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상횡령

사건번호:

94도2911

선고일자:

19950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예산의 항목 유용만으로 업무상횡령죄의 불법영득의사를 단정할 수 있는지여부

판결요지

업무상횡령죄에 있어서의 불법영득의 의사라 함은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꾀할 목적으로 업무상의 임무에 위배하여 보관하는 타인의 재물을 자기의 소유인 것 같이 사실상 또는 법률상 처분하는 의사를 말하는 것이므로, 예산을 집행할 직책에 있는 자가 자신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고 경비 부족을 메우기 위하여 예산을 유용한 경우, 그 예산의 항목류용 자체가 위법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거나 예산의 용도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는 경우는 별론으로 하고 그것이 본래 책정되거나 영달되어 있어야 할 필요경비이기 때문에 일정한 절차를 거치면 그 지출이 허용될 수 있었던 때에는 그 간격을 메우기 위한 유용이 있었다는 것만으로 바로 그 유용자에게 불법령득의 의사가 있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35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7.8. 선고 85도2212 판결(공1986,1139), 1986.10.14. 선고 85도2698 판결(공1986,3058), 1989.10.10. 선고 87도1901 판결(공1989,1705)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4.10.5. 선고 94노186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업무상횡령죄에 있어서의 불법영득의 의사라 함은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꾀할 목적으로 업무상의 임무에 위배하여 보관하는 타인의 재물을 자기의 소유인것 같이 사실상 또는 법률상 처분하는 의사를 말하는 것이므로, 예산을 집행할 직책에 있는 자가 자신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고 경비부족을 메우기 위하여 예산을 유용한 경우 그 예산의 항목유용 자체가 위법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거나 예산의 용도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는 경우는 별론으로 하고 그것이 본래 책정되거나 영달되어 있어야 할 필요경비이기 때문에 일정한 절차를 거치면 그 지출이 허용될 수 있었던 때에는 그 간격을 메우기 위한 유용이 있었다는 것만으로 바로 그 유용자에게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당원 1989.10.10. 선고 87도1901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정릉 1동 새마을금고의 이사장인 피고인이 사무실 운영비가 부족하다는 직원들의 요청에 따라 위 금고에 설치할 전산시스템을 구매하면서 발주처로부터 할인금 명목으로 교부받은 금원을 위 금고의 별도 수입금으로 계상하지 아니하고 위 금고 총무과장이 그 판시와 같은 사정으로 피고인의 딸 명의로 개설하여 관리하고 있는 개인예금통장에 입금해 두었다가 야근직원의 야식비, 직원회식비, 임직원의 추석선물비, 사무실집기구입비 등 사무실운용을 위하여 지출한 이 사건에 있어서, 원심이 위 예금통장에의 입금 당시 피고인에게 위 할인금을 불법영득할 의사가 있었다고 볼 만한 증거가 없음을 이유로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조처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업무상횡령죄에 있어서의 불법영득의 의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이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당원이 인용한 위 대법원판결의 견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에 따른 것이라 할 것이고, 논지가 인용하고 있는 당원 판결은 그 사안을 달리하는 이 사건에는 적절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출장비 유용, 무조건 횡령죄? 🤔

공무원이 출장비를 다른 용도로 썼다고 해서 무조건 횡령죄로 처벌할 수는 없다. 개인적인 이득을 취하려는 의도가 없었고, 다른 필요한 경비를 위해 썼다면 횡령이 아닐 수 있다.

#출장비#횡령#불법영득의사#입증책임

형사판례

회사 돈, 함부로 썼다고 다 횡령일까? - 불법영득의사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대표나 청산인 등이 회사 돈을 정해진 절차 없이 사용했더라도, 개인적인 이득을 취할 목적이 없었다면 횡령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절차상 문제만으로는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횡령죄#불법영득의사#회사자 funds#절차상 하자

형사판례

회사돈 함부로 쓰면 횡령! 그리고 외부감사 방해죄는?

회사 돈을 마음대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면 횡령죄가 성립하고, 회사의 분기/반기 재무자료에 대해 거짓 자료를 제출해도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처벌할 수는 없다.

#횡령#외부감사법#회사자금#개인용도

형사판례

남의 돈, 함부로 쓰면 안 돼요! 용도 벗어난 사용은 횡령!

특정 용도로만 쓰도록 정해진 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 횡령죄가 성립한다. 설령 그 돈을 사용한 사람이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었거나, 결과적으로 돈을 맡긴 사람에게 이익이 되었다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정부출연금#용도 외 사용#횡령죄#업무상횡령

형사판례

회사 비자금, 횡령으로 볼 수 있을까?

회사 비자금을 사용한 피고인에 대해 횡령죄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사건. 피고인이 비자금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다는 명확한 증거가 부족하여 횡령죄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결.

#비자금#횡령#무죄#증거불충분

형사판례

재단 자금, 횡령인가? 아닌가? - 불법영득의사에 대한 오해와 진실

재단 이사장과 감사가 재단 자금을 인출하여 이사장 및 이사들 명의의 계좌에 예치한 행위가 횡령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횡령죄 성립의 핵심 요건인 "불법영득의사"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횡령죄#불법영득의사#재단자금#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