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사정

사건번호:

93후1056

선고일자:

199312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출원상표 "COLOMBIAN SUPREME"의 등록 가부

판결요지

출원상표 "COLOMBIAN SUPREME"은 구 상표법(1990.1.13.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상품의 품질, 산지 표시만으로 된 상표로서 같은 법 제9조 제1항 제11호 소정의 상품의 품질을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에 해당하여 등록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상표법 (1990.1.13.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 제3호 , 제9조 제1항 제1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9.9.26. 선고 88후1137 판결(공1989,1584), 1993.9.14. 선고 93후251 판결(공1993하,2789)

판례내용

【출원인, 상고인】 크래프트 제네랄 후우즈 인코포레이팃드 소송대리인 변리사 차윤근 외 1인 【상대방, 피상고인】 특허청장 【원 심 결】 특허청 1993.6.29. 자 92항원142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출원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제1,2점을 함께 본다. 원심결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본원상표 “COLOMBIAN SUPREME”중“SUPREME”은 영어로“최고의, 최상의”라는 뜻이 있어 그 지정상품인“코오피”,“대용코오피” 등에 사용하는 경우 일반수요자는 “최고의 코오피, 최상의 코오피”등으로 직감하게 된다 할 것이어서 이는 지정상품의 성질표시에 해당되고, 또“COLOMBIAN”은“콜롬비아”의 뜻이 있어“Colombia”가 직감되며, 콜롬비아는 세계 제2의 커피산지임에 비추어 본원상표를 그 지정상품인 코오피등에 사용하는 경우 일반수요자는 그 상품을 콜롬비아산의 코오피로 인식할 것이며, 콜롬비아산의 코오피가 아닌 상품에 본원상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수요자가 그 상품을 콜롬비아산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으므로, 본원상표는 그 지정상품의 품질 및 산지표시에 해당된다고 판단하여 구상표법 제8조 제1항 제3호 , 제9조 제1항 제11호의 규정을 적용하여 거절사정한 원사정을 유지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결의 이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 위배 또는 구상표법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본원상표는 지정상품의 품질을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암시하는 것이고 산지의 경우도 형용사형으로 표시된 것에 불과하여 전체적으로 추상적, 환상적 의미를 가지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나, 본원상표의 "SUPREME"이 품질을 암시하는데 불과하다고 할 수 없고,“COLOMBIAN”이 형용사형으로 사용된 것이라고 하여 산지를 직접적으로 표시한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없으며,“COLOMBIAN”과 “SUPREME”의 결합으로 인하여 전혀 다른 의미가 생긴다고 할 수도 없으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 따라서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배만운(주심) 김주한 정귀호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GEORGIA 상표, 커피 이름으로 쓸 수 없다고?

코카콜라사가 'GEORGIA'라는 커피 상표를 출원했지만, 'GEORGIA'가 유명한 지명이기 때문에 상표로 독점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특허청이 거절했고, 대법원도 이를 인정했습니다.

#GEORGIA#상표#등록거절#지명

민사판례

'GOLD BLEND' 상표, 과연 누구의 것? 커피 상표권 분쟁 이야기

'GOLD BLEND'는 커피 품질을 나타내는 기술적인 표현이라 상표권 보호를 받기 어들지만, 이미 널리 알려져 식별력을 획득했다면 보호받을 수 있다. 동서식품이 제품에 'GOLD BLEND'를 사용한 방식은 상표권 침해가 아닌 일반적인 품질표시로 인정되었다.

#GOLD BLEND#상표권 분쟁#기술적 상표#식별력

특허판례

옷 브랜드 이름, 멋으로 쓴 글씨체도 상표가 될 수 있을까?

글자를 변형하여 만든 상표(기술적 문자상표)가 도형화된 정도가 너무 커서 일반인이 글자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해당 상표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볼 수 없으므로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

#문자상표#도형화#식별력#상표등록

특허판례

콩다방, 누구 꺼? 상표권 분쟁 이야기

오랫동안 널리 사용된 결과 '커피빈(Coffee Bean)'이라는 일반명사가 특정 기업을 떠올리게 하는 식별력을 갖게 되었다면, 이를 고려하여 상표 유사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커피빈#상표권#일반명사#식별력

특허판례

“SOFTLIPS” 상표등록 거절, 왜일까요? 부드러운 입술을 위한 상표, 모두가 쓸 수 있어야!

입술용 연고의 상표로 "SOFTLIPS"를 사용하려 했으나, 상품의 효능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표현은 특정 회사가 독점할 수 없다는 것이 판결의 핵심입니다.

#SOFTLIPS#상표등록거절#효능표현#기술적표현

특허판례

카페라떼, 상표가 될 수 있을까? 🤔

'카페라테'처럼 상품의 보통명칭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상표로 등록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이미 다른 회사가 사용하고 있더라도, 그 명칭이 해당 상품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이름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카페라테#상표#보통명칭#상표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