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전용허가취소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17762

선고일자:

199604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농지일시전용허가에 "원상복구이용의 현금예치"를 허가조건으로 붙인 것이 재량권을 남용·일탈한 위법한 것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령(1994. 4. 9. 대통령령 제142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의2가 목적사업이 종료된 후 일정기간 내에 원상복구를 하는 조건으로 농지일시전용허가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행정청이 위 규정에 따라 농지로 원상복구할 것을 담보하기 위하여 원상복구비용의 현금예치를 그 허가조건으로 붙인 것은, 그 허가조건의 내용이 적법하고 이행 가능하며 비례의 원칙 및 평등의 원칙에 적합하고 위 농지일시전용허가의 본질적 효력을 해하지 않는 것으로서 재량권을 남용하였거나 일탈한 위법한 것이라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1994. 12. 22. 법률 제4817호 농지법으로 폐지) 제4조 제1항, 구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령(1994. 4. 9. 대통령령 제142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의2, 행정소송법 제2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4. 28. 선고 91누4300 판결(공1992, 1739), 대법원 1994. 1. 25. 선고 93누13537 판결(공1994상, 84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영덕군수 【원심판결】 대구고법 1995. 10. 20. 선고 95구250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결에서 채용하고 있는 증거들을 종합하여 피고로부터 간이양어장 설치를 목적으로 이 사건 농지에 관한 농지일시전용허가를 받은 원고가 원상복구비용(금 177,000,000원)의 현금예치와 그 예치일로부터의 허가효력발생이라는 허가조건에 위배하여 원상복구비용을 현금예치하지 아니하자 피고가 그 허가조건의 위배를 이유로 농지일시전용허가를 취소하는 내용의 이 사건 처분을 한 사실을 인정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였거나 채증법칙을 위반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령(1994. 4. 9. 대통령령 제14205호로 개정되기 전의 시행령) 제3조의2가 목적사업이 종료된 후 일정기간 내에 원상복구를 하는 조건으로 농지일시전용허가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피고가 위 규정에 따라 농지로 원상복구할 것을 담보하기 위하여 원상복구비용의 현금예치를 그 허가조건으로 붙인 것은, 그 허가조건의 내용이 적법하고 이행 가능하며 비례의 원칙 및 평등의 원칙에 적합하고 위 농지일시전용허가의 본질적 효력을 해하지 않는 것으로서 재량권을 남용하였거나 일탈한 위법한 것이라 할 수 없고, 그 밖에 기록에 나타난 제반 사정을 참작한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처분은 그 취소로 인하여 얻게 되는 공익상의 필요보다 원고가 받게 되는 불이익 등이 막대하여 재량권을 남용하였거나 일탈한 위법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이와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부관부 행정행위에 관한 법리나 재량권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박만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농지 원상복구와 복구비용 예치금: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농지 타용도 일시사용 후 복구하면 예치금과 이자를 돌려받고, 복구하지 않으면 시/군/구청에서 예치금으로 복구하며, 경우에 따라 복구 없이 바로 전용 허가 신청도 가능하다.

#농지복구비용#예치금#반환#타용도일시사용허가

생활법률

농지, 잠깐 다른 용도로 쓰려면? 복구계획 & 비용 예치 알아보기!

농지 타용도 일시사용 허가/신고 시, 간이시설을 제외하고는 복구계획서 제출 및 복구비용(거래실례가격, 원가계산, 표준시장단가 등으로 산출) 예치가 필수이며, 기간 연장 시 추가 예치될 수 있다.

#농지#타용도 일시사용#복구계획#복구비용

일반행정판례

축사 부지의 농지전용, 농지보전부담금 부과는 정당한가?

과거 축사를 짓기 위해 농지를 전용했던 경우, 농지법 개정 이후에도 농지로 보아야 할지, 그리고 농지보전부담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농지의 사실상 현황을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농지전용#농지보전부담금#축사#부칙

일반행정판례

도축장 이전 명령과 허가 취소: 행정기관의 재량권은 어디까지?

기존 도축장을 이전하라는 행정 명령을 따르지 않은 도축장 소유주에 대해, 도지사가 도축장 설치 허가를 취소한 처분은 정당하다고 본 판례입니다.

#도축장#이전명령#허가취소#행정처분

일반행정판례

농지조성비 자진납부 후 부과처분 취소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농지 전용 허가를 받으면서 농지조성비와 전용부담금을 자진 납부한 경우, 농어촌진흥공사를 상대로 부과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납부 요구와 확인서 발급은 단순 사무 행위일 뿐, 부과처분에 해당하지 않는다.

#농지조성비#전용부담금#자진납부#부과처분 취소소송

일반행정판례

농지전용허가와 향토유적 보호, 그 사이에서

향토유적 근처 농지에 집을 짓기 위해 농지전용허가를 신청했는데, 향토유적 보호를 이유로 허가가 거부된 것은 위법하다는 판결입니다. 농지전용허가는 농지법 관련 규정만 고려해야 하며, 문화재 보호는 농지법상 허가 제한 사유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농지전용허가#향토유적#문화재보호#농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