처분에 대한 쟁송방법

판결요지

가.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 제8조 제1항이 사업시행자에게 이주대책의 수립·실시의무를 부과하고 있다고 하여 그 규정 자체만에 의하여 이주자에게 사업시행자가 수립한 이주대책상의 택지분양권이나 아파트입주권 등을 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권리(수분양권)가 직접 발생하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으며, 사업시행자가 이주대책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해당자에게 통지 내지 공고한 후, 이주자가 수분양권을 취득하기를 희망하여 이주대책에 정한 절차에 따라 사업시행자에게 이주대책대상자 선정신청을 하고 사업시행자가 이를 받아 들여 이주대책대상자로 확인·결정하여야만 비로소 구체적인 수분양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사업시행자가 하는 확인·결정은 행정작용으로서의 공법상의 처분이다. 나. 수분양권의 취득을 희망하는 이주자가 소정의 절차에 따라 이주대책대상자 선정신청을 한 데 대하여 사업시행자가 이주대책대상자가 아니라고 하여 '가'항의 확인·결정 등의 처분을 하지 않고 이를 제외시키거나 또는 거부조치한 경우에는 이주자로서는 사업시행자를 상대로 항고소송에 의하여 그 제외처분 또는 거부처분의 취소를 구하면 될 것이고, 사업시행자가 그 확인·결정 등의 처분 이후 이를 다시 취소한 경우에도 역시 항고소송에 의하여 확인·결정 등의 취소처분의 취소를 구하면 될 것이며, 곧바로 민사소송으로 이주대책상의 수분양권의 확인 등을 구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참조조문

가.나.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 제8조 제1항 / 나. 행정소송법 제2조 , 제1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4.5.24. 선고 92다35783 전원합의체판결(공1994하,1779), 1994.10.25. 선고 94다7317 판결(동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박태용 【피고, 상고인】 한국토지개발공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차상근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3.7.28. 선고 92나3915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에 앞서 직권으로 살펴본다. (1) 공공용지의취득및손실보상에관한특례법(이하 특례법이라 한다) 제8조 제1항이 사업시행자에게 이주대책의 수립, 실시의무를 부과하고 있다고 하여 그 규정자체만에 의하여 이주자에게 사업시행자가 수립한 이주대책상의 택지분양권이나 아파트입주권 등을 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권리(이하 이를 수분양권이라 한다)가 직접 발생하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으며, 사업시행자가 이주대책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해당자에게 통지 내지 공고한 후, 이주자가 수분양권을 취득하기를 희망하여 이주대책에 정한 절차에 따라 사업시행자에게 이주대책대상자 선정신청을 하고 사업시행자가 이를 받아 들여 이주대책대상자로 확정,결정하여야만 비로소 구체적인 수분양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사업시행자가 하는 확인, 결정은 행정작용으로서의 공법상의 처분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수분양권의 취득을 희망하는 이주자가 소정의 절차에 따라 이주대책대상자 선정신청을 한 데 대하여 사업시행자가 이주대책대상자가 아니라고 하여 위 확인, 결정 등의 처분을 하지 않고 이를 제외시키거나 또는 거부조치한 경우에는 이주자로서는 사업시행자를 상대로 항고소송에 의하여 그 제외처분 또는 거부처분의 취소를 구하면 될 것이고(당원 1994.5.24. 선고 92다35783 전원합의체판결 참조), 나아가 사업시행자가 위 확인, 결정 등의 처분 이 후 이를 다시 취소한 경우에도 역시 항고소송에 의하여 확인, 결정 등 취소처분의 취소를 구하면 될 것이며, 곧바로 민사소송으로 이주대책상의 수분양권의 확인 등을 구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2) 원심이 적절히 인정한 바에 의하면, 피고가 택지개발사업을 시행하면서 특례법에 따른 이주대책을 실시함에 있어 원고는 이주자로서 피고에 대하여 이주자택지분양신청을 하고 전산추첨의 결과 당첨이 되어 피고와 이주자택지공급계약을 체결하려 하였으나 피고는 원고에게 보상계획공고일 현재 거주하지 아니한 결격사유가 있다는 이유로 위 계약체결을 거부하였다는 것인바, 그렇다면 피고가 원고의 이 사건 분양신청에 따라 원고에게 전산추첨의 기회를 부여하고 그 결과 원고로 하여금 특정 택지에 당첨되게 한 것이 사업시행자의 확인, 결정처분이라고 볼 여지가 있고, 이후 피고가 원고에게 결격사유가 있음을 이유로 분양계약체결을 거부함으로써 위 확인, 결정처분을 취소하였다고 보여지므로, 따라서 원고로서는 사업시행자인 피고를 상대로 이에 따른 항고소송을 제기하여야 하고, 달리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결국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민사소송으로서 이 사건 이주자택지에 대한 수분양권이 원고에게 있다는 취지의 확인을 구하는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여 각하를 면할 수 없다고 할 것임에도 원심은 이를 적법한 것으로 보아 본안에 들어가 판단하여 원고의 이 사건 청구를 인용한 것은 민사소송법상의 소의 대상에 관한 법리 및 특례법상의 이주대책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아니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당원이 직접 판결하기로 하여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하며 소송총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공택지 이주대책, 내 권리는 언제 생길까? 그리고 어떻게 지킬까?

