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등록무효

사건번호:

93후978

선고일자:

199405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표등록취소심판절차의 진행중에 그 상표의 포기등록을 한 경우에도 구 상표법 제9조 제5항의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

판결요지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5항은 상표의 혼동적 사용, 불사용 등에 대한 제재규정으로서 상표등록이 심판절차에 의하여 취소된 후에 상표권자 등이 다시 그것과 동일한 상표를 등록출원하였을 때에 타인의 상표가 아니라는 이유로 즉시 등록이 허용된다면 상표취소심판제도의 존재의의를 없애는 결과가 되므로 특히 3년 동안은 상표권자나 상표를 사용한 타인이 등록받을 수 없도록 하고 있으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취소심판절차의 진행중에 그 상표의 포기등록을 한 경우에까지 위 규정이 적용된다고 확장해석할 수는 없고, 이로 인하여 취소되어야 할 상표의 상표권자가 상표법의 규정을 악용하는 결과가 초래되더라도, 명문의 규정이 없는 한, 이를 규제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5항, 제45조 제1항 제3호, 제4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심판청구인, 상고인】 로드스타 에스 에이 소송대리인 변리사 최덕규 【피심판청구인, 피상고인】 로드스타 안세아 인베스트먼츠 피티이 리미티드 소송대리인 변리사 백덕열 외 1인 【원 심 결】 특허청 항고심판소 1993.6.29. 자 91항당189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심판청구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보충상고이유서 포함)를 본다.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5항은 상표의 혼동적 사용, 불사용등에 대한 제재규정으로서 상표등록이 심판절차에 의하여 취소된 후에 상표권자등이 다시 그것과 동일한 상표를 등록출원하였을 때에 타인의 상표가 아니라는 이유로 즉시 등록이 허용된다면 상표취소심판제도의 존재의의를 없애는 결과가 되므로 특히 3년 동안은 상표권자나 상표를 사용한 타인이 등록받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취소심판절차의 진행중에 그 상표의 포기등록을 한 경우에까지 위 규정이 적용된다고 확장해석할 수는 없다 할 것이고, 이로 인하여 취소되어야 할 상표의 상표권자가 상표법의 규정을 악용하는 결과가 초래되더라도, 명문의 규정이 없는한, 이를 규제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현행 상표법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상표등록 취소심판 청구일 이후에 상표권등을 포기한 경우에도 위 제재규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원심이 이와 같은 견해에서 이 사건 등록상표는 피청구인이 1978.2.2. 출원하여 1979.2.22. 등록하였다가 1987.1.16. 상표권 포기로 말소된 (등록번호 생략) 상표와 동일한 상표로서 그 지정상품도 동일하지만, 위 인용상표는 상표등록취소의 심결이나 판결에 의하여 소멸한 것이 아니고 상표권포기등록으로 인하여 소멸된 것이므로 구상표법 제9조 제5항의 3년간의 등록금지규정이 적용되지 아니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이에 구상표법의 위 규정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배만운 김석수 정귀호(주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상표권 포기와 3년간 등록 제한: 취소심판 청구 중이라면?

상표권자가 자신의 상표를 사용하지 않아 취소심판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상표권을 포기하더라도, 이후 취소심판 청구가 각하되더라도 3년 동안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표를 새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

#상표권 포기#취소심판#동일·유사 상표 등록 금지#3년 제한

특허판례

상표권 소멸과 유사 상표 등록 금지

이미 다른 이유로 상표권이 소멸된 후, 상표등록취소심결에 대한 소송이 각하되어 형식적으로 심결이 확정되었다면, 그 심결을 근거로 동일·유사 상표의 등록을 3년간 금지하는 조항을 적용할 수 없다.

#상표등록취소심결#소각하#동일유사상표 등록금지#실질적 효력

특허판례

상표권 취소심판, 비슷한 상표 사용했다고 안 써도 되는 건 아니에요!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상표 사용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상표등록취소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이해관계인의 범위가 넓게 해석된 판례입니다.

#유사상표#상표등록취소심판#이해관계#상표사용

특허판례

상표권 취소, 3년 미사용 기준 시점은?

상표등록 취소심판에서 상표의 3년 미사용 기간을 판단하는 기준 시점은 심판청구일이며, 심리종결일이 아니다.

#상표등록 취소심판#3년 미사용#기준시점#심판청구일

형사판례

취소 가능한 상표라도 등록된 동안은 보호받는다!

등록이 취소될 가능성이 있는 상표라도, 실제로 취소되기 전까지는 상표권이 유효하며, 이를 침해하면 처벌받습니다. 또한, 항소심에서 징역형이 벌금형으로 변경된 것은 피고인에게 더 불리한 판결이 아니므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상표권 침해#취소 사유 상표#유효한 상표권#벌금형

특허판례

나도 모르는 사이 상표권 취소?! 유사 상표 사용의 함정

여러 개의 비슷한 상표를 사용하던 기업이 그중 하나만 상표 등록하고, 나머지 미등록 상표를 계속 사용해서 소비자 혼란을 가중시킨 경우, 등록된 상표라도 취소될 수 있다.

#상표등록취소#미등록상표#소비자혼란#부정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