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보상금지급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12446

선고일자:

1995120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유족등록 신청일 현재 미성년자나 생활능력이 없는 정도의 장애가 있는 성년자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구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 제12조 제2항, 제1항에 의한 유족연금의 지급대상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구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1994. 12. 31. 법률 제48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2조 제2항, 제1항에 의하면 국가유공자의 유족 중 자녀는 미성년자 또는 생활능력이 없는 정도의 장애가 있는 성년자만이 유족연금지급대상자에 해당하고, 같은 법 제9조 제1항에 의하면 유족연금 등 위 법에 의하여 보상을 받을 권리는 그 유족이 같은 법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국가유공자유족 등록신청을 한 날이 속하는 달로부터 발생한다고 되어 있으므로 유족등록 신청일 현재 미성년자나 생활능력이 없는 정도의 장애가 있는 성년자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유족연금의 지급대상자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구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1994. 12. 31. 법률 제48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1항, 제9조 제1항, 제12조 제1항,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마산보훈지청장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5. 7. 14. 선고 94구722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원고의 상고이유를 본다.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1994. 12. 31. 법률 제48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2조 제2항, 제1항에 의하면 국가유공자의 유족 중 자녀는 미성년자 또는 생활능력이 없는 정도의 장애가 있는 성년자만이 유족연금지급대상자에 해당하고, 같은 법 제9조 제1항에 의하면 유족연금 등 위 법에 의하여 보상을 받을 권리는 그 유족이 같은 법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국가유공자유족 등록신청을 한 날이 속하는 달로부터 발생한다고 되어 있으므로 유족등록 신청일 현재 미성년자나 생활능력이 없는 정도의 장애가 있는 성년자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원고는 유족연금의 지급대상자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논지는 원고의 유족등록 신청이 늦어지게 된 책임이 망 소외인의 사망 경위를 유족인 원고에게 자세히 설명하여 주지 아니하고 순직처리를 지연한 국가에게 있으므로 국가기관인 피고는 비록 원고가 성년에 달한 후에 유족등록 신청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미성년기간 동안의 유족연금을 지급하여야 한다는 것이나 논지와 같은 사유만으로 원고에게 미성년기간 동안의 유족연금 청구권이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 견해를 같이 하여 원고의 유족보상금 지급청구를 거부한 피고의 처분이 정당하다고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천경송 지창권(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유족 연금, 누가 받을 수 있을까? - 장애가 있는 형제자매의 경우

부모가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었을 때, **이미 미성년 시절부터 장애로 인해 연금을 받고 있던 자녀는 성인이 된 후에도 계속 연금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미성년 시절, 장애가 있더라도 다른 가족(부모, 성인 남자 형제) 때문에 연금을 받지 못했다면, 나중에 성인이 되거나 부양가족이 없어져도 새롭게 연금을 받을 수 없다.**

#국가유공자#유족연금#장애 자녀#수급 자격

상담사례

산재 사망, 성인 자녀도 유족연금 받을 수 있을까요?

산업재해로 사망한 근로자의 유족연금은 생계를 같이 하던 배우자와 19세 미만의 자녀/손자녀에게만 지급되므로, 생계를 같이 하지 않던 성인 자녀는 수급 대상이 아닙니다.

#산재#사망#유족연금#자녀

일반행정판례

유족연금, 5년 안에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군인 유족연금을 받을 권리는 군인이 사망한 날로부터 5년 안에 청구해야 하며, 5년이 지나면 청구할 권리가 사라집니다.

#군인 유족연금#소멸시효#5년#사망일

일반행정판례

국민연금 유족연금과 손해배상,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국민연금 유족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은 실제로 유족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에게만 한정된다. 따라서 제3자(가해자)에게 손해배상을 받았다면, 국민연금공단은 배상받은 금액만큼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는데, 이는 실제로 유족연금을 받는 사람에게만 적용된다.

#국민연금#유족연금#손해배상#상계

일반행정판례

군인 유족연금, 배우자도 연금 받으면 절반만?

군인 유족연금은 상속이 아닌 유족 고유의 권리이며, 연금을 받던 군인이 사망한 시점에 발생한다. 또한, 유족연금 감액 규정은 사망 시점에 따라 적용된다.

#군인 유족연금#상속 아닌 고유권#발생시점 사망시#감액규정 사망시 적용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유족 연금, 언제 개정된 법을 적용해야 할까요?

국가유공자 유족 연금 수급 순위가 법 개정으로 변경된 경우, 연금 지급은 신청 시점이 아닌 **처분 시점(최종 결정 시점)의 법**을 따른다.

#국가유공자#유족연금#수급순위#처분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