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6다6967
선고일자:
199708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사용자가 근로자의 집단적 의사결정 방법에 의한 동의 없이 퇴직금 지급률 규정을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한 후 노동조합과 변경된 퇴직금 지급률에 따르기로 하는 내용의 새로운 단체협약을 체결한 경우, 변경된 퇴직금 지급률 규정의 효력(유효)과 그 적용 범위
단체협약은 노동조합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체와 근로조건 기타 노사관계에서 발생하는 사항에 관하여 체결하는 협정으로서, 노동조합이 사용자측과 기존의 임금, 근로시간, 퇴직금 등 근로조건을 결정하는 기준에 관하여 소급적으로 동의하거나 이를 승인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그 동의나 승인의 효력은 단체협약이 시행된 이후에 그 사업체에 종사하며 그 협약의 적용을 받게 될 노동조합원이나 근로자들에 대하여 생기므로, 취업규칙 중 퇴직금 지급률에 관한 규정의 변경이 근로자에게 불이익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근로자의 집단적 의사결정 방법에 의한 동의를 얻지 아니한 채 변경을 함으로써 기득이익을 침해하게 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는 종전의 퇴직금 지급률이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노동조합이 사용자측과 변경된 퇴직금 지급률을 따르기로 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기득이익을 침해하게 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 종전의 퇴직금 지급률이 적용되어야 함을 알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원칙적으로 그 협약의 적용을 받게 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도 변경된 퇴직금 지급률이 적용되어야 한다.
구 근로기준법(1997. 3. 13. 법률 제5309호로 제정되기 전의 것) 제95조 제1항( 현행 근로기준법 제97조 제1항 참조), 구 노동조합법(1996. 12. 31. 법률 제5244호로 폐지) 제36조( 현행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3조 참조)
대법원 1992. 7. 24. 선고 91다34073 판결(공1992, 2516), 대법원 1992. 12. 22. 선고 91다45165 전원합의체 판결(공1993상, 546), 대법원 1995. 4. 21. 선고 93다8870 판결(공1995상, 1930), 대법원 1997. 6. 10. 선고 95다34316 판결(공1997하, 2121)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영규)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12. 21. 선고 95나12578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1. 단체협약은 노동조합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체와 근로조건 기타 노사관계에서 발생하는 사항에 관하여 체결하는 협정으로서, 노동조합이 사용자측과 기존의 임금, 근로시간, 퇴직금 등 근로조건을 결정하는 기준에 관하여 소급적으로 동의하거나 이를 승인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그 동의나 승인의 효력은 단체협약이 시행된 이후에 그 사업체에 종사하며 그 협약의 적용을 받게 될 노동조합원이나 근로자들에 대하여 생긴다고 할 것이므로( 당원 1992. 7. 24. 선고 91다34073 판결 참조), 취업규칙 중 퇴직금 지급률에 관한 규정의 변경이 근로자에게 불이익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근로자의 집단적 의사결정 방법에 의한 동의를 얻지 아니한 채 변경을 함으로써 기득이익을 침해하게 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는 종전의 퇴직금 지급률이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노동조합이 사용자측과 사이에 변경된 퇴직금 지급률을 따르기로 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기득이익을 침해하게 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 종전의 퇴직금 지급률이 적용되어야 함을 알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원칙적으로 그 협약의 적용을 받게 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도 변경된 퇴직금 지급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 증거들을 종합하여, 원고들은 1970. 11. 14.부터 1980. 6. 1. 사이에 피고의 직원으로 입사하여 근무하다가 1992. 2. 10.부터 1994. 3. 31. 사이에 퇴직한 사실, 피고는 1969. 3. 6. 설립 이후 직원보수규정에서 퇴직하는 직원에게 평균임금에 근속연수에 따른 고율의 누진율에 의한 퇴직금 지급률을 곱하여 산출한 퇴직금을 지급하는 규정(이하 구 규정이라 한다)을 두었다가, 1981. 1. 1. 근로자 집단의 집단적 의사결정 방법에 의한 동의 없이 직원보수규정을 개정하여 퇴직금 지급률을 인하한 사실(이하 개정 규정이라 한다), 피고의 노동조합은 피고와 사이에 1991. 단체협약을 체결함에 있어 미리 단체협약 중점안의 하나로 "퇴직금 지급률은 개발원의 규정에 따른다."는 조항을 두고, 1991. 12. 2. 