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5다13197

선고일자:

1996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주한미군 한국노무단 소속 노무자가 공무상 피해를 입은 경우, 대한민국에 대하여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없는지 여부

판결요지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의시행에관한민사특별법 제3조에 의하면 피해자가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 제1조의 규정에 의한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구성원·군속 또는 그들의 가족인 때에는 대한민국이 국가배상법의 규정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진 주한미군 한국노무단 소속 노무자는 위 군대지위협정 제1조에 규정된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구성원 또는 군속에 해당되지 않는다.

참조조문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의시행에관한민사특별법 제3조,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 제1조,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한국노무단지위에관한협정 제7조,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1. 13. 선고 94나2772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의시행에관한민사특별법(이하 민사특별법이라 한다) 제3조에 의하면 피해자가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이하 군대지위협정이라 한다) 제1조의 규정에 의한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구성원·군속 또는 그들의 가족인 때에는 대한민국이 국가배상법의 규정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위 군대지위협정 제1조에는,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구성원은 대한민국의 영역 안에 있는 아메리카합중국의 육군, 해군 또는 공군에 속하는 현역군인을, 군속은 아메리카합중국의 국적를 가진 자로서 대한민국에 있는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에 고용된 자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진 주한미군 한국노무단 소속 노무자는 위 군대지위협정 제1조에 규정된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구성원 또는 군속에 해당되지 않는다 고 할 것이고, 또한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한국노무단지위에관한협정(이하 노무단지위협정이라 한다) 제7조에 "주한미군 한국노무단 소속의 고용원은 공무집행 중의 작위 또는 부작위, 또는 아메리카합중국 군대가 법률상 책임을 지는 기타의 작위, 부작위 또는 사고로부터 발생하는 청구권의 목적을 위하여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일부로 간주한다. 이러한 청구권은 군대지위협정 제23조의 관계규정에 따라 해결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은, 주한미군 한국노무단 소속 고용원의 행위로 인하여 제3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에 그 고용원도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일부로 보아 한·미간에 위 군대지위협정 제23조의 규정에 의한 청구권의 행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규정일 뿐이고, 한국노무단 소속의 고용원이 피해를 입은 경우에도 아메리카합중국 군대의 구성원으로 보아 위 민사특별법 제3조에 의하여 대한민국에 대하여 국가배상법에 의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도록 하는 규정은 아니라고 할 것인바,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제2점에 대하여 소론이 지적하는 점(주한미군측이 망 소외인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면서 적용한 평균임금은 근로기준법에 의하여 산출된 평균임금이라는 점)에 관한 원심의 인정 판단은 원심판결이 설시한 증거관계에 비추어 정당한 것으로 여겨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용득(재판장) 천경송 지창권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익근무요원, 국가배상 청구할 수 있을까?

공익근무요원은 군인이 아니기 때문에, 국가배상법에서 군인의 배상청구를 제한하는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익근무 중 사고를 당했을 경우, 다른 법률에 따른 보상을 받더라도 국가배상법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공익근무요원#국가배상#군인#배상청구 제한

민사판례

군인, 경찰 등의 공무상 재해, 국가배상 받을 수 있을까?

군인이나 경찰이 공무 중 다쳤지만, 국가유공자나 군인연금법에서 정한 보상 대상이 아닌 경우,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군인#경찰#공상#국가보상

상담사례

어머니께서 주한미군 차량 사고로 돌아가셨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주한미군 차량 사고 발생 시, 미군 공무 중 사고라면 한국 정부에 배상 신청(지구배상심의회 → 재심(필요시) → 소송)을, 공무 외 사고라면 미국 측 보상 또는 한국 법원 소송을 진행해야 합니다.

#주한미군 차량 사고#국가배상#손해배상 신청#지구배상심의회

민사판례

군인, 경찰 등이 공무상 다쳤을 때 국가배상 받을 수 있을까?

군인, 경찰 등이 공무 수행 중 다쳐도 국가유공자 등으로 인정되지 않거나, 다른 보상을 받을 수 없다면 국가에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국가배상#공상#군인#경찰

민사판례

노근리 사건과 국가배상 책임: 법원의 판단은?

6.25 전쟁 중 발생한 노근리 사건에 대해, 현재의 주한미군 관련 법률(주한미군민사법)을 적용하거나 유추 적용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즉, 이 법을 근거로 한국 정부에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음.

#노근리 사건#주한미군민사법#대법원#배상책임 불인정

상담사례

공익근무 중 사고 사망, 국가배상 받을 수 있을까?

공익근무요원은 군인이 아니므로, 다른 보상금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공익근무 중 사고 사망 시 국가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공익근무요원#사고 사망#국가배상#군인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