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수표단속법위반

사건번호:

94도113

선고일자:

199408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원심판결선고 직전 시행된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4항에 기하여, 회수수표에 관한 원심의 유죄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원심판결선고 직전 시행된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4항에 기하여, 회수수표에 관한 원심의 유죄판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4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3.12.14. 선고 93노5726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에 앞서 직권으로 살펴보건대, 이 사건 원심판결 선고 전인 1993.12.10. 신설되어 그날부터 시행된 부정수표단속법(법률 제4587호) 제2조 제4항은 동조 제2항 및 제3항의 죄는 수표를 발행하거나 작성한 자가 수표를 회수하거나, 수표를 회수하지 못하였을 경우라도 수표소지인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는 각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고,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발행하여 지급되지 아니하게 하였다는 이 사건 각 수표 4매 중에서 2매(1992.3.30.자 각 발행된 수표번호 B 및 C)는 공소제기 전에 회수된 것으로 보이는바, 그렇다면 위 회수된 각 수표에 관한 각 부정수표단속법위반의 점에 대하여는 공소기각의 선고를 하여야 할 것이므로 위 회수된 각 수표에 관한 부정수표단속법위반의 점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결은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 할 것이고, 원심은 회수되어 공소기각의 대상이 된 각 부정수표단속법위반의 죄와 원심이 유죄로 인정한 위 회수되지 아니한 수표 2매에 관한 부정수표단속법위반의 죄가 형법 제37조 전단의 경합범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 그에 대하여 하나의 형을 선고하였으므로 원심판결은 전부 파기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주심) 안용득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수표 회수하면 처벌 안 받을 수도 있다? 부정수표 단속법 이야기

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재판 전에 수표를 회수한 경우,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이 개정되어 공소 제기 전 수표를 회수하면 처벌할 수 없게 되었는데, 이 사건에서는 법 개정 전 유죄 판결을 받았기 때문에 대법원이 판결을 다시 검토하라고 돌려보냈습니다.

#부정수표단속법#수표 회수#공소 제기 전#처벌

형사판례

부정수표, 공소 제기 후 회수되면 어떻게 될까요?

수표를 발행한 후 부도가 나서 재판을 받게 되었는데, 1심 판결 선고 전에 수표를 회수하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로 처벌받지 않는다.

#수표 회수#부정수표단속법#공소기각#1심 판결 전

형사판례

부정수표, 1심 판결 후에 회수하면 어떻게 될까?

부정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1심 판결 *이후*에 수표를 회수하더라도 처벌을 면할 수 없다.

#부정수표#회수시점#1심 판결 전#처벌 면제

형사판례

부도 수표, 재판 후에 회수하면 어떻게 될까?

부도 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1심 판결 이후에 수표를 회수하더라도 처벌을 피할 수 없다.

#부도수표#처벌#회수#1심 판결 후

형사판례

수표 발행일 수정, 사기는 되지만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은 아니다?

이미 발행된 수표의 날짜를 소지인의 동의 하에 수정하는 것은 새로운 수표 발행으로 보지 않아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이 아니다.

#수표 발행일 수정#부정수표단속법 위반#사기죄#무죄

형사판례

부정수표 발행, 당신도 범죄자가 될 수 있습니다!

돈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수표를 발행하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입니다. 단순히 수표가 지급되지 않은 것만으로는 죄가 되지 않고, 지급되지 않을 것을 알고도 발행했어야 합니다.

#부정수표#발행죄#성립요건#지급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