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17526

선고일자:

199609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저가양도 재산의 증여의제시 증여가액

판결요지

상속세법 제34조의2는 특수관계자에게 현저히 저렴한 대가로 재산을 양도한 때에는 그 대가와 시가와의 차액에 상당한 금액을 증여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그 규정에 의한 저가양도에 해당하는 이상 그 대가와 시가와의 차액에 해당하는 금액은 전부 증여가액에 포함됨이 명백하고, 구 상속세법시행령(1990. 12. 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1항에서 시행령상의 보충적 평가방법으로 평가한 가액의 100분의 70 이하의 가액으로 양도한 경우를 저가양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여 달리 해석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상속세법 제34조의2, 구 상속세법시행령(1990. 12. 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남동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10. 26. 선고 95구144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제1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소외인에게 이 사건 토지를 명의신탁하여 두었다가 해지한 것이라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배 등의 위법은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제2점에 대하여 상속세법 제34조의2는 특수관계자에게 현저히 저렴한 대가로 재산을 양도한 때에는 그 대가와 시가와의 차액에 상당한 금액을 증여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위 규정에 의한 저가양도에 해당하는 이상 그 대가와 시가와의 차액에 해당하는 금액은 전부 증여가액에 포함됨이 명백하고, 같은법시행령(1990. 12. 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1항에서 같은법시행령상의 보충적 평가방법으로 평가한 가액의 100분의 70 이하의 가액으로 양도한 경우를 저가양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여 달리 해석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정귀호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싸게 팔았다고 다 증여는 아닙니다?! - 토지 가치 평가와 증여세

가족에게 땅을 싸게 팔았을 때 증여세를 내야 하는데,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땅값 변동이 심한 경우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시가 차액 전체가 증여로 간주되며, 땅값 변동이 심한 경우엔 최종 면적 기준으로 평가한 금액이 시가를 가장 잘 반영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저가양도#증여세#토지구획정리사업#시가

세무판례

가족에게 싸게 팔았다고 증여세까지? 양도소득세와 증여세 이중과세 논란 정리!

가족 등 특수관계인에게 시세보다 훨씬 싸게 자산을 넘기는 경우, 파는 사람에게는 양도소득세를, 사는 사람에게는 증여세를 *동시에* 부과할 수 있다.

#특수관계인#저가양도#양도소득세#증여세

세무판례

가족 간 부동산 거래, 시가보다 싸게 팔았다면 증여세 폭탄?!

가족 등 특수관계인에게 시세보다 훨씬 싸게 부동산을 팔면, 그 차액만큼 증여한 것으로 보고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이때 시세는 실제 거래가격이 없다면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단순히 법에 정해진 보충적인 계산 방식으로 시세의 70% 이하에 판 경우에만 증여로 보는 것은 아닙니다.

#특수관계인#부동산#저가양도#증여세

세무판례

가족 회사 주식, 싸게 샀다고 무조건 증여세 내는 건 아닙니다!

회사 주식을 시가보다 싸게 사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는데, 누구를 특수관계인으로 볼 것인지가 중요한 쟁점입니다. 이 판례는 특수관계인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하고, 증여세 부과의 정당성을 판단한 사례입니다.

#특수관계인#증여세#주식#시가

세무판례

부동산 저가 양도, 증여세 폭탄 피하려면? 핵심은 '과세처분 당시' 매매대금!

부동산을 시세보다 싸게 판 경우 증여세를 부과하는데, 그 기준은 과세 당국이 세금을 부과할 당시 최종적으로 확정된 매매 가격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부동산#저가양도#증여세#취소소송

세무판례

비싸게 팔았다고 무조건 증여세 내는 건 아니에요!

특수관계가 아닌 사람끼리 시가보다 비싸게 주식을 거래했더라도, 사는 사람 입장에서 그 가격이 비정상적이라고 볼 수 없는 객관적인 이유가 있다면 증여로 보지 않고 증여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판결.

#증여세#시가#비상장주식#특수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