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의개서

사건번호:

94다25735

선고일자:

199507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주식 양수인의 양수사실 통지를 명의개서 요구로 볼 수 있는지 여부 나. 주식 양수 후 명의개서를 하지 않은 경우, 신주인수권의 귀속

판결요지

가. 기명주식을 취득한 자가 회사에 대하여 주주로서의 자격을 인정받기 위하여는 주주명부에 그 취득자의 성명과 주소를 기재하여야 하고, 취득자가 그 명의개서를 청구할 때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회사에게 그 취득한 주권을 제시하여야 하므로, 주식을 증여받은 자가 회사에 그 양수한 내용만 통지하였다면 그 통지 사실만 가지고는 회사에 명의개서를 요구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나. 상법 제416조에 의하여 주식회사가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로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 발생하는 구체적 신주인수권은 주주의 고유권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위 상법의 규정에 의하여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체적 권리에 불과하므로, 그 신주인수권은 주주권의 이전에 수반되어 이전되지 아니하는바,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면서 그 권리의 귀속자를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에 의한 일정 시점에 있어서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로 한정할 경우, 그 신주인수권은 그 일정 시점에 있어서의 실질상의 주주인가의 여부와 관계없이 회사에 대하여 법적으로 대항할 수 있는 주주, 즉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에게 귀속된다.

참조조문

가. 상법 제337조 제1항 / 나. 상법 제416조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88.6.14. 선고 87다카2599,2600 판결(공1988,102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신미흥업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송기방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4.4.29. 선고 93나4330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은, 그 내세운 증거에 의하여 피고의 대표이사인 소외인이 1983.2.28. 원고에게 자신의 소유주식 전부인 피고주식 900주(당시 1주당 금 500원, 위 주식은 1987.6.21.자 주식병합에 따라 90주로 감소되었다, 이하 이 사건 주식이라 한다)를 증여한 사실, 원고는 위 주식을 증여받은 후 1984.3.9. 피고에게 위 소외인 소유의 주식을 양수하였다는 내용의 통지만 하고, 위 주식에 대한 명의개서절차를 마치지 아니한 사실, 피고는 1987.7.6.부터 같은 해 8. 29.사이에 그 판시와 같은 내용으로 3회에 걸쳐 신주를 발행하면서 이 사건 주식에 대하여 주주명부상 주주로 등재되어 있는 위 소외인에게 합계 5,670주의 신주를 배정하였고, 위 소외인이 그 신주를 인수하여 그 대금을 납입함으로써 이를 취득한 사실을 각 확정하였다. 2.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기명주식을 취득한 자가 회사에 대하여 주주로서의 자격을 인정받기 위하여는 주주명부에 그 취득자의 성명과 주소를 기재하여야 하고(상법 제337조 제1항), 취득자가 그 명의개서를 청구할 때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회사에게 그 취득한 주권을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원고가 소외 박감염으로부터 이 사건 주식을 증여받은 뒤 피고에게 위 양수한 내용만 통지하였다면 위 통지한 사실만 가지고는 피고에게 명의개서를 요구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할 것이므로 원심이 같은 견해에서 명의개서요구가 있었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거나 명의개서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을 저질렀다고는 볼 수 없다. 3.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상법 제416조에 의하여 주식회사가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로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 발생하는 구체적 신주인수권은 주주의 고유권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위 상법의 규정에 의하여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체적 권리에 불과하므로 그 신주인수권은 주주권의 이전에 수반되어 이전되지 아니한다 할 것인바,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면서 그 권리의 귀속자를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에 의한 일정시점에 있어서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로 한정할 경우 그 신주인수권은 위 일정시점에 있어서의 실질상의 주주인가의 여부와 관계없이 회사에 대하여 법적으로 대항할 수 있는 주주, 즉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에게 귀속된다 할 것이므로 주주명부상의 주주가 신주인수대금을 납입하였다면 위 명부상의 주주가 신주를 취득한다고 보아야 한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신주를 소외인이 적법하게 취득한 것으로 판단한 조치는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신주인수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을 저질렀다고 볼 수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식 명의개서 청구, 누구에게 해야 할까?

주권이 발행되지 않은 회사의 주식을 양도받거나 명의신탁을 해지한 경우, 회사에 직접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다. 양도인이나 수탁자를 상대로 명의개서 절차 이행을 요구할 필요는 없다.

#주권미발행#명의개서#주식양도#명의신탁

민사판례

주식과 신주인수권 양도, 어떻게 해야 안전할까?

주식이 발행되기 전이라도 주식과 신주인수권은 양도할 수 있으며, 회사의 승낙을 받으면 회사에도 효력이 있습니다. 회사에 주주로 인정받으려면 주주 명부에 이름을 올려야 하지만, 명부에 이름이 없어도 주주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주권 발행 전 주식 양도#신주인수권 양도#회사 승낙#주주명부

민사판례

주식 양도인이 양수인 명의로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을까요?

주식을 판 사람(양도인)은 산 사람(양수인) 이름으로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려달라고 회사에 요구할 권리가 없다. 주주 명부 변경(명의개서)은 주식을 산 사람만 할 수 있다.

#주식#양도인#양수인#명의개서청구권

민사판례

주식 명의개서, 회사가 거부할 수 있을까?

주식을 산 사람이 명의 변경을 요청했는데, 회사 대표가 정당한 이유 없이 거부하면 안 된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주식 양도 당시에 동의했고, 이후 주주로 인정까지 했던 대표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주식 명의개서#정당한 사유#양도 동의#주주 인정

상담사례

8년 동안 명의개서 안 했는데, 내 신주인수권은 어디로? 🤯

8년간 명의개서를 안 했더라도 실제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준 회사의 조치는 문제없으며, 명의개서는 회사에 대한 권리 주장을 위해 필수적이다.

#명의개서#신주인수권#주주#주주명부

민사판례

주식 양도 후 명의개서가 잘못되었을 때, 진짜 주주는 누구일까?

회사 설립 6개월 후, 주권 발행 전에 주식을 양도받은 사람은 회사에 양도 사실을 알리고 주주 명부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더라도 주주로 인정된다. 회사가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주권을 발행했더라도, 원래 주식을 양도받은 사람의 주주 자격은 없어지지 않는다.

#주권발행전#주식양도#주주자격#주주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