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7다49404

선고일자:

199806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책임능력 있는 미성년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독의무자의 손해배상책임 [2] 경제적인 면에서 전적으로 부모에게 의존하며 부모의 보호·감독을 받고 있고 이미 두 차례에 걸친 범죄로 집행유예기간 중에 있는 만 19세 10개월 된 아들이 폭력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부모의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1] 책임능력 있는 미성년자의 불법행위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 그 손해와 미성년자에 대한 감독의무자의 의무위반과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으면 감독의무자에게 민법 제750조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이 있다. [2] 경제적인 면에서 전적으로 부모에게 의존하며 부모의 보호·감독을 받고 있었고 이미 두 차례에 걸친 범죄로 집행유예기간 중에 있던 만 19세 10개월 된 전문대학 1학년 재학중의 아들이 폭력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부모로서는 아들이 다시 범죄를 저지르지 않고 정상적으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지도 및 조언을 계속하여야 할 보호·감독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게을리한 과실이 있다는 이유로, 부모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750조 , 제755조 / [2] 민법 제750조 , 제755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3. 8. 27. 선고 93다22357 판결(공1993하, 2627), 대법원 1994. 2. 8. 선고 93다13605 판결(공1994상, 1000), 대법원 1997. 3. 28. 선고 96다15374 판결(공1997상, 1205)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대구지법 1997. 10. 1. 선고 97나3734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1. 책임능력 있는 미성년자의 불법행위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 그 손해와 미성년자에 대한 감독의무자의 의무위반과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으면 감독의무자에게 민법 제750조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이 있다(대법원 1997. 3. 28. 선고 96다15374 판결 참조). 원심은, 피고들의 아들로서 전문대학 1학년에 재학중이던 소외인(19세 10개월)이 1994. 10. 18. 00:30경 학교 부근 노상에서 같은 학교 친구들 3인과 함께 원고 1을 집단 구타하여 상해를 입힌 사실, 소외인은 1992. 8. 28.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죄로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처분을 받았고, 1993. 3. 4.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간)죄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의 형을 선고받아 그 유예기간 중에 있었던 사실을 인정한 다음, 신정훈은 경제적인 면에서 전적으로 피고들에게 의존하며 피고들의 보호·감독을 받고 있었고, 이미 두 차례에 걸쳐 범죄를 저질러 당시 집행유예기간 중에 있었으므로 피고들로서는 신정훈이 다시 범죄를 저지르지 않고 정상적으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지도 및 조언을 계속하여야 할 보호·감독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게을리한 과실로 신정훈이 다시 이 사건 폭력사고를 일으켜 원고들에게 손해를 입게 하였으므로 피고들은 연대하여 원고들이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피고들에게 민법 제750조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취지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미성년자의 책임능력 및 그 감독자의 책임에 관한 법리오해나 심리미진 또는 채증법칙 위배의 위법이 없다. 따라서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는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 있어서 과실상계의 비율을 정하는 것은 그것이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아니하는 한 사실심의 전권사항에 속한다. 이 사건에서 보면, 원심이 이 사건 사고에 대한 원고측의 과실비율을 20%로 정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그 과실비율이 너무 낮아 형평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 이임수 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아이가 사고를 쳤어요! 부모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미성년 자녀의 사고에 대한 부모 책임은 무조건적이지 않으며, 자녀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감독 노력(일상 파악, 대화와 지도, 전문가 도움 등)을 통해 책임을 면할 수 있다.

#자녀 사고#부모 책임#감독 의무#꾸준한 관심

상담사례

우리 아이가 사고를 쳤어요! 부모 책임은 어디까지? (만 18세 자녀 사례)

만 18세는 성년이므로 자녀의 불법행위에 대한 부모의 법적 책임은 없지만, 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부모의 지도는 여전히 중요하다.

#자녀 사고#부모 책임#만 18세#성년

민사판례

아이의 잘못, 부모님도 책임져야 할까요? 미성년자 자녀의 불법행위와 부모의 책임

자녀가 잘못을 저질러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혔을 때, 자녀가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나이라 하더라도 부모가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않은 잘못이 있다면 부모도 함께 책임을 져야 합니다.

#미성년자#불법행위#손해배상#부모책임

민사판례

아이가 사고를 쳤어요! 부모님 책임은 어디까지?

생각할 줄 아는 나이의 미성년 자녀가 잘못을 저질러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혔다면, 부모가 자녀를 제대로 감독하지 못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미성년자 불법행위#감독의무#부모 책임#손해배상

민사판례

미성년 자녀의 폭력행위, 부모도 책임져야 할까?

책임질 능력이 있는 미성년 자녀가 폭행을 저질렀을 때, 부모가 자녀 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아 폭행이 발생했다면, 부모도 자녀와 함께 피해자에게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미성년자 폭행#부모 배상 책임#감독 소홀#공동불법행위

민사판례

재수생 아들의 폭행, 아버지에게도 책임이 있을까?

재수생 아들이 다른 사람을 폭행했을 때, 아버지에게 감독 소홀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아버지가 아들의 폭행을 예측하고 막을 수 있었는지, 즉 감독 의무를 소홀히 했는지가 쟁점입니다. 법원은 아들이 재수생활 중 폭행을 저질렀다는 사실만으로는 아버지의 감독 소홀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재수생 폭행#아버지 책임#감독 소홀#인과관계 부정