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처분무효확인

사건번호:

95누7307

선고일자:

1996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가공무원법 제69조의 위헌 여부(소극)

판결요지

국가공무원법 제69조가 헌법상 보장된 행복추구권, 직업선택 및 유지의 자유, 평등권을 침해하는 조항이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국가공무원법 제69조 , 제33조 제1항 제4호 , 헌법 제10조 , 제11조 , 제15조

참조판례

헌법재판소 1990. 6. 25. 선고 89헌마220 결정(헌법재판소판례집 2, 200), 헌법재판소 1995. 7. 21. 선고 94헌바27, 29 결정(헌재공보1995, 522), 대법원 1995. 9. 15. 선고 95누6496 판결(공1995하, 343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경상남도 농촌진흥원장 【원심판결】 부산고법 1995. 4. 20. 선고 94구545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국가공무원법 제69조는 공무원이 같은 법 제33조 각 호의 1에 해당할 때에는 당연히 퇴직한다고 규정하고, 같은 법 제33조 제1항은 임용결격사유를 규정하면서 그 제4호에서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완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를 들고 있는데, 위 각 규정은 임용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자를 공무원의 직무로부터 배제함으로써 그 직무수행에 대한 국민의 신뢰, 공무원직에 대한 신용 등을 유지하고 그 직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확보하기 위한 것 뿐만 아니라 공무원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고 공직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므로, 공무원이 직무와 관련 없는 사유에 의하거나 또는 과실로 인하여 금고이상의 형을 선고 받아 위 국가공무원법상의 임용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당연히 국가공무원법 제69조에 의하여 퇴직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국가공무원법 제69조가 헌법상 보장된 행복추구권, 직업선택 및 유지의 자유, 평등권을 침해하는 조항이라고 할 수 없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형사 기소 시 직위해제와 당연퇴직에 대한 법원의 판단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공무원은 유죄 여부와 관계없이 직위해제 되며,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당연퇴직되는데, 이 당연퇴직은 행정처분이 아니므로 소송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공무원#형사기소#직위해제#당연퇴직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재직 중 범죄로 금고 이상의 형 받으면 연금 깎일 수 있다!

공무원이 재직 중 금고 이상의 형을 받으면, 그 죄가 직무와 관련이 없더라도 연금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 감액#직무 관련성 불필요#금고 이상 형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당연퇴직과 퇴직급여 청구 가능성

공무원이 당연퇴직 사유에 해당되면 별도의 통보 없이도 자동으로 공무원 신분을 잃게 되며, 이후 사실상 공무원처럼 일했더라도 퇴직급여를 받을 수 없다. 또한, 형벌 등으로 인해 퇴직급여를 제한하는 법률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당연퇴직#퇴직급여#임용결격사유#공무원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당연퇴직과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 소급적용은 어디까지?

금고 이상의 형 선고유예를 받으면 공무원을 당연퇴직시키는 법 조항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내렸지만, 이 결정 이후에 소송을 제기한 경우에는 위헌 결정의 효력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법적 안정성과 신뢰 보호를 위해 위헌 결정의 소급 적용을 제한한 사례입니다.

#헌법재판소#위헌결정#소급효 제한#당연퇴직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선고유예와 당연퇴직, 그리고 그 후...

공무원이 선고유예를 받아 당연퇴직된 후 면소 처분을 받더라도 이미 발생한 퇴직의 효력은 사라지지 않으며, 퇴직 후 사실상 근무한 기간은 공무원 경력이나 연금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잘못 계산된 호봉은 나중에라도 정정될 수 있습니다.

#선고유예#당연퇴직#면소#사실상 근무

일반행정판례

해임 기간 중 범죄, 퇴직급여에 영향 줄까?

해임되었다가 나중에 복직된 공무원이 해임 기간 중 저지른 범죄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았더라도, 해임 기간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었으므로 공무원연금법에 따른 퇴직급여 지급 제한 대상이 아니다.

#해임#범죄행위#공무원연금#지급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