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권확인

사건번호:

94다21429

선고일자:

199409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주택건설업자가 주택을 판매용으로 신축·취득한 경우, 주택공급에관한규칙 제2조 제7호 소정의 "무주택세대주"의 판단에 있어 당해 주택을 제외할 것인지 여부

판결요지

주택건설촉진법 제32조의 규정에 의하여 주택의 공급조건,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주택공급에관한규칙 제2조 제7호에서 말하는 무주택세대주인지 여부의 판단은 원인무효이거나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공부상의 소유권자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대외적으로 완전한 소유권을 취득하는 한 당해 소유명의가 명의신탁 혹은 채권담보 내지 그 실행의 목적으로 마쳐진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를 무주택세대주로 볼 수 없고 설사 주택건설업자가 주택을 판매용으로 신축하여 취득하였다고 할지라도 그 법리는 달리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주택건설촉진법 제32조, 구 주택공급에관한규칙 제2조 제7호 , 제13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3.7.27. 선고 92다49027 판결(공1993하,2392), 1994.2.22. 선고 93다61574 판결(공1994상,1087), 1994.2.25. 선고 93도2755 판결(공1994상,114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럭키개발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인제 외 4인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4.3.17. 선고 93나47867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민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주택건설촉진법 제32조의 규정에 의하여 주택의 공급조건,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주택공급에관한규칙 제2조 제7호에서 말하는 무주택세대주인지 여부의 판단은 원인무효이거나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공부상의 소유권자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대외적으로 완전한 소유권을 취득하는 한 당해 소유 명의가 명의신탁 혹은 채권담보 내지 그 실행의 목적으로 마쳐진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를 무주택세대주로 볼 수 없다고 할 것이고(당원 1993.7.27. 선고 92다49027 판결, 1994.2.22. 선고 93다61574 판결, 1994.2.25. 선고 93도2755 판결 등 참조), 설사 주택건설업자가 주택을 판매용으로 신축하여 취득하였다고 할지라도 그 법리는 달리 볼 수 없는 것이다.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원고는 주택공급에관한규칙(1993.9.1. 건설부령 제53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조 제2항 단서에서 규정한 5년 이상의 기간 무주택세대주의 자격으로 1992. 11.경 피고가 구리시 교문택지개발지구에 건립중인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하여 우선 공급신청을 하여 그에 대한 분양계약을 체결한 바 있는데, 원고의 남편인 소외인은 주택건설업자로서 위 분양계약 이전인 1988. 1.경 안양시 (주소 생략) 지상에 6세대용 다세대주택을 신축하여 각 세대에 관하여 자신의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친 후(기록에 의하면 소외인은 그 중 4세대에 대하여는 자신을 채무자로 하여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준 사실도 있다) 이를 모두 분양하여 1988.10.11.경까지 각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주었다는 것이다. 사실이 위와 같다면, 원고는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한 공급신청 당시 그 배우자인 소외인이 위와 같이 다른 주택을 보유한 사실이 있어 5년 이상의 기간의 무주택세대주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할 것이므로, 원심이 이와 달리 위 다세대주택에 관한 소외인 명의의 등기는 실질적인 소유권을 행사할 자가 따로 예정되어 있는 형식적인 등기라거나 이 경우를 무주택세대주에서 제외하는 것은 건축사업에 종사하는 무주택자를 차별하는 것이라는 이유를 들어 원고를 무주택세대주로 보았음은 주택공급에관한규칙상의 무주택세대주 판단기준에 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고,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는 판단할 필요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건축 아파트 청약, 미등기 주택 소유자도 '유주택자'로 본 판결

등기가 안 된 집에 살고 있는 사람도 재건축 아파트 청약에서 '주택 소유자'로 간주되어 무주택자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미등기 주택#재건축 분양#주택 소유자#무주택자 혜택

형사판례

집 짓는 건설업자, 주택법상 등록해야 할까?

단순히 주택건설공사를 도급받아 시공하는 건설업자는 주택법상 주택건설사업자 등록 의무가 없다.

#주택건설공사#도급시공자#주택건설사업자 등록의무 없음#건설산업기본법

형사판례

내 집 마련의 꿈, 그리고 뜻밖의 난관? 주택공급 관련 법 위반 논란!

건축업자가 분양 목적으로 잠시 자기 명의로 주택을 등기한 경우, 세무서에 문의하여 무주택세대주로 안내받았다면,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분양받은 것으로 볼 수 없다.

#건축업자#일시적 주택 소유#분양#무주택세대주

형사판례

아파트 분양과 무주택 세대주, 그리고 기존 당첨자

분양권만 양도하고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하지 않은 사람은 무주택자로 인정되지만, 기존에 다른 아파트 분양에 당첨된 적이 있다면 새로운 아파트의 우선공급 대상에서는 제외된다.

#분양권#무주택#기당첨자#우선공급

생활법률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청약! 주택 소유 여부 확인, 제대로 알고 가자!

주택청약 신청자격 확인 시, 공공분양은 모든 신청자가, 민간분양은 특별공급 신청자가 무주택세대구성원(세대원 전원 무주택)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무주택 기간 계산, 무주택으로 인정되는 예외사항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청약#주택 소유 여부#무주택세대구성원#무주택 기간

형사판례

주택조합 가입하려면 언제까지 무주택자여야 할까요? + 무주택자 판단 기준은?

주택조합 조합원이 되려면 조합 설립 인가 시점과 입주 시점 모두 무주택자여야 하며, 무주택 여부는 등기부상 소유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주택조합#조합원 자격#무주택자#등기부상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