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용서류손상·허위공문서작성·동행사·직무유기

사건번호:

95도1706

선고일자:

1996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단속 경찰관이 고유번호가 가짜인 음주운전자 적발보고서를 작성하여 담당 경찰관으로 하여금 음주측정처리부에 기재토록 한 경우, 허위공문서작성 및 동 행사죄로 처단한 사례

판결요지

경찰서 보안과장인 피고인이 갑의 음주운전을 눈감아주기 위하여 그에 대한 음주운전자 적발보고서를 찢어버리고, 부하로 하여금 일련번호가 동일한 가짜 음주운전 적발보고서에 을에 대한 음주운전 사실을 기재케 하여 그 정을 모르는 담당 경찰관으로 하여금 주취운전자 음주측정처리부에 을에 대한 음주운전 사실을 기재하도록 한 이상, 을이 음주운전으로 인하여 처벌을 받았는지 여부와는 관계없이 허위공문서작성 및 동 행사죄의 간접정범으로서의 죄책을 면할 수 없다고 본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34조, 구 형법(1995. 12. 29. 법률 제50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27조, 제22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이임성 【원심판결】 전주지법 1995. 6. 20. 선고 94노55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제1심이 명시한 증거에 의하여, 경찰서 보안과장으로서 음주운전자 적발업무 등을 담당하던 피고인이 1991. 6. 12. 21:00경 그 경찰서 소속 이순영 경장이 공소외 1에 대한 음주운전 사실을 적발하여 음주운전자 적발보고서 91-0146942호에 이를 기재한 사실, 피고인은 위 최광식의 음주운전을 눈감아주기 위하여 그에 대한 위 음주운전자 적발보고서를 찢어버리고, 일련번호가 위 음주운전자 적발보고서와 동일하게 91-0146942호로 된 가짜 음주운전 적발보고서를 위 최광식이 구해 오자, 피고인은 이를 공소외 정재명 순경에게 교부하여 그로 하여금 송주식에 대한 음주운전 사실을 적발하게 하고, 위 가짜 음주운전자 적발보고서에 위 송주식에 대한 음주운전 사실을 기재하도록 한 사실 , 같은 해 7. 5. 위 경찰서 교통계사무실에서 주취운전자 음주측정처리부의 작성권자인 공소외 강용주는 그 정을 모른 채 위 가짜 음주운전자 적발보고서를 근거로 이 사건 주취운전자 음주측정처리부의 일련번호 91-0146942호란에 위 공소외 1의 음주운전 사실이 아닌 위 공소외 2의 음주운전 사실을 기재한 후 날인을 하고, 같은 달 6. 동 경찰서 사무실에 위 음주측정처리부를 비치한 사실 등을 확정한 다음, 음주운전자 적발보고서에 고유번호를 부여한 의미가 피고인의 이 사건 행위와 같은 비리를 사전에 막고자 하는 의도에서 부여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피고인이 그 정을 모르는 위 강용주로 하여금 이 사건 주취운전자 음주측정처리부의 91-0146942호란에 위 최광식의 음주운전 사실이 아닌 위 송주식의 음주운전 사실을 기재하도록 한 이상, 위 송주식가 음주운전으로 인하여 처벌을 받았는지 여부와는 관계없이, 피고인은 허위공문서작성 및 동 행사죄의 간접정범으로서의 죄책을 면할 수 없다 고 판단하였는바, 이를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심리미진 내지는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나, 허위공문서작성 및 동 행사죄 또는 위 죄의 간접정범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원심이 피고인의 위 소위를 허위공문서작성죄의 간접정범으로 인정하고서도 법령의 적용에 있어서는 형법 제34조의 기재를 누락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라고 할 수는 없으니,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도 결국 이유 없음에 귀착된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술 마시고 운전하다 걸렸는데... 친구 이름 대면 어떻게 될까요?

음주운전 적발 시, 운전자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의 이름을 적어 경찰에 제출하면 사문서위조죄와 동행사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음주운전#타인 명의#사문서위조#동행사

형사판례

경찰관의 재수사 결과서 허위 작성, 유죄일까?

경찰관이 검사의 재수사 요청에 따라 피해자 진술을 듣지 않고 임의로 작성한 재수사 결과서가 허위공문서작성죄로 인정된 사례. 실제 내용과 일부 부합하더라도, 작성 과정에서 허위로 기재했으면 유죄.

#경찰관#허위공문서작성죄#재수사#피해자 진술

형사판례

위법 은폐 목적의 허위공문서 작성 시, 직무유기죄는 성립할까?

공무원이 위법 사실을 숨기려고 허위 공문서를 만들어 사용한 경우, 허위공문서 작성죄 외에 직무유기죄가 추가로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허위공문서작성#직무유기죄#불성립#판례

형사판례

음주운전 혈액 바꿔치기,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성립될까?

음주운전 사고 후 처벌을 피하려고 다른 사람의 혈액을 자신의 것처럼 제출한 행위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한다.

#음주운전#타인혈액#위계#공무집행방해

형사판례

교통사고 보고서, 좋은 마음으로 바꿨다가 허위공문서작성죄?

경찰관들이 교통사고 피해자가 보험금을 수령하기 쉽도록 사고 경위를 허위로 기재한 공문서를 작성하고 행사한 행위가 허위공문서작성죄 및 동 행사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결재 전 문서 수정이 공용서류무효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결.

#허위공문서작성죄#허위작성공문서행사죄#공용서류무효죄#교통사고

형사판례

공무원의 허위 보고서 작성, 죄가 될까요?

구청 공무원이 현장 조사도 없이 허위로 보고서를 작성한 것은 허위공문서작성죄에 해당한다.

#허위공문서작성죄#공무원#허위보고서#현장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