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6누17769

선고일자:

199708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6호, 같은법시행령 제37조 제1호에 의한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인 공익 목적 단체의 판단 기준 및 그 공급 용역의 의미 [2] 1996. 3. 30. 시행규칙의 개정으로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의료보건용역으로 되기 전에도 비영리사단법인의 작업환경측정용역은 위 [1]항의 부가가치세 면제 용역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6호는 종교·자선·학술·구호 기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가 공급하는 재화 또는 용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용역의 하나로 들고 있고, 이에 따라 같은법시행령 제37조 제1호는 법 제12조 제1항 제16호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용역은 주무관청에 등록된 종교·자선·학술·구호·기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가 그 고유의 사업목적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공급하거나 실비 또는 무상으로 공급하는 용역 등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인지 여부는 그 고유의 목적이 사회일반의 복리증진인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그 단체가 수행하는 개별적인 업무가 특정인을 상대로 하는지 불특정인을 상대로 하는지에 따라 판단할 것은 아니며, 공급하는 용역이 일시적이면서 실비 또는 무상공급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시적인 공급이거나 실비 또는 무상공급이면 된다. [2] 1964. 7. 6. 보사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설립한 비영리사단법인이 1992. 7. 20. 노동부로부터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작업환경측정기관으로 지정을 받은 이래 과학기술처가 공고하는 기술용역대가의 기준에 따라 작업환경측정기술협의회에서 인건비·장비감가상각비·관리비 등을 고려하여 책정한 수수료를 받고 작업환경측정용역을 공급하여 왔다면, 위 용역이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4호, 같은법시행령 제29조, 같은법시행규칙(1996. 3. 30. 총리령 제5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조의2가 정하는 의료보건용역에 해당한다고 할 수는 없으나, 같은 법 제12조 제1항 제16호, 같은법시행령 제37조 제1호가 정하는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가 그 고유의 사업목적을 위하여 실비로 공급하는 용역에는 해당하므로 위 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제대상이라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6호 ,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37조 제1항 / [2]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29조 , 제37조 제1호 , 구 부가가치세법시행규칙(1996. 3. 30. 총리령 제5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조의2

참조판례

[1] 대법원 1987. 12. 8. 선고 86누824 판결(공1988, 286), 대법원 1996. 6. 14. 선고 95누14428 판결(공1996하, 2251) /[2] 대법원 1997. 8. 29. 선고 97누5978 판결(같은 취지), 대법원 1997. 9. 5. 선고 97누6643 판결(같은 취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사단법인 대한산업보건협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성욱) 【피고,상고인】 의정부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10. 18. 선고 96구947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6호는 종교·자선·학술·구호 기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가 공급하는 재화 또는 용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용역의 하나로 들고 있고, 이에 따라 같은법시행령 제37조 제1호는 법 제12조 제1항 제16호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용역은 주무관청에 등록된 종교·자선·학술·구호·기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가 그 고유의 사업목적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공급하거나 실비 또는 무상으로 공급하는 용역 등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인지 여부는 그 고유의 목적이 사회일반의 복리증진인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그 단체가 수행하는 개별적인 업무가 특정인을 상대로 하는지 불특정인을 상대로 하는지에 따라 판단할 것은 아니며( 대법원 1996. 6. 14. 선고 95누14428 판결 등 참조), 공급하는 용역이 일시적이면서 실비 또는 무상공급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시적인 공급이거나 실비 또는 무상공급이면 된다는 것은 법문상 명백하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1964. 7. 6. 보사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설립한 비영리사단법인인 원고는 1992. 7. 20. 노동부로부터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작업환경측정기관으로 지정을 받은 이래 과학기술처가 공고하는 기술용역대가의 기준에 따라 작업환경측정기술협의회에서 인건비·장비감가상각비·관리비 등을 고려하여 책정한 수수료를 받고 작업환경측정용역을 공급하여 왔는데, 1995. 5. 17. 피고는 원고의 의정부사업장이 행하는 작업환경측정용역이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용역이라 하여 1992년부터 1994년까지의 각 기별 부가가치세를 부과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용역이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4호, 같은법시행령 제29조, 같은법시행규칙(1996. 3. 30. 총리령 제5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조의2가 정하는 의료보건용역에 해당한다고 할 수는 없으나, 같은법 제12조 제1항 제16호, 같은법시행령 제37조 제1호가 정하는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가 그 고유의 사업목적을 위하여 실비로 공급하는 용역에는 해당하므로 이 사건 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이라고 판단하였다 . 앞서 본 관계 법령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은 인정되지 아니한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들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학술연구단체의 부가가치세 면제 용역 범위

학술연구단체가 연구와 관련하여 제공하는 용역 중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은 새로운 연구뿐 아니라 기존 연구의 검토 및 보완 용역도 포함되지만, 단순 응용 용역은 제외된다. 이는 과거 법령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학술연구단체#부가가치세 면제#용역범위#신규연구

세무판례

부가가치세 면세, 꼼꼼히 따져봐야 할까요?

부가가치세 면세 여부를 판단할 때는 여러 재화 또는 용역을 묶어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재화 또는 용역을 개별적으로 따져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부가가치세#면세#개별판단#재화

세무판례

보험조사업체,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일까?

보험사로부터 위탁받아 보험계약 및 사고 조사를 하는 회사가 제공하는 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이 아니다. 세법에서 면세 대상으로 정하는 것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험조사업#부가가치세#면세#대법원

세무판례

춘천시 주차관리공단의 부가가치세 면제, 정당할까?

춘천시로부터 공영주차장 관리 업무를 위탁받은 춘천시주차관리공단이 받는 수수료는 부가가치세 부과 대상이지만, 공익 목적을 위한 단체가 실비로 제공하는 용역이므로 부가가치세가 면제된다.

#춘천시주차관리공단#부가가치세 면제#공영주차장#공익목적

세무판례

자격 없어도 설계용역 제공하면 면세될까?

모든 설계 용역이 부가가치세 면제를 받으려면 반드시 관련 자격(기술사, 건축사 등)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용역의 종류에 따라 자격 없이도 면제받을 수 있다.

#부가가치세 면제#설계 용역#자격 유무#부가가치세법

세무판례

피부과 피부관리실, 부가가치세 면제? No!

피부과에서 의사가 아닌 미용사가 제공하는 피부 관리는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인 의료보건 용역이 아니다.

#피부과#피부관리실#미용 용역#부가가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