피고와 위와 같은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하여 그 때부터 시행하게 되었는데, 단체협약 당시 피고의 총직원 273명 중 139명이 노동조합원이었던 사실, 피고는 위 단체협약 시행 이후에 퇴직하는 원고들에게 개정 규정에 의하여 산출한 퇴직금을 지급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개정 규정 중 퇴직금 지급률에 관한 조항은 근로자 집단의 집단적 의사결정 방법에 의한 동의 없이 근로자들에게 불이익하게 변경된 것이므로 개정 전에 입사한 기존의 근로자들에게는 효력이 없어 구 규정이 유효하고, 피고의 노동조합이 1991. 12. 2. 단체협약 체결 당시 개정 규정의 퇴직금 지급률에 관한 조항이 무효라는 점을 알면서 위와 같은 단체협약을 체결하였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개정 규정 중 퇴직금 지급률에 관한 조항의 효력을 소급적으로 추인하였다거나 개정 규정이 유·무효 간에 그 효력을 인정하기로 동의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는 원고들에게 구 규정에 의하여 산출한 퇴직금과 이미 지급한 퇴직금과의 차액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3. 그러나 피고가 근로자 집단의 집단적 의사결정 방법에 의한 동의를 얻지 아니하고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였다고 하더라도 취업규칙의 변경은 유효하여 현행의 법규적 효력을 가진 취업규칙은 변경된 취업규칙이고, 다만 기득이익을 침해하게 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는 종전의 취업규칙이 적용될 뿐이라 할 것이고( 당원 1992. 12. 22. 선고 91다45165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한편 사실관계가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다면 피고의 노동조합이 "퇴직금 지급률은 개발원의 규정에 따른다."는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위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게 되는 취업규칙 변경 전의 기존 근로자에 대하여도 단체협약 체결 당시의 법규적 효력을 가지는 개정 규정의 퇴직금 지급률을 적용하는 것에 대하여 소급적으로 동의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단체협약 체결 당시 기존의 근로자에 대하여 개정 규정의 퇴직금 지급률이 적용되지 아니함을 알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위 단체협약이 시행된 이후에 퇴직하는 원고들에 대한 퇴직금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개정 규정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다만 개정 규정 제11조에 의하면 개정 규정에 의한 퇴직금 산정 기준은 1983. 8. 1. 이후의 재직기간에만 적용하고, 1980. 12. 31. 이전 재직기간 및 1981. 1. 1.부터 1983. 7. 31.까지의 재직기간에 대하여는 별도의 산정 기준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원고들에 대한 퇴직금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이에 따라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원고들에 대한 퇴직금을 산정함에 있어서 구 규정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에 관한 노동조합의 동의 및 단체협약의 효력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것이고,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논지는 이유가 있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천경송 지창권(주심) 신성택
민사판례
회사가 퇴직금 지급률을 낮추는 취업규칙 개정을 했는데, 나중에 노조와의 단체협약에서 이를 소급하여 인정하는 내용을 포함시켰다면, 이는 협약 체결 전에 퇴직한 근로자에게는 효력이 없지만, 협약 체결 후 퇴직한 근로자에게는 효력이 있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회사가 퇴직금 지급률을 낮추었는데, 나중에 노조와 맺은 단체협약에서 이전의 모든 사항을 소급 적용하기로 했다면, 노조원이 아니거나 단체협약에 동의하지 않은 직원에게도 낮아진 퇴직금 지급률이 적용된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퇴직금 제도 변경에 동의하기 전에 퇴직한 사람과 그 후에 퇴직한 사람에게 다른 퇴직금 제도를 적용하는 것은 법 위반이 아니라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회사가 노동조합 동의 없이 퇴직금 지급률을 낮췄지만, 이후 단체협약에서 해당 규정을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노조가 이를 사후에 인정한 것으로 본 판례입니다.
민사판례
회사가 여러 번 퇴직금 규정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바꿨지만, 제대로 된 동의를 받지 않아 무효였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노동조합이 생기고, 일부 불리한 조항을 다시 바꾸면서 노조 동의를 받자, 이전에 동의 없이 바꿨던 부분까지 모두 유효하게 된 사례입니다.
상담사례
회사가 퇴직금 규정을 불리하게 바꿔도 노조가 단체협약으로 동의하면 직원 개인의 동의 없이 그 규정이 적용된다.
민사판례
회사가 직원들에게 불리하게 취업규칙을 바꾼 후 노조와 새 단체협약을 맺어 취업규칙을 다시 고쳤다면, 그 변경된 취업규칙은 모든 직원에게 적용된다는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