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원사퇴허가처분취소

사건번호:

97누14705

선고일자:

199711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지방의회 의원이 사직하고자 하는 때에는 본인이 서명·날인한 사직서를 의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고 규정한 지방자치법시행령 제25조의 규정 취지 [2] 시의회 의원 스스로 직접 서명·날인한 사직서를 시의회 의장에게 제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위 의원의 의사에 기하여 위 의원의 명의로 서명·날인된 사직서가 시의회 의장에게 제출된 경우, 그 사직서의 제출은 적법하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지방의회 의원이 사직하고자 하는 때에는 본인이 서명·날인한 사직서를 의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고 규정한 지방자치법시행령 제25조의 취지는, 의원의 사직이 의원의 신분에 관한 중대한 문제이므로 그 사직의 의사표시가 본인의 의사에 기한 것임을 서면으로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인 명의의 서명·날인이 되어 있는 사직서를 제출하도록 한 것일 뿐 반드시 본인이 그 사직서에 직접 서명·날인하여야 한다거나 본인이 직접 의장에게 출석하여 그 사직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2] 비록 시의회의 의원 그 자신이 직접 서명·날인한 사직서를 시의회의 의장에게 제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위 의원의 의사에 기하여 위 의원의 명의로 서명·날인된 사직서가 시의회 의장에게 제출되었으므로 그 사직서의 제출은 적법하고 거기에 지방의회 의원의 사직서 제출의 절차·요건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지방자치법 제69조, 지방자치법시행령 제25조/ [2] 지방자치법 제69조, 지방자치법시행령 제2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김해시 의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용문) 【원심판결】 부산고법 1997. 8. 22. 선고 96구1297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지방의회 의원이 사직하고자 하는 때에는 본인이 서명·날인한 사직서를 의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고 규정한 지방자치법시행령 제25조의 취지는, 의원의 사직이 의원의 신분에 관한 중대한 문제이므로 그 사직의 의사표시가 본인의 의사에 기한 것임을 서면으로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인 명의의 서명·날인이 되어 있는 사직서를 제출하도록 한 것일 뿐 반드시 본인이 그 사직서에 직접 서명·날인하여야 한다거나 본인이 직접 의장에게 출석하여 그 사직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비록 피고 의회의 의원인 원고가 그 자신이 직접 서명·날인한 사직서를 피고 의회의 의장에게 제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원고의 의사에 기하여 원고 명의로 서명·날인된 사직서가 피고 의회 의장에게 제출되었으므로 그 사직서의 제출은 적법하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방의회 의원의 사직서 제출의 절차·요건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지창권 신성택(주심) 송진훈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의 사직, 진심이 아니어도 효력 있을까?

공무원이 스스로 사직서를 제출했다면, 마음속으로는 사직하고 싶지 않았더라도 사직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다만, 감사기관 등의 강박에 의해 사직서를 낸 경우, 강박의 정도가 심하여 의사결정의 자유를 완전히 빼앗긴 정도라면 사직은 무효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징계 가능성 등을 알려주며 사직을 권고한 정도라면 사직의 효력이 인정됩니다.

#공무원#사직#강박#의사표시

일반행정판례

사직서 제출이 진짜 사직일까? - 억지로 사직서 쓰게 하면 해고입니다!

회사 대표가 사직을 강요하여 제출된 사직서에 의한 의원면직은 해고로 인정되며, 징계사유가 타당하지 않거나 근로자의 지위에 비해 과도한 면직처분은 부당해고로 판단된 사례.

#사직강요#해고#부당해고#징계사유

민사판례

억울한 퇴사? 내 의지로 사직서 냈다면 해고 아닙니다.

회사가 권유했더라도, 근로자가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스스로 사직서를 제출했다면 '자발적 사직'으로 본다는 대법원 판례입니다. 단순히 마음속으로 원하지 않았다는 것만으로는 '강요된 사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자발적 사직#강요된 사직#해고#대법원 판례

상담사례

사직서 냈다가 다시 일하고 싶어졌는데, 해고됐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사직서 제출 후 철회 의사를 밝혔음에도 학교 측에서 일방적으로 해고 처리하여 부당함을 호소하고 해결책을 찾고 있다.

#사직서#철회#해고#교사

일반행정판례

일괄사표, 진짜 사직해야 할까? - 법원의 판단은?

윗사람의 강요로 마지못해 낸 일괄사표라도, 사표가 수리되면 그 효력이 인정되어 해고는 정당하다는 판결.

#일괄사표#선별수리#의원면직#효력인정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사직, 마음 바뀌면 다시 돌아갈 수 있을까?

공무원이 사직서를 제출했더라도, 공식적으로 면직 처리되기 전에는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철회하는 것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판단되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철회가 불가능합니다.

#공무원#사직서 철회#신의성실#면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