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및위자료

사건번호:

96므1243

선고일자:

199611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민법 제842조의 제소기간의 적용 범위

판결요지

민법 제840조 제6호에 해당하는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이혼청구 당시까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민법 제842조가 적용될 여지가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840조 제6호, 제84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 12. 22. 선고 86므90 판결(공1988, 34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가법 1996. 6. 26. 선고 95르93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제1, 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사실인정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고, 사실관계가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다면 원고와 피고의 혼인관계는 피고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더 이상 회복될 수 없을 정도로 파탄된 것이라고 본 원심의 판단도 정당하며 거기에 민법 제840조(재판상 이혼원인) 제6호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3점에 대하여 민법 제842조는 민법 제840조 제6호의 사유를 원인으로 한 이혼청구의 소의 제소기간을 규정하고 있으나, 이 사건에 있어서와 같이 민법 제840조 제6호에 해당하는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이혼청구 당시까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민법 제842조가 적용될 여지가 없는 것이다 ( 당원 1987. 12. 22. 선고 86므90 판결 참조). 따라서 이 사건 소가 위 법조 소정의 제소기간을 도과하여 제기된 것으로서 부적법한데도 원심이 이 점을 간과하고 본안에 관하여 판결하였으니 위법하다는 취지의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가사판례

배우자의 범죄행위, 이혼은 언제까지 청구할 수 있을까?

배우자의 잘못으로 혼인 생활을 지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이혼 소송을 제기할 당시까지 계속되고 있다면, 이혼 소송 제기 기간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혼#소송 제기 기간 제한 없음#지속적 이혼 사유#폭력

상담사례

남편의 폭력과 범죄, 2년 지나도 이혼 가능할까요?

배우자의 폭력, 범죄 등으로 혼인 파탄 사유가 현재까지 지속될 경우, 2년의 제척기간이 지났더라도 이혼 소송이 가능하다.

#이혼#가정폭력#범죄#제척기간

생활법률

이혼, 정말 해야 할까요? 재판상 이혼 사유 6가지 완벽 정리!

배우자의 부정행위, 악의적 유기, 부당한 대우, 3년 이상 생사불명, 기타 혼인 지속이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을 경우 재판상 이혼이 가능하다.

#이혼#재판상 이혼#부정행위#악의적 유기

상담사례

배우자의 외도, 3년 지나면 이혼 소송 못하나요?

배우자의 외도는 이혼 사유지만, 외도 사실을 안 날로부터 6개월, 외도 시점으로부터 2년이 지나면 이혼 소송이 불가능하다.

#배우자 외도#이혼 소송#6개월#2년

상담사례

이혼 판결 받았는데 신고기간 놓쳤어요! 😱 어떻게 되나요?

이혼 판결 확정 후 이혼 신고 기간(1개월)이 지나도 이혼 효력은 유지되지만, 과태료(최대 10만원)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본적지나 주소지 시/구/읍/면사무소에 지체없이 신고해야 한다.

#이혼 신고#신고기간#과태료#직권 신고

상담사례

남편의 외도, 이혼하고 싶은데 거부한다면?

남편의 외도로 이혼을 원하지만 남편이 거부할 경우, 6개월/2년 이내에 부정행위 증거를 확보하여 이혼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남편 외도#이혼 거부#재판 이혼#부정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