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이의

사건번호:

97다43468

선고일자:

199801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그 요건인 주택의 인도 및 주민등록이 계속 존속하고 있어야 하는지 여부(적극) [2] 임차인이 대항력 취득 후 가족과 함께 일시 다른 곳으로 주민등록을 이전했다가 재전입한 경우, 원래의 대항력의 소멸 여부(적극) 및 대항력의 소급 회복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제3조 제1항에서 주택임차인에게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요건으로 명시하여 등기된 물권에 버금가는 강력한 대항력을 부여하고 있는 취지에 비추어 볼 때 달리 공시방법이 없는 주택임대차에 있어서 주택의 인도 및 주민등록이라는 대항요건은 그 대항력 취득시에만 구비하면 족한 것이 아니고 그 대항력을 유지하기 위하여서도 계속 존속하고 있어야 한다. [2] 주택의 임차인이 그 주택의 소재지로 전입신고를 마치고 그 주택에 입주함으로써 일단 임차권의 대항력을 취득한 후 어떤 이유에서든지 그 가족과 함께 일시적이나마 다른 곳으로 주민등록을 이전하였다면 이는 전체적으로나 종국적으로 주민등록의 이탈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그 대항력은 그 전출 당시 이미 대항요건의 상실로 소멸되는 것이고, 그 후 그 임차인이 얼마 있지 않아 다시 원래의 주소지로 주민등록을 재전입하였다 하더라도 이로써 소멸되었던 대항력이 당초에 소급하여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재전입한 때부터 그와는 동일성이 없는 새로운 대항력이 재차 발생하는 것이다.

참조조문

[1]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2]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7. 2. 24. 선고 86다카1695 판결(공1987, 524), 대법원 1989. 1. 17. 선고 88다카143 판결(공1989, 295), 대법원 1997. 10. 10. 선고 95다44597 판결(공1997하, 3378) /[2] 대법원 1996. 1. 26. 선고 95다30338 판결(공1996상, 745)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마산농업협동조합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7. 8. 19. 선고 97나1826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제3조 제1항에서 주택임차인에게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요건으로 명시하여 등기된 물권에 버금가는 강력한 대항력을 부여하고 있는 취지에 비추어 볼 때, 달리 공시방법이 없는 주택임대차에 있어서 주택의 인도 및 주민등록이라는 대항요건은 그 대항력 취득시에만 구비하면 족한 것이 아니고, 그 대항력을 유지하기 위하여서도 계속 존속하고 있어야 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대법원 1987. 2. 24. 선고 86다카1695 판결, 1989. 1. 17. 선고 88다카143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주택의 임차인이 그 주택의 소재지로 전입신고를 마치고 그 주택에 입주함으로써 일단 임차권의 대항력을 취득한 후 어떤 이유에서든지 그 가족과 함께 일시적이나마 다른 곳으로 주민등록을 이전하였다면 이는 전체적으로나 종국적으로 주민등록의 이탈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그 대항력은 그 전출 당시 이미 대항요건의 상실로 소멸되는 것이고, 그 후 그 임차인이 얼마 있지 않아 다시 원래의 주소지로 주민등록을 재전입하였다 하더라도 이로써 소멸되었던 대항력이 당초에 소급하여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재전입한 때부터 그와는 동일성이 없는 새로운 대항력이 재차 발생하는 것이라 하겠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이 사건 주택의 임차인으로서 피고의 근저당권설정등기 이전인 1995. 6. 16. 그 주택의 소재지로 전입신고를 마치고 같은 해 7. 10. 무렵 그 주택에 입주하기는 하였으나, 피고가 1995. 12. 16. 이 사건 대지 및 건물에 관하여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친 이후인 1996. 1. 26. 그 주민등록을 일시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가 같은 해 2. 27. 다시 원래의 주소지로 주민등록을 재전입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는 1995. 7. 10. 무렵 취득한 임차권의 대항력을 1996. 1. 26. 주민등록의 일시 이전으로 인하여 이미 상실하였고, 그 후 다시 원래의 주소지로 주민등록을 재전입한 1996. 2. 27. 종전의 그것과는 동일성이 없는 새로운 임차권의 대항력을 재차 취득한 셈인데, 그 대항력의 취득시기가 피고의 근저당권설정등기 이후임은 역수상 분명한 만큼, 원고가 새로이 취득한 임차권의 대항력으로써 그 취득 이전의 근저당권자인 피고에게 대항할 수는 없는 것이고, 따라서 원고로서는 그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갖춘 시기에 관계없이 그 전세보증금을 이 사건 대지 및 건물에 관한 경락대금에서 피고보다 우선하여 변제받을 수는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를 위에서 본 법리와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그 판단은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대항력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없다. 그리고, 앞에서 본 대법원 판결은 이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전입신고 다시 하면 전세집 대항력도 다시 생기나요? 🤔

일시적 전출은 전세집 대항력을 소멸시키며, 재전입 시 새로운 대항력이 발생하지만 이전 대항력은 회복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전입신고#대항력#전세#전출

민사판례

전입신고 후 이사 갔다가 다시 돌아오면 어떻게 될까요? 전세금 반환과 관련된 대항력 이야기!

전세 계약 후 전입신고를 했다가 다른 곳으로 잠시 전출한 후 다시 전입신고를 한 경우, 이전 전입신고의 효력은 사라지고 재전입신고 시점부터 다시 효력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전에 확정일자를 받았다면 재전입 후에 새로 확정일자를 받을 필요 없이, 재전입 이후에 생긴 담보물권(예: 근저당권)보다 우선하여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전출#재전입#대항력

상담사례

전세집, 세입자에게 다시 빌려줬는데(전대), 내 권리는 안전할까요? (feat. 대항력)

집주인 동의 하에 전대차를 하더라도, 임차인 본인이 아닌 전차인의 전입신고가 있어야 임차인의 대항력이 유지된다.

#전대차#대항력#전입신고#임차인

상담사례

전세집 주인 바뀌고 이사 가도 괜찮을까요? 대항력 걱정 끝!

전입신고를 마친 전세 세입자는 집주인이 바뀌어도 대항력이 유지되어 이사 후에도 전세금 반환을 청구할 수 있지만, 이사 후 새로운 소유권/근저당 설정에는 대항력이 없다.

#전세#집주인 변경#이사#대항력

상담사례

갑자기 전입신고가 이전됐어요! 내 전세집, 지킬 수 있을까요? (대항력 완벽 정리)

세입자가 집주인 몰래 전입신고가 이전됐어도 본인 과실이 없다면 대항력은 유지되어 새로운 집주인에게도 기존 임대차 계약을 주장할 수 있다.

#전입신고#대항력#주택임대차보호법#전세보증금

상담사례

세입자 잠깐 주민등록 옮겨도 전세집 대항력 유지될까요?

세입자 본인이 일시적으로 다른 곳에 주민등록을 옮겨도 가족 구성원이 전세집에 거주하며 주민등록을 유지한다면 대항력은 유지된다.

#전입신고#대항력#전세#일시적 주민등록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