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6다27384

선고일자:

1996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교통사고를 일으킨 남동생의 과실을 그 차에 동승하였다가 사망한 출가한 누나에 대한 피해자측 과실로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남동생이 운전하는 차량에 동승하였다가 남동생의 과실과 제3자의 과실이 경합하여 발생한 교통사고로 사망한 출가한 누나의 유족이 제3자의 보험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피해자의 남동생의 운전상의 과실을 피해자측 과실로 보아 손해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 참작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396조, 제7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3. 9. 25. 선고 72다2082 판결(집35-1, 민67), 대법원 1987. 2. 10. 선고 86다카1759 판결(공1987, 421), 대법원 1989. 12. 12. 선고 89다카43 판결(공1990, 252), 대법원 1991. 11. 12. 선고 91다30156 판결(공1992, 110), 대법원 1993. 5. 25. 선고 92다54753 판결(공1993하, 185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해동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5. 23. 선고 96나9036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 증거에 의하여, 소외 1은 판시 승용차에 그의 누나인 피해자 망 소외 2 및 형인 소외 3을 탑승시켜 위 소외 3의 집으로 가기 위하여 위 승용차를 운전하게 되었는데, 위 사고지점 전에 위치한 위 소외 3의 집으로의 진입로를 지나치게 되자 갓길에 정차하여 있다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의사로 황색중앙선이 설치된 회전금지구역인 이 사건 사고 지점에서 위 도로의 2차선을 가로질러 급격히 1차선으로 진입한 잘못이 있다고 인정한 다음, 이러한 위 소외 1의 잘못은 이 사건 손해 발생의 한 원인이 되었다고 할 것이고, 한편 위 임관형과 위 망인이 남매 사이인 점, 위 양인이 위 승용차에 동승하게 된 경위와 위 망인도 위 승용차를 돌려 되돌아가야 함을 알았으리라는 사정과 위 사고시간이 야간인 점 등에 비추어 위 임관형의 과실은 위 망인의 과실로 볼 수 있다고 할 것이고, 이를 피고가 배상할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 참작하기로 하되, 그 비율은 위 사실관계 등에 비추어 80%로 봄이 상당하다 고 판단하였는바, 관계 증거를 기록과 대조·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 사실인정은 정당하고, 또한 원심의 위 과실상계 비율이 형평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원심의 취지는, 피해자인 위 망인의 위와 같은 신분 관계 등을 고려하여 위 임관형의 과실을 소위 피해자측의 과실로 보아 피고가 피해자에게 배상할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 이를 참작한다는 취지 이지, 위 망인이 호의동승자라는 사실만으로 신의칙에 의하여 피고의 책임을 경감한다는 취지가 아니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차 타고 사고났는데 내 잘못도 있다고? 동승자이자 차주의 손해배상에 관한 이야기

차량 소유자가 자신의 차에 동승 중 운전자 과실로 사고가 나 손해를 입었을 경우, 소유자의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운전자의 과실을 고려해야 한다.

#차량 소유자#동승#운전자 과실#손해배상

민사판례

이종사촌 동승자 사망사고, 운전자 책임은?

이종사촌을 차에 태우고 가다가 사고를 내어 사망하게 한 운전자의 배상 책임을 20% 감액한 판결.

#이종사촌#동승자 사망#배상책임 제한#과실상계

민사판례

가족회사에서 일하는 사촌형제, 교통사고 책임은 어떻게 될까?

가족회사에서 일하는 사촌형제 사이에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운전자인 사촌형의 과실을 동승 피해자인 사촌동생의 과실로 볼 수 없다는 판결. 단순히 가족관계이고 같은 회사에서 일한다는 사실만으로는 과실을 함께 부담해야 할 만큼 밀접한 관계로 보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사촌형제#교통사고#운전자 과실#피해자 과실상계 불인정

민사판례

내 차에 타고 있었는데, 내가 고른 운전자 때문에 사고가 났다면?

차량 소유주가 자신의 차에 동승 중, 본인이 지정한 운전자의 과실로 사고가 났을 경우, 소유주의 손해배상액 산정 시 운전자의 과실을 참작해야 한다.

#차량 소유주 동승#운전자 과실 참작#손해배상#무상동승자

민사판례

오토바이 사고로 동생을 잃은 형, 손해배상은 어떻게 될까?

형이 운전하는 오토바이에 동승했던 동생이 사고로 사망한 경우, 손해배상액을 정할 때 운전자인 형의 과실을 고려해야 한다.

#오토바이 동승 사망#과실상계#손해배상#형제

민사판례

가족이 탄 차가 사고가 났을 때, 보험사끼리의 분쟁은 어떻게 해결될까요?

두 차량의 사고로 한 차량 동승자가 다쳤을 때, 상대 보험사가 먼저 보험금을 지급하고 나중에 구상권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보험사간 협정을 위반했더라도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는 않는다는 판결. 가족이라도 운전자의 과실로 다친 경우, 가족 관계는 손해배상 책임 감면 사유가 될 수 없다.

#자동차보험#구상금#분쟁#보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