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금

사건번호:

93다57117

선고일자:

19940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처분문서의 증명력을 배척할 수 있는 경우

판결요지

진정한 것임이 증명된 처분문서라고 하더라도, 반증이 있거나 그 문서에 기재된 내용이 객관적인 진실에 반하는 것으로 볼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증명력을 배척할 수 있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8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0.3.23. 선고 89다카16505 판결(공1990,944), 1990.6.12. 선고 89다카30075 판결(공1990,1461), 1990.6.26. 선고 89다카27116 판결(공1990,1569)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10.20. 선고 93나159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1.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한 판단. 진정한 것임이 증명된 처분문서라고 하더라도, 반증이 있거나 그 문서에 기재된 내용이 객관적인 진실에 반하는 것으로 볼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증명력을 배척할 수 있는 것인바(당원 1990.3.23. 선고 89다카16505 판결; 1990.6.12. 선고 89다카30075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이 설시한 증거관계에 비추어보면, 원심이 판시한 바와 같은 이유로 원고의 주장에 부합하는 갑제1호증의1 2(각 현금보관증)의 기재내용을 믿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그 증명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처분문서의 증명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처분문서의 증거가치에 대한 판단을 잘못한 위법이나 이유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2. 같은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한 판단.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이 사건 소송의 청구원인으로서 원고가 1990.5.10.부터 7월 중순경까지 피고에게 합계 금 28,600,000원을 월3푼의 이자로 대여한 일 등이 있는데, 원고와 피고는 1990.8.20. 피고가 그때까지 원고로부터 차용한 채무의 총액을 금 40,000,000원으로 확정하고 이에 대하여 월3푼의 이자를 가산하여 지급하기로 약정하였으므로, 위 원금과 이에 대한 이자제한법 소정의 제한이율에 따른 이자의 지급을 청구하는 것이라는 취지로 주장함에 대하여, 피고는 원고와 피고가 위와 같이 약정한 사실이 없다고 다투면서, 피고가 1990.8.20. 이전에 원고로부터 합계 금 20,000,000원을 차용한 사실은 있지만, 다른 한편 피고도 원고에게 그 이상의 금원을 대여한 바 있으므로, 피고가 원고에게 부담하고 있는 차용금채무는 없는 셈이라고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피고가 제출하여 진술한 1992.11.6.자 11.13.자 1993.7.2.자 각 준비서면 참조). 그렇다면 원고가 자신과 피고가 위와 같이 약정하였다는 주장에 부합하는 증거로 제출한 위 갑제1호증의1 2가 원심이 판단한 바와 같이 증명력이 없는 것이어서 원고의 위와 같은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피고가 자신이 1990.8.20. 이전에 원고로부터 금 20,000,000원을 차용한 사실이 있다고 스스로 인정하고 있는 이상, 특별한 다른 사정이 없는 한 원심으로서는 원고가 피고에게 금 20,000,000원을 대여한 사실을 피고가 자백한 것으로 본 다음, 피고가 과연 그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원고에게 그 이상의 금원을 대여한 사실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심리판단하였어야 할 것이다(피고의 위와 같은 주장에는 상계의 항변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원고의 주장이 모두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청구를 전부 기각하고 말았으니, 원심판결에는 피고의 위와 같은 자백을 간과한 나머지 그와 상반되는 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하지 아니할 수 없고, 이와 같은 위법은 판결에 영향을 미친 것임이 분명하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용득(재판장) 안우만 김용준(주심) 천경송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차용증, 그 증명력에 대하여

법원은 진짜 차용증이라면, 그 내용이 틀렸다는 명백한 반대 증거가 없으면 차용증 내용대로 돈을 빌려준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차용증#증명력#반대증거#대법원

민사판례

계약서, 그냥 종잇장 아니죠! - 처분문서의 증명력

정식으로 작성된 계약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내용대로 효력이 인정된다. 단순히 다른 사람의 말이나 정황만으로 계약서의 내용을 부정할 수는 없다.

#계약서 효력#계약서 내용 부정 불가#증거 불충분#처분문서 증명력

민사판례

빌려준 돈 받기, 차용증 진짜 맞아?

돈을 빌려준 사람(원고)이 돈을 빌린 사람(피고)에게 돈을 돌려받았다는 차용증과 집을 판매했다는 가옥매도증서가 있는데, 원고는 이 문서들이 위조라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증인의 말만 듣고 문서가 위조라고 판단했는데, 대법원은 문서의 진위 여부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며 다시 재판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차용증#가옥매도증서#진정성립#심리미진

민사판례

돈 빌려줬다는 각서, 진짜 맞아? 법원은 어떻게 판단할까?

법원은 당사자가 주장하는 내용의 모순이나 불명확한 부분을 명확히 하도록 도와줄 의무가 있지만,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내용까지 알아서 챙겨줄 의무는 없다.

#석명의무#범위#당사자 주장#불명확

민사판례

빌려준 돈 못 받았는데, 법원은 왜 내 편을 안 들어줄까? 차용증이 있어도 소용없다고?

돈을 빌려줬다는 차용증이 있더라도, 빌려준 사람이 법원의 신문에 정당한 이유 없이 여러 번 나오지 않으면 법원은 돈을 빌려주지 않았다는 상대방의 주장을 사실로 인정할 수 있다.

#당사자신문 불출석#상대방주장 인정#차용증#증명력

민사판례

아들 명의 계좌에 입금된 돈, 누구의 빚일까? 차용증의 증명력에 대한 법원의 판단

돈을 빌려준 사람(원고)이 돈을 빌린 사람(피고)의 아들 명의 계좌로 돈을 입금했지만, 피고가 이를 자신의 빚으로 인정하는 차용증을 썼다면, 그 차용증은 효력이 있다는 대법원 판결.

#차용증#효력#아들 명의 계좌#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