국가 등이 공공사업을 위해 땅을 수용할 때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이주대책에 따른 택지나 아파트 분양권(수분양권)은 단순히 법에 규정되어 있다고 해서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업시행자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이주자가 신청하여 사업시행자가 이를 승인해야 발생한다. 만약 이주대책 대상자 선정에서 제외되면 민사소송이 아닌 행정소송으로 다퉅니다.

#공공용지#이주대책#수분양권#행정소송

민사판례

이주대책 대상자 취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공공사업으로 이주해야 하는 사람에게 사업시행자가 이주대책 대상자로 인정했다가 나중에 취소하면, 그 취소 결정에 불만이 있는 경우 **행정소송(항고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민사소송으로는 다툴 수 없습니다.

#공공사업#이주대책#대상자 취소#행정소송(항고소송)

일반행정판례

공공사업으로 집 잃으면 무조건 새 집 받을 수 있을까? 이주대책과 관련된 오해와 진실

공공사업으로 집을 잃은 사람에게 주어지는 이주대책은 신청만 한다고 바로 집이나 땅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업시행자가 정한 절차에 따라 신청하고 대상자로 선정되어야 분양권이 생긴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사업시행자는 이주대책용 주택의 수량이나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재량권을 가진다는 내용입니다.

#공공사업#이주대책#대상자 선정#분양권

일반행정판례

공익사업으로 이사해야 하나요? 이주대책 대상자 지정, 함부로 못 합니다!

공익사업으로 이주해야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이주대책 대상자 선정은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법적인 효력을 가지는 행정처분이므로, 부당한 결정에 대해서는 행정소송(항고소송)을 통해 다툴 수 있다.

#공익사업#이주대책#대상자 선정#행정처분

일반행정판례

내 집 팔았는데 이주대책 대상자가 아니라고? 왜?

공공사업 때문에 집을 잃더라도, 그 집에 실제로 살고 있던 사람만 이주대책 대상이 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집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다른 곳에 살고 있었다면 이주대책을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이주대책과 주택 특별공급은 별개의 제도이므로, 이주대책 대상이 아니더라도 다른 법령에 따라 주택 특별공급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있습니다.

#이주대책#실거주#주택 특별공급#택지개발예정지구

일반행정판례

이주대책 대상자, 누구까지 포함될까? 그리고 거부처분에 대한 소송은 가능할까?

공공사업 때문에 집을 잃은 사람은 이주대책을 요구할 권리가 있고, 사업이 끝났더라도 그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또한, 집의 실질적인 소유자라면 등기부등본상 소유자가 아니더라도 이주대책 대상이 될 수 있다.

#공공사업#이주대책#권리#소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