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공무집행방해,도로교통법위반

사건번호:

94도2283

선고일자:

1994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음주측정을 거절하는 운전자를 음주측정할 목적으로 파출소로 끌고 가려한 행위를 적법한 공무집행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의경이 피고인을 파출소로 끌고 가려고 한 것은 음주측정을 하기 위한 것일 뿐, 피고인을 음주운전이나 음주측정거부의 현행범으로 체포하려는 의사였는지도 의심스러울 뿐 아니라, 가사 현행범으로 체포하려 하였더라도 현행범을 체포함에 있어서는 체포 당시에 헌법 및 형사소송법에 규정된 바와 같이 피의자에 대하여 범죄사실의 요지, 체포 또는 구속의 이유와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음을 말하고 변명할 기회를 주는 등 적법절차를 준수하여야 함에도 현행범으로 체포한다는 사실조차 고지하지 아니한 채 실력으로 연행하려 하였다면 그 의경의 행위는 적법한 공무집행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136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4.6.23. 선고 93노843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피해자인 의경 공소외인이 피고인이 차선을 위반하여 진행하는 것을 적발하고 검문하던 중에 음주운전한 사실까지 추가로 발견하고, 음주측정을 위하여 파출소까지 가자고 요구하였으나 피고인이 음주운전한 사실이 없다고 하면서 이를 거절하자 피고인의 혁대를 잡고 파출소까지 끌고 가려고 하는데, 피고인이 이에 대항하면서 위 의경의 목을 잡고 미는 등 폭행하여 1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외측경부타박상을 입힌 사실을 인정한 후, 피의자를 구속영장 없이 현행범으로 체포하든지 긴급구속하기 위하여는 체포 당시에 헌법 및 형사소송법에 규정된 바와 같이 피의자에 대하여 범죄사실의 요지, 체포 또는 구속의 이유와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음을 말하고 변명할 기회를 준 후가 아니면 체포 또는 긴급구속할 수 없다고 할 것인데, 위 의경이 피고인을 연행할 당시 음주측정을 하기 위하여 파출소까지 가자고만 하였을 뿐 이러한 절차를 준수하지 아니하였음이 명백하므로, 결국 피고인을 적법하게 현행범으로 체포하거나 긴급구속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고 달리 위 의경의 강제연행이 적법한 공무집행이었다고 볼 증거가 없으므로, 공무집행방해죄의 점은 무죄라고 판시하였다. 사실관계가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다면 위 의경이 피고인을 파출소로 끌고 가려고 한 것은 음주측정을 하기 위한 것일 뿐, 피고인을 음주운전이나 음주측정거부의 현행범으로 체포하려는 의사였는지도 의심스러울 뿐 아니라, 가사 현행범으로 체포하려 하였더라도 현행범을 체포함에 있어서는 원심이 판시한 바와 같은 적법절차를 준수하여야 함에도 현행범으로 체포한다는 사실조차 고지하지 아니한 채 실력으로 연행하려 한 위 의경의 행위는 적법한 공무집행으로 볼 수 없으므로,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공무집행의 적법성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정귀호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경찰의 위법한 연행 후 음주측정 거부, 처벌될까요?

경찰이 적법한 절차 없이 강제로 연행하여 음주측정을 요구한 경우, 운전자가 이를 거부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다.

#위법체포#음주측정거부#처벌불가#적법절차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언제 처벌될까?

이미 운전을 마친 후에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하더라도 음주측정거부죄로 처벌할 수 없다.

#음주측정거부#운전종료#위법#무죄

형사판례

🚨 술에 취해 보호조치 중에도 음주측정 거부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

술에 취해 보호조치 된 사람이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하면 음주측정불응죄가 성립한다. 보호조치 중이라는 이유만으로 음주측정 요구가 위법하거나 보호조치가 종료된 것은 아니다.

#음주측정거부#보호조치#음주측정불응죄#대법원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정말 거부한 걸까? 경찰관 진술의 신빙성

음주측정을 거부한 운전자에 대한 경찰관의 진술이 다른 객관적인 증거 없이도 신빙성이 있다면 유죄 증거로 충분하다는 대법원 판결.

#음주측정거부#경찰진술#유죄#대법원

형사판례

음주운전 의심 차량 도주, 정당한 공무집행 방해될까?

술 취한 채 운전석에 앉아있던 사람이 경찰의 음주 측정 요구에 불응하고 도주하자, 경찰이 추격하여 제지한 행위는 정당한 공무집행으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음주운전#도주#공무집행방해#유죄

형사판례

음주감지기 불응, 음주측정 거부로 볼 수 있을까?

경찰관이 음주측정 전 음주감지기를 사용했고, 운전자가 이에 불응하면서 음주측정도 거부할 의사를 명백히 표시했다면, 음주감지기 불응 자체만으로도 음주측정 거부로 처벌될 수 있다.

#음주측정거부#음주감지기 불응#음주측정#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