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법위반

사건번호:

93도3221

선고일자:

199402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합의서의 내용이 피고인의 처벌을 희망하지 않는 의사를 명시적으로 표시한것이라고 본 사례

판결요지

합의서의 내용이 피고인의 처벌을 희망하지 않는 의사를 명시적으로 표시한 것이라고 본 사례.

참조조문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광주지방법원 1993.10.21. 선고 93노26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이 사건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피해자인 공소외 유한회사 무등통운은 피고인과 이 사건 교통사고에 대하여 원만히 합의하고 공소외 박상영을 통하여 1992. 3. 3. 자동차교통사고합의서라는 제목으로 그 제목 바로 밑부분 괄호안에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이라고 기재하고, 피해자 및 가해자는 이 사건 교통사고에 대하여 상호 원만히 합의되었기에 서명날인한 합의서를 제출한다는 내용의 서면을 이 사건 수사기관인 순천경찰서에 제출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따라서 위 피해자는 위 자동차교통사고합의서를 제출함으로써 피고인의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한다는 의사를 명시적으로 표시하였다고 할 것이고, 그후 위 피해자가 1992.4.4. 위 박상영을 통하여 위 합의를 무효화한다는 의사표시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반의사불벌죄에 있어서는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하는 의사를 명시적으로 표시한 이후에는 다시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를 표시할 수 없는 것이므로, 이 사건 공소는 결국 공소제기의 절차가 법률의 규정에 위반하여 무효인 때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반의사불벌죄에 있어서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의 철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소론이 들고 있는 당원의 판례는 사안을 달리하는 것으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김상원 박만호 박준서(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통사고 합의 후 돈 안 줬다고 처벌 원한다? 안 돼요!

교통사고 피해자가 가해자와 합의서를 작성하고 가해자가 이를 수사기관에 제출했다면, 가해자가 합의금을 전액 지급하지 않았더라도 피해자는 처벌불원의사를 철회할 수 없다.

#교통사고#합의금 미지급#처벌불원의사#철회 불가

형사판례

반의사불벌죄에서 처벌 희망 의사 번복은 불가능!

반의사불벌죄에서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가 다시 처벌을 원한다고 해도, 처음 의사표시를 철회할 수 없다.

#반의사불벌죄#처벌불원의사#번복불가#공소기각

형사판례

의식불명 피해자의 가족이 가해자 처벌을 원치 않아도 처벌 가능할까?

교통사고로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성인 피해자의 가족이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고 해도, 법적으로 효력이 없다.

#교통사고#의식불명#성인 피해자#처벌불원

상담사례

의료사고 합의, 나중에 뒤집을 수 있을까? - 의사의 억울함을 풀어드립니다!

의료사고 합의 후 의사의 과실 없음이 밝혀진 경우, 의사가 과실이 있다고 **착각**하여 합의했다면(즉, 과실 유무가 합의의 전제였다면) 합의 취소 가능성이 있다.

#의료사고 합의#합의 취소#의사 과실#착오

형사판례

미성년자 성범죄, 합의하면 처벌 안 할 수 있을까? - 처벌불원 의사표시에 대한 판례 해설

청소년 성범죄 피해자가 가해자와 합의 후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면, 이후 마음이 바뀌어 처벌을 원한다 해도 가해자는 처벌받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핵심은 피해자의 진정한 의사가 명확하게 표현되었는지에 있습니다.

#청소년 성범죄#피해자#처벌불원#합의

민사판례

교통사고 합의 후 소송, 가능할까?

보험사가 교통사고 피해자와 합의 후, 과실비율에 대한 착오를 이유로 합의를 취소하고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교통사고#합의#과실비율 착오#소송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