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4누15325

선고일자:

199505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도 구 상속세법시행령 제5조 제1항 소정의 "시가"로 볼 수 있는지 여부 나. 토지구획정이사업에 따른 환지청산금 정산단가를 산정하기 위하여 토지평가사합동사무소가 감정한 토지가액을 구 상속세법시행령 소정의 '시가'에해당하는 것으로 본 사례

판결요지

가. 상속재산의 평가방법을 규정한 구 상속세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1항 소정의 '시가'라 함은 원칙적으로 정상적인 거래에 의하여 형성된 객관적 교환가격을 의미하지만, 이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평가한 가액도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거래를 통한 교환가격이 없는 경우에는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도 시가로 볼수 있다. 나. 시의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에 위치한 상속재산인 토지의 평가에 관하여, 그 토지에 대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따른 환지청산금 정산단가를 산정하기 위하여 시장이 토지평가사 자격을 갖춘 감정인들로 구성된 토지평가사합동사무소에 감정을 의뢰하여 그 감정기관이 상속개시일 약 1년 전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감정한 토지가액의 산술평균치를 "가"항 소정의 "시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원심의 조처를 정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구 상속세법(1993.12.31. 법률 제466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구 상속세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3.4.13. 선고 92누8897 판결(공1993상,1414), 1993.7.27. 선고 92누19323 판결(공1993하,2452), 1994.9.27. 선고 94누5472 판결(공1994하,2890)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동수원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11.17. 선고 94구11530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상속재산의 평가방법을 규정한 상속세법 제9조 제2항 소정의 "시가"라 함은 원칙적으로 정상적인 거래에 의하여 형성된 객관적 교환가격을 의미하지만 이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평가한 가액도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거래를 통한 교환가격이 없는 경우에는 공신력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도 시가로 볼 수 있는 것이다(대법원 1994.9.27.선고 94누5472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검토하여 보면, 수원시 지만인계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에 위치한 상속재산인 원심 판시 토지의 평가에 관하여, 위 토지에 대한 환지청산을 위하여 수원시장이 토지평가사 자격을 갖춘 감정인들로 구성된 소외 제일토지평가사합동사무소와 정일토지평가사합동사무소에 감정을 의뢰하여 위 각 감정기관이 이 사건 상속개시일로부터 약 1년 이전인 1989. 3. 28.을 기준으로 하여 감정한 토지가액의 산술평균치를 위 법조 소정의 "시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원심의 조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감정가액에 관한 심리미진이나 위 법조 소정의 "시가"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고, 또한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이 국민평등, 재산권보장, 조세법률주의를 선언한 헌법상의 규정에 위배되는 것으로 볼 수도 없다. 상고이유의 요지는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따른 환지청산금 정산단가를 산정하기 위한 감정기관의 감정은 극히 적은 면적의 환지과부족분에 대한 청산금 산정이라는 제한된 목적을 위하여 간이한 절차에 따라 토지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와 같은 목적과 절차에 의하여 이루어진 감정가액은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액이 될 수 없다는 것이나, 그와 같은 사정만으로 그 감정이 객관성과 합리성을 결여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감정평가액도 '시가'로 인정될 수 있다?!

상속받은 재산의 가치를 평가할 때, 상속 당시 실제 거래가 없었더라도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나중에 소급하여 평가한 감정가액도 '시가'로 인정될 수 있다.

#상속세#시가#소급 감정가액#한국감정원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시가는 어떻게 정해질까?

상속세를 계산할 때, 상속받은 부동산의 가치는 '시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시가'는 실제 거래 가격이 우선이지만, 거래 가격이 없다면 감정가격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감정가격이라도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평가된 적정한 가격이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감정가격이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개별공시지가를 사용했습니다.

#상속세#부동산#시가#감정가격

세무판례

상속받은 땅값, 어떻게 계산할까요? (환지예정지 상속 & 시가평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환지예정지가 지정된 후 상속된 토지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 그리고 상속세 계산 시 '시가'는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환지예정지#상속토지#가액평가#시가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시가는 어떻게 정해질까요? 감정평가액도 시가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상속세를 계산할 때, 법에서 정한 특정 조건의 감정가액뿐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평가된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액도 '시가'로 인정될 수 있다.

#상속세#시가#감정가액#공신력 있는 감정기관

세무판례

상속받은 땅, 얼마에 팔았으면 상속세는 얼마일까? - 상속세 계산의 기준, '시가' 이야기

상속받은 땅을 상속 직후 팔았을 때, 그 판매 가격을 상속 당시 시가로 볼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사례입니다. 특히, 상속 시점과 매매 시점 사이에 가격 변동이 없거나 오히려 하락했음을 입증한다면, 매매가격을 시가로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상속세#시가#매매가격#상속재산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시가가 핵심! 하지만 시가 확인이 어려울 땐?

상속받은 땅값을 계산할 때, 실제 거래가 있었더라도 그 가격이 정상적인 거래가 아니라면, 정부가 정한 기준으로 세금을 매길 수 있다.

#상속세#토지#시가#개별공시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