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4다15332

선고일자:

199409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차량동승자에게 운전자에 대하여 안전운행을 촉구할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나. 9인승 승합자동차가 경사로를 내려가다 올라오던 트럭과 충돌한 사고에서 승합자동차의 뒀좌석에 타고 있던 피해자에게 안전운행미촉구의 과실이 있다고 보아 50% 과실상계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가. 차량의 운전자가 현저하게 난폭운전을 한다거나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사고발생의 위험성이 상당한 정도로 우려된다는 것을 동승자가 인식할 수 있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단순한 차량의 동승자에게는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촉구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고, 특히 여러 사람이 탈 수 있는 승합자동차의 뒷좌석에 탄 동승인에 대하여는 그러한 주의의무의 인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나. 9인승 승합자동차가 내리막길을 내려가다가 약 80도 정도 되는 우곡 지점에 이르게 되자 원심력의 작용으로 순간적으로 약 40센티미터 정도 가상의 중앙선을 침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마침 아래쪽에서 올라오던 트럭의 왼쪽 앞부분과 충돌하게 된 사고에서, 승합자동차의 뒷자리에 타고 있던 피해자들이 운전자와 직장 동료, 친구의 관계에 있고 동승목적이 함께 놀러가기 위한 것이었다고 하더라도 그 사고경위에 비추어 단순한 동승자에 불과한 피해자들에게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행을 촉구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피해자 과실을 50% 상계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제396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1.4.23. 선고 91다6665 판결(공1991,1482), 1992.5.12. 선고 91다40993 판결(공1992,1842)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겸 피상고인】 【피고,피상고인 겸 상고인】 협성상사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창래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 2. 1. 선고 93나1123 판결 【주 문】 1. 원심판결 중 원고 1, 원고 2, 원고 3, 원고 4, 원고 5, 원고 6, 원고 7, 원고 8의 각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2. 원고 9, 원고 10, 원고 11, 원고 12의 상고와 피고의 원고들에 대한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3. 상고기각된 부분에 대한 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원고 9, 원고 10, 원고 11, 원고 12의 각 상고이유와 피고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원심은, 이 사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망 소외 1이 운전하던 베스타 승합자동차가 오른쪽으로 급커브가 진 중앙선이 없는 내리막길을 가상(假想)의 중앙선을 약 40센티미터 정도 침범하여 운행한 잘못에 있지만, 한편 트럭 운전사인 소외 2로서도 중앙선 표시가 없고 경사가 심한 좌회전 급커브길을 올라감에 있어서는, 전방의 시야가 좁고 반대편에서 내려오는 차들이 원심력에 의하여 가상의 중앙선을 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을 쉽게 예상할 수 있으므로, 전방을 주시하고 경적을 울려 반대편 진행차량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킴은 물론 자신의 트럭을 최대한 도로 오른쪽으로 붙여 진행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할 것인데도 그러한 주의를 다하지 아니한 과실이 인정된다고 판단하여, 위 망 소외 1의 과실비율을 80퍼센트로, 위 소외 2의 과실비율을 20퍼센트로 각 인정하였는바, 관계증거들과 기록에 의하면, 원심이 한 과실상계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과실정도에 대한 평가 또한 적절한 것으로 보이므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심리를 제대로 다하지 아니하고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과실상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가 없다. 2. 나머지 원고들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위 베스타 승합자동차에 타고 있다가 사망한 망 소외 3과 망 소외 4는 서로 친구간이고, 위 망 소외 3과 위 베스타 승합자동차를 운전하다가 이 사건 교통사고를 야기한 위 소외 1은 같은 술집의 종업원인바, 위 소외 3, 소외 4는 함께 놀러가기 위하여 위 승합자동차를 빌려서 위 소외 1로 하여금 운전하게 하였으므로, 위 소외 1이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주의를 촉구하는 등의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인데도 이를 게을리한 잘못이 있다고 판시한 다음, 위 망인들에 대하여 50퍼센트 씩의 과실상계를 하였다. 그러나 차량의 운전자가 현저하게 난폭운전을 한다거나 그밖의 사유로 인하여 사고발생의 위험성이 상당한 정도로 우려된다는 것을 그 동승자가 인식할 수 있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단순한 차량의 동승자에게는 그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촉구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고(당원 1991.4.23. 선고 91다6665 판결; 1992.5.12. 선고 91다 40993 판결 등 참조), 특히 여러사람이 탈 수 있는 승합자동차의 뒷좌석에 탄 동승인에 대하여는 그러한 주의의무의 인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피해자들이 타고 있었던 위 9인승 승합자동차는 가상의 중앙선을 넘지 아니한 상태에서 내리막길을 내려가다가 약 80도 정도 되는 우회전 급커브지점에 이르게 되자 원심력의 작용으로 순간적으로 약 40센티미터 정도 가상의 중앙선을 침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마침 아래쪽에서 위 급커브지점을 올라오던 위 트럭의 왼쪽 앞 범퍼부분과 충돌하게 되어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하게 된 사실, 당시 위 망인들은 위 승합자동차의 뒷자리에 타고 있었던 사실 등이 인정되는바, 그렇다면 사망한 위 동승자들이 운전자인 위 소외 1과 원심판시와 같은 관계에 있었고, 그 동승목적이 함께 놀러가기 위한 것이었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사고경위에 비추어 원심이 인정한 위와 같은 사실만으로는 단순한 동승자에 불과한 위 피해자들에게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행을 촉구할 주의의무가 있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위 망인들에게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촉구하지 아니한 과실이 있다고 판단하여 위 망인들에게 50퍼센트의 과실상계를 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피해자의 과실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고, 이와 같은 위법은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것이므로, 논지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원고 1, 원고 2, 원고 3, 원고 4, 원고 5, 원고 6, 원고 7, 원고 8의 각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에 관하여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고, 원고 9, 원고 10, 원고 11, 원고 12의 각 상고와 피고의 원고들에 대한 상고는 모두 이유없어 이를 모두 기각하며, 상고가 기각된 부분의 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김석수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여러 명이 사고를 냈을 때, 책임은 어떻게 나눌까요?

