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5다32402

선고일자:

199510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제1심 종국판결 후에 회사정리절차 개시결정이 있은 경우, 소송절차의 중단 및 정리채권에 관한 소송절차의 수계에 관한 법리오해를 이유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제1심 종국판결 후에 회사정리절차 개시결정이 있은 경우, 소송절차의 중단 및 정리채권에 관한 소송절차의 수계에 관한 법리오해를 이유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회사정리법 제68조, 제149조, 제15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1.12.24. 선고 91다22698 판결(공1992,673)

판례내용

【원고(선정당사자),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정리회사 주식회사 한양의 관리인 【원심판결】 대전고등법원 1995.6.15. 선고 94나552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고등법원으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에 앞서 직권으로 살펴본다. (1) 원고(선정당사자, 이하 원고라고만 한다)가 원고와 선정자 2의 자인 망 소외인이 1993. 12. 13. 주식회사 한양 소유의 덤프트럭에 치여 치료중 1994. 2. 4. 사망하였음을 이유로 주식회사 한양을 피고로 하여 이 사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였는데, 제1심은 1994. 10. 14. 피고의 표시를 '주식회사 한양의 보전관리인 ○○○'으로 하여, 원고 및 선정자 2의 일부승소판결을 선고하였고 이에 대하여 위 보전관리인 ○○○이 항소를 제기함에 따라, 제2심은 정리회사 주식회사 한양의 관리인이 주식회사 한양의 보전관리인을 수계한 것으로 보아 1995. 6. 15. 피고의 표시를 '정리회사 주식회사 한양의 관리인 ○○○'으로 하되, 피고 패소 부분 중 일부를 취소하고 그 부분에 해당하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피고의 나머지 항소를 기각하는 내용의 판결을 선고하였다. (2) 한편 기록에 의하면, 원심 변론 종결 전인 1994. 11. 17. 서울민사지방법원에서 주식회사 한양에 대한 회사정리절차 개시 결정이 있었던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이와 같이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된 때에는 회사정리절차 개시전의 원인으로 생긴 재산상의 청구권에 해당하는 정리채권에 관한 소송절차는 중단되는 것이 원칙이고(회사정리법 제68조), 다만 정리채권에 관하여 정리절차 개시결정 당시 소송이 계속하는 경우에, 회사정리 사건의 관할법원에 정리채권의 신고를 하였으나 이해관계인의 이의가 있어 정리채권자가 그 권리의 확정을 청구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로 회사정리 사건의 관할법원에 정리채권확정의 소를 제기하는 대신에, 종전의 소송이 계속중인 법원에, 신고된 정리채권에 관한 이의자를 상대로 하여 소송절차의 수계신청을 하여야 하며(회사정리법 제149조), 이 사건에서와 같이 특히 제1심의 종국판결 후에 회사정리 절차개시결정이 있은 경우에는 반대로 신고된 정리채권에 관한 이의자가 소송절차의 수계신청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회사정리법 제152조). 그런데 원고의 주식회사 한양에 대한 이 사건 손해배상 청구권은 회사정리절차 개시 전의 원인으로 생긴 재산상의 청구권으로서 회사정리법상의 정리채권임이 명백하므로, 주식회사 한양에 대한 회사정리절차 개시결정이 있었다면 원심으로서는 원칙적으로 소송절차를 중단하여야 할 것이고, 정리회사 주식회사 한양의 관리인 ○○○으로 하여금 소송절차를 수계하게 하여 종전의 소송을 계속 진행하기 위하여는 과연 주식회사 한양에 대한 회사정리절차개시결정 이후 원고의 정리채권신고가 있었는지, 그 신고가 있었다면 이에 대한 이의가 있었는지, 그 이의가 있었다면 수계신청이 이의가 진술된 조사기일로부터 적법한 기간 내에 제기된 것인지 등을 살펴보아, 결과적으로 위 관리인 ○○○의 수계가 적법한 것이었는지 여부를 가려보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점에 관한 조사 및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만연히 위 관리인 ○○○이 소송절차를 수계한 것으로 보아 판결을 선고한 것은 회사정리절차 개시결정으로 인한 소송절차의 중단 및 정리채권에 관한 소송절차의 수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것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 중 소송 수계, 1개월 넘기면 끝!

회사정리절차가 진행 중인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하던 중 회사가 정리절차에 들어가면 소송은 중단되고, 채권자는 정해진 기간 안에 소송을 이어갈지(수계) 신청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놓치면 소송은 부적법하게 됩니다. 법원의 이의 통지를 받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기간은 채권 조사기일로부터 1개월입니다.

#회사정리절차#소송수계#신청기간#1개월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와 채권 확정 소송, 제때 해야 하는 이유

회사정리절차 중 채권자가 돈을 받을 권리(정리채권)를 주장했는데 관리인이 이의를 제기하면, 채권자는 정해진 기간 안에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그 기간을 지키지 않으면 소송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회사재산 보전처분 단계에서의 소송 수계와 회사정리절차 개시 후의 소송 수계는 별개라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회사정리절차#정리채권#소송수계#기간제한

민사판례

회사 정리 중 채권 확정 소송, 새로 제기할 수 없어요!

회사정리가 시작된 후 채권에 대한 이의가 있고 이미 소송이 진행 중이라면, 새로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소송을 이어받아야 합니다.

#회사정리#채권확정소송#소송수계#회사정리법 제149조

민사판례

회사정리절차 중 채권확정소송,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회사정리절차가 진행 중인 회사에 대한 채권을 확정받으려면 기존에 진행 중인 소송이 있다면 새로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소송을 이어받는 '수계'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수계 기간을 놓치면 채권 확정을 받을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회사정리절차#채권확정소송#수계#수계신청

민사판례

회사정리 중 채권확인 소송, 기간 놓치면 안돼요!

회사정리 절차가 시작되면 기존 소송은 중단되고, 정리채권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만약 채권에 이의가 제기되면 정해진 기간 내에 소송을 다시 시작해야 하며, 기간을 놓치면 소송은 무효가 됩니다.

#회사정리#정리채권#이의#소송

민사판례

회사 정리 절차, 법 개정과 관리위원회 의견

회사정리절차 개시 신청이 기각된 사건에서, 항고심은 개정된 회사정리법을 적용해야 하며, 법원이 관리위원회의 의견을 듣지 않고 기각 결정을 했다고 해서 위법한 것은 아니다.

#회사정리절차#기각#항고심#개정법률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