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사정

사건번호:

94후50

선고일자:

199409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스타킹 등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상표 "SHEER ELEGANCE"가 기술적 표장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상표 "SHEER ELEGANCE"는 영어로 "얇고 우아함"의 뜻으로 직감되어 지정상품인 "스타킹, 팬티스타킹, 타이즈, 양말" 등과 관련하여 볼 때 그 상품의 직접적인 성질(품질, 효능)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에 해당된다.

참조조문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출원인, 상고인】 사라 리 코오포레이숀 소송대리인 변리사 목돈상 외 1인 【상대방, 피상고인】 특허청장 【원심판결】 특허청 항고심판소 1993.12.11. 자 92항원426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출원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결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본원상표 “SHEER ELEGANCE”는 영어로 “얇고 우아함”의 뜻으로 직감되어 지정상품인 “스타킹, 팬티스타킹, 타이즈, 양말” 등과 관련하여 볼 때 그 상품의 직접적인 성질(품질, 효능)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에 해당된다고 인정하여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을 적용하여 등록을 거절한 원사정을 유지하였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결의 이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다. 소론은 본원상표는 일반적으로 “ELEGANCE”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 “SHEER”를 결합시킨 특수표현으로 구성된 상표이므로 보통 사용하는 방법으로 상품의 성질을 표현한 것이 아니고 또한 “SHEER” 나 “ELEGANCE”란 단어가 일반 수요자들이 상표를 보고 직관적으로 의미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흔히 쓰이는 단어가 아니므로 본원상표가 성질표시상표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나 “SHEER” 와 “ELEGANCE”를 함께 사용하였다고 하여 상품의 성질을 보통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없고 위 두 단어가 일반 수요자들이 쉽사리 의미를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렵거나 흔히 쓰이지 않는 단어라고 할 수도 없다. 결국 원심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상표법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Twee"는 예쁜 스커트? 상표로 등록될 수 있을까?

스커트, 원피스 등 여성 의류에 사용될 상표 "Twee"가 일반 여성들에게 "예쁘다, 귀엽다"라는 의미로 바로 인식되지 않는다면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는 판결.

#Twee#상표#등록#스커트

특허판례

옷 브랜드 이름, 멋으로 쓴 글씨체도 상표가 될 수 있을까?

글자를 변형하여 만든 상표(기술적 문자상표)가 도형화된 정도가 너무 커서 일반인이 글자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해당 상표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볼 수 없으므로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

#문자상표#도형화#식별력#상표등록

특허판례

자동차 이름에 숨겨진 비밀, "SPRINTER"는 상표가 될 수 있을까?

"SPRINTER"라는 단어는 자동차의 속도와 관련된 의미를 가지므로, 자동차 상표로 사용될 경우 자동차의 품질(속도)을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기술적인 표현으로 볼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SPRINTER#상표#기술적 표장#자동차

특허판례

화장품 상표 "NO MORE TEARS", 상표 등록 가능할까요? 눈물 없는 화장품의 딜레마!

화장품 상표로 "NO MORE TEARS (더 이상 눈물 없이)"를 사용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이 표현은 화장품의 기능(눈에 들어가도 따갑거나 눈물이 나지 않는)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상표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

#NO MORE TEARS#상표#화장품#거절

특허판례

“SOFTLIPS” 상표등록 거절, 왜일까요? 부드러운 입술을 위한 상표, 모두가 쓸 수 있어야!

입술용 연고의 상표로 "SOFTLIPS"를 사용하려 했으나, 상품의 효능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표현은 특정 회사가 독점할 수 없다는 것이 판결의 핵심입니다.

#SOFTLIPS#상표등록거절#효능표현#기술적표현

특허판례

유명 의류 브랜드 상표, 시계에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이미 유명 의류 브랜드로 인식된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시계에 사용하는 경우, 소비자들이 의류 브랜드와 관련 있는 제품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상표 등록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상표#유사상표#의류#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