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뇌물)(판시 제1의 나 죄에 대하여 인정된 죄명 뇌물수수)·뇌물공여

사건번호:

96도413

선고일자:

199605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공중위생법 제41조 제3항의 공무원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구 공중위생법(1995. 1. 5. 법률 제491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2항, 제3항에 의하면 보건사회부장관이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에 검사업무를 위탁하였고 피고인이 그 회장으로 직원인 이상 위 규정상의 공무원으로 보게 되는 것이고, 위 중앙회 내부에 검사업무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점검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하여 그 위원회의 위원만을 위 규정상의 공무원으로 보아야 한다고 할 수 없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구 공중위생법(1995. 1. 5. 법률 제491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2항, 제3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들 【변호인】 변호사 김영진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1. 16. 선고 95노590 판결 【주문】 피고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과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택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들에 대한 판시 각 범죄사실을 인정하기에 충분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 경험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구 공중위생법(1995. 1. 5. 법률 제491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2항은 '보건사회부장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제12조의2의 규정에 의한 검사업무를 제32조의 규정에 의한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제3항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위탁받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또는 단체의 직원은 형법 제129조 내지 제132조의 적용에 있어 이를 공무원으로 본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보건사회부장관이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에 위 검사업무를 위탁하였고 피고인 김갑환이 그 회장으로 직원인 이상 위 규정상의 공무원으로 보게 되는 것이고, 위 중앙회 내부에 검사업무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점검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하여 그 위원회의 위원만을 위 규정상의 공무원으로 보아야 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원심판결에 공중위생법 제41조 제3항의 해석을 잘못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는 논지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게임물 등급분류 접수인 허위 작성, 영상물등급위원회 직원 처벌 가능할까?

과거에는 공무원으로 간주되었던 영상물등급위원회 직원이 법 개정으로 더 이상 공무원으로 간주되지 않게 되면서, 허위공문서 작성·행사죄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가 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법 개정 전후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유죄 판결을 내린 원심을 파기했습니다.

#영상물등급위원회#허위공문서 작성·행사죄#공무원#법 개정

형사판례

석유품질관리원 직원, 모두 공무원은 아닙니다!

한국석유품질관리원의 기획조정처장과 직원들은 석유 품질 검사 업무와 무관한 일을 하였으므로, 뇌물수수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 즉, 이들은 공무원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한국석유품질관리원#뇌물수수#공무원 의제#석유품질검사

형사판례

게임기가 안전검사 받았다고 무조건 영업 가능? 아니죠!

전기 안전 검사를 통과했거나 게임협회에서 도박성이 없다고 인정한 오락기라도, 실제로 도박에 사용된다면 공중위생법상 '합법적인 오락기'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도박 오락기#합법 인정 불가#실제 사용#공중위생법 위반

형사판례

게임장 불법영업 단속 관련 공무원의 직무유기, 증거은닉교사, 범인도피교사 혐의 무죄 판결

검사가 게임장 불법영업 단속 공무원을 직무유기, 증거은닉교사, 범인도피교사 혐의로 기소했으나, 대법원은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했습니다.

#게임장#불법영업#단속#공무원

형사판례

게임기 점검 스티커 함부로 주면 안되는 이유: 직무유기와 뇌물수수

컴퓨터 게임기 검사 스티커를 제대로 검사 안 하고 게임장 주인에게 줘 버리고 돈 받은 검사기관 직원은 부정한 행위와 뇌물수수로 처벌받는다.

#게임기 검사 스티커#뇌물#직무유기#부정행위

형사판례

약사심의위원도 뇌물죄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소분과위원의 공무원성 인정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소분과위원이 실제 위원으로 위촉되어 활동하는 기간 동안에는 공무원으로 인정되어 뇌물죄가 성립할 수 있다. 단, 후보자 명단(브레인 풀)에 있는 것만으로는 공무원으로 보지 않는다.

#중앙약사심의위원회#소분과위원#뇌물죄#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