여러 사람이 함께 불법행위를 저질러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 가담 정도가 약한 사람이라도 피해자에게는 손해 전액을 배상할 책임이 있다.

#공동불법행위#손해배상#전액책임#가담 정도

민사판례

17세 여고생, 교통사고로 사망... 동승자에게도 책임이 있을까?

운전자가 난폭 운전 등으로 사고 위험이 명백한 경우가 아니라면, 단순한 동승자에게는 운전자에게 안전 운전을 촉구할 의무가 없다.

#동승자#안전운전 촉구 의무#과실 책임#난폭운전

민사판례

조수석 탑승자도 교통사고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운전자가 피곤한 상태에서 중앙선을 침범하는 등 위험한 운전을 할 때, 조수석 탑승자는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고 제지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게을리하면 사고 발생 시 과실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조수석#안전운전 촉구 의무#과실#손해배상

민사판례

내 차 타고 사고났는데 내 잘못도 있다고? 동승자이자 차주의 손해배상에 관한 이야기

차량 소유자가 자신의 차에 동승 중 운전자 과실로 사고가 나 손해를 입었을 경우, 소유자의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운전자의 과실을 고려해야 한다.

#차량 소유자#동승#운전자 과실#손해배상

형사판례

중앙선 침범 사고, 무조건 운전자 잘못일까?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중앙선을 침범하여 사고가 났을 경우, 중앙선 침범 자체만으로 운전자의 과실을 인정할 수는 없다는 판결.

#중앙선 침범#불가피성#운전자 과실#파기환송

형사판례

중앙선 침범 교통사고, 상대방 과실도 따져봐야 할까?

교통사고 재판에서 검사가 주장한 내용(공소사실)과 법원이 인정한 내용(범죄사실)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핵심적인 사실이 같고 피고인의 방어권에 문제가 없다면 유죄 판결이 가능하다.

#교통사고#공소사실#범죄사실#불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